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shot
oneshot
🐶 AI 찐친
🚀 SNS 챌린지 달성자

제목 GPTs/Feedly를 이용 논문 검색(표) 작성 후 Scholarcy Browser Extension으로 요약

배경 및 목적

(실행과정)

  1. GPTS (논문작성전문가: https://chatgpt.com/g/g-P7r9Uq5uV-nonmun-jagseong-jeonmunga)

프롬프트: 박사논문을 쓰려고 해요. 논문 제목은 '중년여성 정체성 확립과 개성화 과정 - 구약 성경 여성을 중심으로' 이 제목과 관련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2000년 - 2023년 논문이나 문헌을 찾아서 그 내용을 테이블로 만들어 줘요. 1. 저자 2. 연도 3. 제목 4. 5줄 요약 5. 연구 방법 6. 링크 주소

결과:

테이블에 있는 한국 이름 목록

  1. Feedly 에서 최신 논문 리스트 업

구글 문서의 한국어 버전 스크린샷

  1. 원하는 논문을 골라 클릭하고 Scholarcy Browser Extension과 연동. (Scholarcy가 너무 크게 나와 논문이 가려져 있는데, 실제 화면에는 논문이 훨씬 더 크게 보이고 Scholarcy 요약은 작게 보임)

학술사이트 스크린샷
스크린샷 스크린샷 스크린샷 스크린샷 스크린샷 스크린샷

컴퓨터의 한국어 페이지 스크린샷
워드 문서 페이지의 스크린샷

다른 AI(LLM)과 비교

  1. Claude: 검색기능 없음. "학술 검색 엔진 활용: Google Scholar,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D Bpia등의 학술 검색 엔진을 사용해보세요."논문 링크를 보여주면 요약은 해줌.

  2. Perflexity(<focus<academy): 여러개의 키워드를 선정하여 검색하지 않고, 한 키워드(중년여성)를 임의로 선정하여, 5개의 논문을 보여줌. 링크 없음. 3개는 국내 논문, 2개 국외 논문

  3. Jemini: 5개를 보여줌. 전부 국내. URL이 유효하지 않다며 삭제

  4. SciSpace: 발표자의 컴푸터가 이상이 있는 것 같음. 그러나 논문 검색이 가능하고 Scholarcy Browser Extension과 연동 가능

  5. Jeni.AI: 글쓰기에 특화되어 있으나 논문검색에는 한계가 있음.

인사이트:

1) 논문 검색은 ChatGPT (GPTs)가 가장 좋고, 표를 잘 만들어 줌. 현재는 5개이지만 차차 늘려나갈 수 있음. 논문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열림.

SciSpace: 여러가지 키워드로 10개의 논문을 발췌해줌. ChatGPT보다 검색을 다양하게 해주고 있는 것을 나중에 알았으나, 발표자 컴에 문제로 발표내용을 수정 못해 아쉬움

2) 열리는 즉시 Scholarcy Browser Extension과 아주 쉽게 연동이 가능함.

3) Scholarcy 요약 내용이 훌륭하고 속도가 빠름.

4) Scholarcy에서 내 라이브러리로 보내어 목록을 만드는 기능이 편리함.

5) Scholarcy의 분석내용을 text파일로 만들어주는 기능이 편리함.

아쉬운점:

1) Scholarcy의 요약 내용을 Zapier를 통해 자동으로 Notion으로 옮기는 작업을 아직 못함.

2) ChatGPT의 설명으로는 Scholarcy는 RSS 피드를 직접 지원하지 않으며 API를 제공하지 않는 상황이므로, 내용을 수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함.

3) ChatGPT 제안으로는 Scholarcy의 요약 내용을 수동으로 PDF파일로 만들어 수동으로 구글드라이브로 올린 후, ZAPIER를 이용하여 NOTION 파일로 자동으로 옮기면 된다고 하나, 수동으로 구글드라이브로 옮길바에야 직접 수동으로 NOTION파일에 올리는 것이 낳겠다고 생각하고 시도를 하지 않음. 계속 연구 과제임.

4) SCHOLARCY가 만들어 주는 TEXT FILE (WORD)을 다운로드 받아서 NOTION에 옮겨보니 매번 다운을 받아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음. 연구 과제임.

5) SCHOLARCY 요약 내용 평점: SCHOLARCY 요약 내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발표자의 논문 (215쪽)을 넣고 요약을 해보았다. 논문 내용을 잘 아는 저자의 입장에서 보면 50점 정도를 줄 수 있겠다. 모든 내용을 충분히 커버하지 못하고 있고, 때로는 논문에 없는 내용도 있었다(할루시네이션?).

6) SCHOLARCY의 요약 내용이 100점은 아니더라도, 다양한 여러 논문을 훓어 보는 정도로의 성과는 분명히 있다(여행 전 사진을 검토 하는 정도). 만일 특정 논문의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려면 초록(ABSTACT)을 읽어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여행 가이드를 읽음). 초록에서 필요한 부분을 찾아 원본을 읽어 본다(실제 여행).

3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