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8n 으로 유튜브 요약하여 쓰레드 포스팅 하기 - 2탄

먼저 쓰레드 API 로 포스팅 기능을 간단히 테스트 해본 1탄은 여기서^^ : 1탄 링크

소개

쓰레드에 어떤 내용을 자동포스팅 하면 좋을까를 고민하다 관심있는 내용의 유튜브를 요약해서 써보기로 했습니다.

진행 방법

사용한 도구

플로우 설명

  1. 격일로 아침 8시에 스케쥴이 동작하도록 설정 (0 0 19 1-31/2 * *)

  2. 발행할 유튜브 링크는 미리 준비. 이미 포스팅 링크는 다시 하지 않도록 체크값 추가

    다양한 유형의 비디오 목록이있는 테이블
  3. 유튜브 분석은 https://www.youtube-transcript.io/api api 이용 (무료 사용자는 한달 25회 까지 가능 -> 그래서 격일로 ㅎㅎ)

    n8n 서버에 설치해서 쓸수있는 관련 노드를 테스트 해보았으나 약간의 문제로 잘 동작 안해서 따로 검색해서 처리.

    한국 앱의 스크린 샷
  4. 대본에서 나오는 내용에 본문 내용 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도 포함되어 있어서 Code 노드 이용해서 text 항목만 병합하도록 처리

  5. ChatGPT Message a model 을 이용해서 요약시킴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텍스트 편집기의 스크린 샷

  6. 그 다음 과정은 1탄에서 소개 한 쓰레드 API 를 이용해 원글 1개 + 댓글 3개 로 포스팅 되게 함.

  7. 추가로 알게된점

    1. 텍스트 데이터의 경우 auto_publish_text 라는 옵션이 있어 컨테이너와 퍼블리싱 노드를 따로 부르지 않아도 됨

    2. topic_tag 를 넣어주면 주제 항목으로 이용됨 (태그방식 으로 하면 첫번째 태그가 주제로 들어가긴 하지만 #만 빼고 기존 데이터는 남는 현상 생김)

  8. 포스팅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포스팅여부 컬럼의 값을 true 로 변경.

    기계의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댓글 컨테이너도 사실 로직으로 반복시키게 하려다가 오히려 복잡성을 올리게 되어서 일단은 reply1, 2, 3 으로 픽스하여 처리했습니다.

완성후 만약 하루 두번 다른 주제로 포스팅 하고싶고 약간 구성이 달라져야 한다면 그대로 복사해서 써야 할까?

그럼 뭐 하나 바뀔때 마다 양쪽으로 고쳐야 되잖아.. 하다가 sub workflow 라는게 있다는걸 알게되었고

리팩토링(동작은 그대로 두고, 구조를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과정)을 감행합니다. ㅎㅎ

  1. 유튜브 링크 요약하기 Sub workflow

    메시지를 보내는 과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1. 쓰레드 포스팅

    프로젝트의 다른 단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이렇게 두 기능을 먼저 분리했고 처음과 똑같은 기능을 이렇게 바꾸어보았습니다.

전화 통화의 다른 단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Main Flow 에서 이렇게 값을 넣어주면 SubWorkflow 에서 동일한 키로 값을 받을수 있는 구조입니다.

한국 웹 사이트의 설정을 보여주는 화면
워크 플로를 시작하는 버튼이있는 화면

분리한 Sub Workflow 를 이용해서 구글 Sheet 로 하던 작업을 airtable 버전도 만들어보는 중입니다. ^^

프로세스의 다른 단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결과와 배운 점

  • 사용하지 않는 계정에 9번 정도 테스트로 발행 해보았는데 잘 동작했구요~

  • 재밌는 점은 이건 테스트로 쓰는 계정이야~ 써놓았는데도 팔로워도 10명 가까이 늘고 좋아요, 댓글 다는분도 있었네요

  • 500회 이상 조회되는 포스트도 있었습니다. ㅎㅎ

  • 살짝 아쉬웠던 점은 요약할때 비용을 감안해서 GPT 4.1 MINI 모델을 사용했는데 요약퀄리티는 약간 아쉬웠습니다. 프롬프트를 좀더 잘 써서 보기 좋게 해야 할꺼 같습니다.

  • 실 사용계정에도 유의미한 키워드 위주로 발행 해볼 계획입니다.

한국 트위터 페이지의 스크린 샷

한달동안 스터디장이신 세임님 덕분에 n8n 찍먹을 제대로 해볼수 있었던거 같습니다. 쵝오!!

부족했던 버디 역할 이해해주신 동료분들 께도 감사드려요~

1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