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바이브 코딩으로 개발에 들어가기 전에 비즈니스 요구사항 문서(Business Requirements Document)와 제품 요구사항 문서(Product Requirements Document)를 먼저 정리하는 것이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비즈니스 요구사항 문서(BRD)
기능 목표: 기능의 목표, 목표 및 결과에 대한 설명
범위 및 비즈니스 요구 사항 : 정의된 범위 내에서 유지해야 할 일의 범위에 대한 정의
이해관계자: 지정된 역할과 책임을 가진 프로젝트의 핵심 이해관계자 식별
타임라인: 프로젝트 내 여러 단계를 포함한 프로젝트의 상세한 타임라인
예산: 관련 프로젝트 비용과 예상 혜택이 포함된 구체적인 예산
제약 사항: 발생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한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리소스
제품 요구사항 문서(PRD)
목적: 제품이 개발되는 이유와 해결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비즈니스 문제
대상 고객: 최종 사용자를 식별하여 잠재 사용자의 인구 통계 및 행동을 포함하여 그들의 불만 사항과 기대치
핵심 기능 : 제품의 핵심 특징과 기능을 강조하고 각 기능을 세분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 제품의 모양과 느낌에 중점을 두고 사용자가 제품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
기술 사양: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데이터 저장소, 성능 요구 사항, 프레임워크 등 기술 세부 사항
이런 부분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주로 클로드를 사용해서 진행했습니다.
구체화에 도움이 된 프롬프트들
"위 요구사항에서 문제 정의를 더 구체화 시켜줘. 이게 가장 비싼 문제 라는 걸 입증해야 해. 이게 임팩트가 높은 문제라는 걸 입증 못하면 이 요구사항을 진행할 필요가 없을거야. 제발 잘해줄래"
"정량적 분석에서 기대되는 매출 증가액, 등 회사에서 중요시 여기는 지표들을 봐주고, 업계 벤치 마크도 함께 증거로 제시해줘. 그리고 비슷한 시도가 업계에서 있었다면 예시 사례 로 추가해줘"
"애자일 방법론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스토리(user story) 형태로 다시 정리해주고, MVP(minimum viable product) 개념를 적용해서 must have, nice to have, happy to have 구분을 해서 테이블 형태로 정리해줘"
"행동 심리, 사용자 리서치 등 관련된 모든 연구결과를 뒤져서 요구사항의 근거가 될 만한 이론적 근거를 정리해줘그리고 반대 논리에 대한 근거도 따로 정리해줘 이 요구사항에 반대할 만한 예상 조직에서 태클걸 것들과 주요 의사결정자들이 걱정할 것들도 미리 준비해서 정리해줘"
"잠재 고객 퍼소나의 이름을 예시로 만들어줘. 그들끼리의 대화를 상상해서 각자의 의견 교환 다이얼로그를 만들어줘. 이 기능에 대해 어떻게 사용할지, 어느 포인트에서 만족할지, 불만족하거나, 우려를 표할지, 지인들에게는 뭐라고 소개할지 등을 생각해서 대화록을 만들어줘"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A2A로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만들기 위해서는 잘 구체화된 BRD와 PRD가 필요한데 이 부분에 어떤 프롬프트를 사용하면 좋을 지를 리서치해 보았는데 생각보다 구체화가 잘되어서 놀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