유튜브 댓글 감정분석을 통한 글감 추천 시스템

소개

1주차에 만들었던 유튜브 영상으로 글감 수집 자동화! – 구글 앱스스크립트와 Claude의 조합에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1주차에 만들었던 기능을 먼저 정리해 볼게요.

  • 키워드를 넣고 검색할 영상의 수(50개/100개/200개)를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누르면, 선택한 개수만큼의 영상에 대한 정보를 가져옵니다. (썸네일, 조회수, 좋아요 수 등)

  • 원하는 영상들을 선택한 후 "모아보기"를 누르면, 그 영상들만 별도의 시트에 모아서 보여줍니다.

  • 원하는 영상들을 선택한 후 "자막 가져오기"를 누르면, 자막이 저장됩니다.

  • 원하는 영상들을 선택한 후 "요약하기"를 누르면, 요약 내용이 저장됩니다. (자막을 먼저 가져온 경우에만 진행됨)

조회수나 조회수 대비 좋아요 수가 많은 영상(또는 원하는 다른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들에 대해 자막이나 요약을 해서 그 내용을 바탕으로 글을 쓸 수도 있겠지만, 좀더 쉽게 글감을 찾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댓글을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댓글에 대해 감정 분석을 한 후 글감을 추천해 주는 시스템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사용한 도구 (1주차 이후 업그레이드하며 사용한 도구)

  • 구글 앱스스크립트, 스프레드시트

  • YouTube API

  • Google Natural Language API

  • OpenAI API

  • 클로드

진행 방법

  • YouTube API로 댓글을 수집했어요.

  • 프롬프트 : 키워드 검색으로 유튜브 영상의 메타 정보를 수집하고, 그 중 선택한 영상에 대해 스크립트를 가져오고, 요약을 하는 앱스스크립트를 만들었어. 이제 다음 단계로 댓글을 수집하고 싶어. 사이드바에 "댓글 가져오기" 버튼을 추가하고, 체크박스에 체크한 후 그 버튼을 누르면 "💬 댓글 (키워드) N" 시트를 만들어서 댓글을 보여주면 좋겠어. 지금까지 만든 코드(Code.gs, sidebar.html)를 넣어줄게.

  • 프롬프트와 함께 2개의 코드를 넣었더니 클로드가 댓글 수집 기능을 추가해 주었습니다.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의 스크린 샷

  • 그런데 5개 영상에 대한 댓글을 한 시트에 쌓아주었어요. 그래서 각각의 시트를 만들어 달라고 했습니다.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

  • 댓글 중 태그나 특수문자가 있을 때 제대로 안 나오는 문제가 있어서 수정해달라고 했습니다.

  • 그리고 댓글에 대해 감정 분석과 글감 추천을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 프롬프트 : 댓글 중에 "#Awesome thank you so much for sharing"처럼 누군가를 태그한 건 "<a href="http://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23awesome">#Awesome</a> thank you so much for sharing"이렇게 나왔고, "Oh yes.. that's for sure."는 "Oh yes.. that&#39;s for sure."로 나왔어. 특수문자가 있으면 제대로 안 나오는 것 같아. 그리고 첨부한 이미지에 @HideOnBush20 이 작성한 답글은 수식 파싱 오류가 발생했어. 어떤 댓글에 달린 답글은 원댓글이 어떤 건지 알 수 있게 표시해주면 좋겠어.

    그리고 댓글/답글에 대해 감정 분석을 하고 싶어. 이걸 이용해서 반응이 좋은 내용을 글감으로 제안/추천해 주면 좋겠어. 어떤 내용을 어떤 구성으로 쓰면 반응이 좋겠다는 식으로. 더 좋은 아이디어가 있거나 추가, 수정하고 싶은 부분이 있으면 말해줘.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의 스크린 샷

  • 감정 분석을 하기 위해 필요한 Google Natural Language API Key도 사이드바의 설정 탭에서 입력하도록 추가했습니다.

    YouTube API Key Korean- 스크린 샷

  • 수많은 디버깅과 개선 끝에 감정 분석과 키워드, 글감도가 나왔습니다.

한국 노래 목록을 보여주는 Google 스프레드 시트의 스크린 샷

  • 그리고 "추천 글감" 시트도 생성되었습니다. (이건 레이아웃을 많이 손봐야 합니다.)

  • 핵심 키워드와 높은 글감도 댓글 샘플을 보여주고, 아랫부분에는 후속 콘텐츠의 제목과 내용 방향을 3개 추천해 줍니다.

  • 시청자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법과 더 깊이 다뤘으면 하는 부분도 보여주고, 시리즈 기획 아이디어와 제작 팁도 보여줍니다.

한국 텍스트가있는 Google 스프레드 시트의 스크린 샷

결과와 배운 점

만들면서 여러 오류와 마주쳤지만 클로드와 계속해서 대화를 나누며 하나씩 해결해 갈 수 있었습니다. 클로드의 대답을 차근히 읽어보는 게 공부가 많이 되었습니다.

진행해 갈수록 코드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클로드가 준 코드들이 에러를 냈습니다. 상황을 설명해도 계속해서 에러가 났습니다. 코드를 살펴보니 시작부분도 끝부분도 이상했습니다. 예를 들어 1~10까지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는 코드라면, 3부터 시작하고 5에서 끝나고 있었어요. 자세히 보니 3부터 시작해서 10까지 나온 후에 다시 1부터 시작해서 5까지 나온 거였어요. 그래서 결국에는 제가 순서에 맞게 수동으로 복사해서 붙였어요.

이렇게 코드가 길어지면 클로드에만 의존하면 에러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의 계획

추천 글감 시트의 레이아웃을 개선하고, 추천해준 내용에 대해 효용성이 있는지 검증하려고 합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전에 지피터스에서 감정분석에 대해 발표해 주신 분이 계셨었는데 어느 분이신지 기억이 나지 않네요.

5
4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