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shot
oneshot
🐶 AI 찐친
🚀 SNS 챌린지 달성자

AI와 협업하여 논문 제목 정하기, 마인드 맵 만들기, 선행 연구 검색, 연구 방법 정하기

AI와 협업하여,

  1. 논문 제목 정하기

  2. 마인드 맵 만들기

  3. 선행 연구 세 줄 요약해서 검색하기

  4. 연구 방법 정하기

1. 논문 제목 정하기: 핵심강의 '곽은철'님의 강의에 따라 ChatGPT 4-o와의 브레인 스토밍으로 논문 제목을 젛햇다.

<프롬프트>

검은 배경에 한국어 텍스트

챗지피티가 아래와 같이 나에게 물어왔다.

검은 색 화면에서 한국어의 스크린 샷
검은 색 화면에서 한국어의 스크린 샷

이 많은 질문들에 답을 하다보니 나의 생각, 나의 희망 등의 현주소가 그대로 다 나왔다.

챗지피티가 11개의 논문제목을 만들어 주었다.

그 중에서 공통된 것 4개만 뽑아 달라고 하였다.

그 중에서 최종적으로 하나를 골랐다.

논문 제목은:

'심리학과 AI의 만남'으로

'AI시대, 심리상담의 미래를 상상하다 - 생성형 AI의 상담 적용 가능성과 한계'

  1. Mapfify로 마인드:

    이 제목으로 Mapfify에서 마인드 맵을 만들어 전체 흐름을 구상해 볼 수 있었다.

한국어 마인드 맵

  1. 선행연구 검색

2015년 이후 국내외 논문과 학술 자료 검색을 하고 표를 만들어 달라고 하였다.

3-1 표의 양식:

제목 (Title)

저자 (Author)

년도 (Year)

3줄 요약 (3-line Summary)

연구방법 (Research Method)

출처 (Source)

URL

구분

출처 검증

인공지능 기반의 초등학생용 상담 챗봇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이시훈,& 이재용

2023

본 연구에서는 불안을 느끼는 초등학생을 위해 개발된 인공지능 상담 챗봇의 효과를 검증했습니다.

양적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7(4), 425-432.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

국내

OK

3-2 Gemini와 SCISPACE가 정확하게 검색해 주었다.

<프롬프트>

국내외 논문과 학술 자료를 검색해줘요. "AI는 인간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는가? - 심리상담에서 AI 활용의 미래적 가능성 탐색" 이 제목에서 중요한 키워드를 발췌하여 각 키워드에 대한 2015년 이후 모든 논문을 검색해줘요. 그리고 표로 만들어 줘요. 표 내용은 1. 제목 2. 저자 3. 년도 4. 3줄 요약 5. 연구방법: 5-1 질적연구의 경우, 연구방법, 1) 문헌연구, 2) 사례연구, 3) 근거이론 4) 현상학적 연구 5) 문화기술지 중에 어느 것인가? 5-2 양적연구의 경우, 통계분석 방법 명시 6. 출처. 7. url 8. 국내는 한글로, 국외는 영어와 한글로 표를 만들어 줘요

선행연구 정리 내용: 기사 제외, URL없는 것 제외, 중복 제외.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SrwAZItmKC3ColgqhTLPmpuGipRp7-zEnDdavOZSfng/edit?usp=sharing

3-3 AI툴 검색 결과 정리:

Gemini: 국내 2, 국외 3. url을 정확하게 명시함. 신뢰 가능.

SCISPACE: 국내 1, 국외 9. 제목, 저자, 연도, 출처만 명시. 3줄 요약 없음. URL없음.

  • SCISPACE에서 검색한 내용을 Gemini에게 3줄 요약, url 검색을 시킴. 10개 모두 URL을 찾아 줌. 신뢰 가능

Claude: 국내 9, 국외 1. 그중 3개만 url을 찾을 수 있었음. 신뢰할수 없음.

ChatGPT: 국내 1, 국내 기사 4, 국외 5, 국외 시사 1. 그 중 국내 1개만 url 찾을 수 있었음. 기사 제외. 신뢰할 수 없음.

Perflexity: 국내 1, 국내기사 7. - 국내기사의 제목과 저자를 영어로 적음. 할루시네이션이 심함.

Elicit:: 5개의 논문을 찾아 분석을 해 주었으나, 내가 원하는 검색표는 만들지 않았다. 자신의 방법대로만 하는 툴인 것 같다. 너무 앞서 나간다.

  1. 연구방법: 선행연구 조사가 끝났으니 그 다음 내가 할일이 무엇인지 AI들에게 물어 보았다.

대부분 틀에 밖힌 논문 목차를 설명하는 수준이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gQkIv_SmjwMLSB7DneIW6fcMa8V_KjIoYh27VLKcvc/edit?gid=0#gid=0 : AI와 심리상담에 관한 선행연구들과 연구방법을 표로 정리하였어. 논문을 작성하기 위하여 이제부터 내가 할일은 무엇인가.?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할 사항이 연구방법이었다. 연구방법에 대하여 AI 툴들에게 물어 보았다. 대부분이 연구방법에 대한 교과서적인 대답을 내 놓았다. 다만 ChatGPT만이 구체적인 실행방법을 내 놓았다.

역시 내 입맛에 맞는 툴은 ChatGPT이다.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겸하여야 한다.

사례연구에 대하여 ChatGPT에게 구체적으로 질문을 하였다.

<프롬프트>

나는 연구방법을 먼저 정리해야 할 것 같아. 선행연구들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들이었고, 너도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이야기하고 있어. 사례연구는 내가 해 본 일이 없어. 사례연구는 어떻게 해야돼? 'AI와 심리상담'을 주제로 사례연구를 한다면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

<ChatGPT> 대답

✅ AI와 심리상담을 주제로 사례연구 진행하기
1. AI 심리상담 서비스(챗봇) 실제 체험 및 분석
AI 기반 심리상담 챗봇을 사용하고 그 경험을 분석하는 방식입니다.
AI 챗봇 선정: Woebot, Wysa, Replika와 같은 AI 심리상담 챗봇 중 하나를 선택해 사용합니다.
사용 대상 설정
‘AI와 심리상담’을 주제로 사례연구를 진행하려면 AI 기반 심리상담 시스템을 실험하거나, 실제로 사용된 사례들을 분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AI와 심리상담을 주제로 사례연구 진행하기
1. AI 심리상담 서비스(챗봇) 실제 체험 및 분석
AI 기반 심리상담 챗봇을 사용하고 그 경험을 분석하는 방식입니다.
방법:
AI 챗봇 선정: Woebot, Wysa, Replika와 같은 AI 심리상담 챗봇 중 하나를 선택해 사용합니다.
사용 대상 설정: 코치님이 직접 사용해 볼 수도 있고, 주변 사람들(가족, 친구, 동료 등)을 대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대화 내용 기록: 챗봇과의 대화 내용을 기록하여 공감 능력, 감정 분석 기능, 응답 방식 등을 평가합니다.
예시) 챗봇이 감정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문제 해결을 어떻게 돕는지, 상담자가 제공하는 피드백의 질을 평가
분석 포인트 설정:
AI의 공감 능력: 사용자가 불안, 우울 등의 감정을 표현했을 때 AI가 적절히 반응하는지
응답의 적절성: AI가 제공하는 정보나 상담이 실제로 도움이 되는지
인간 상담자와의 차이점: AI와 인간 상담자의 대화 방식 차이, 감정 인식의 한계 등을 비교
2. 사례연구의 데이터 분석
대화 내용을 기록한 후, 다음과 같은 항목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AI의 감정 인식 정확도: 텍스트나 음성에서 감정을 얼마나 잘 파악하는지
상담 효과: 상담 후 사용자가 느낀 변화나 효과
상담 접근성: 언제든지 접근 가능하고 시간 제약 없이 상담할 수 있다는 점이 어떻게 효과적이었는지
한계: AI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나 기술적 한계 분석
3. 다른 연구자의 사례 분석
AI 심리상담 서비스 이용 후기나 과거의 연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제 사례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습니다. 예를 들어, Woebot을 사용한 사람들의 리뷰나 연구자들이 진행한 실험 데이터를 참고하여 유사한 분석을 해볼 수 있습니다.
4. 사례연구 보고서 작성
사례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그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제공합니다. 이 보고서에서 강조할 수 있는 점은:
AI 상담의 효과성: 실제로 심리상담에서 AI가 유용한 도구인지, 인간 상담자와의 협력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기술적 한계: AI가 감정 인식을 제대로 하지 못할 때 생기는 문제
미래 전망: AI가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더라도, AI와 인간이 협력하는 방식에 대한 가능성 탐구
✅ 사례연구 진행 시 참고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
AI 심리상담 챗봇 체험
예시: Woebot과 대화를 나누며 실제 상담을 진행해 보고, 그 내용을 기록
평가 항목: 감정 표현, 상담 적합성, 상담 후 사용자의 피드백
사례 인터뷰 및 설문조사
챗봇을 사용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나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실제 사용자의 경험을 분석
질문 항목 예시:
"AI 상담을 받으면서 가장 도움이 되었던 점은 무엇인가요?"
"AI의 감정 반응이 실제로 공감이 갔나요?"
"AI와의 상담 후 감정 상태가 어떻게 변했나요?"
AI 심리상담의 윤리적, 사회적 영향 분석
AI를 심리상담에 도입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예: 개인정보 보호, 감정 조작)에 대한 사례를 찾아보고 그 영향력을 평가

✅ 결론: 사례연구 진행 시 주의사항
데이터의 다양성: 가능한 다양한 사례를 확보하여 더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을 하세요.
AI의 한계와 가능성: 단순히 AI가 잘하는 점만이 아니라 한계를 파악하고 그것을 해결할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윤리적 문제: AI 상담이 가져올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신중히 다루어야 합니다.

챗봇으로 심리상담을 한 결과와 설문 결과는 다음 편에 계속할 예정이다. 준비물을 ChatGPT에게 부탁하였다.

챗봇 추천해줘요. 실험 계획서를 작성해줘요. 챗봇 상담이 끝난 후의 설문지를 작성해줘요. 그리고 또 필요한 것 있으면 작성해줘요

챗봇은 스탠포드 대학에서 만들은 Woebot Health로 정했다. 연구 집단은 현재 내가 소속된 '긍정심리학 스터디' 그룹으로 이 번 금요일 모임 때 할 예정이다.

결과와 배운 점

  1. 'Tip: 코드 전문은 코드블록에 감싸서 작성해주세요. ( / 을 눌러 '코드 블록'을 선택' 이 내용을 몰라서 챗지피티와 티카타카 하루 종일 씨름했다. 이렇게 간단한 것을 6개월간 왜 몰랐을까?

  2. 챗지피티가 당장 논문을 써 줄듯 덤빈다. 천천히 차분하게 하나하나 풀어나갈 예정이다. 챗지피티 이외에 다른 여러가지 툴들을 사용해 볼 예정이다.

  3. 대부분의 AI출들은 요약에 특화 되어 있다. 논문 검색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논문이 개방되어 있지 않은 곳도 많이 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1. 곽은철님의 핵심강의

  2. 스터디장 이지영교수님의 사례 계시글

5
5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