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본인의 1주일간 업무를 나열:
업무의 정형화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1주일간의 업무를 나열합니다. 나열하실 때 구체적으로 해당 작업에 소요하는 시간을 함께 기입해 주세요! 위 경우, 인터뷰과정에서 본인이 가장 시간 쓰기 아까운 영역을 말씀 주셨기 때문에, 이 과정이 생략되었죠
두 번째, 정형화된 업무 중 가장 큰 임팩트를 낼 수 있는 선택:
처음 과정에서 나열한 업무 중에서 정형화된 업무를 선택합니다. 그들 중에서 이 문제를 해결할 경우, 얻게 되는 임팩트가 가장 큰 업무가 무엇인지 생각해 봅시다. 임팩트는 비용절감 혹은 수익증대 두 가지 관점에서 고려될 수 있지만, 쉽게 생각하면 1주일 중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쓰는 업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세 번째, 업무를 단계별로 분리 후 그중 핵심업무를 찾습니다.
사실 모든 기능을 자동화하는 건 쉽지 않습니다. 다만, 핵심업무만 자동화한다면 생각보다 쉬울 수 있어요! 그래서 핵심업무를 파악 후 해당 기능 자동화만 먼저 빠르게 구축 후, 여유시간을 확보하는 게 중요합니다. 그 이후, 남은 여유시간에 다른 업무를 하나씩 자동화해 나가는 거죠!
네 번째, 각 업무 별 노코딩 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세요!
생성 AI 시대에 걸맞게 노코딩 툴이 정말 많이 등장하고 있어요. 경쟁력은 이를 어떻게 빠르게 학습하고, 자신의 업무에 도입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노코딩 툴에 대한 관심을 놓치지 마세요! 이를 제대로 이용만 한다면, 여러분들의 삶이 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