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 MCP 마크다운 변환기를 이용하여 편집 템플릿 적용 업무 자동화 부분 적용

모각에서 주변의 도움을 받고 겨우 MCP노션 1번만 깔아봤지만 너무나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경험으로 MCP를 보며 학술지 편집업무 자동화의 꿈이 이루어질까 모색하던 중 스터디 전용 카톡방에서 방장 중 1분이신 개발자F께서 마이크로 소프트 오피스 문서를 마크다운으로 바꿔주는 MCP가 공식으로 나왔다고 알려주셔서 부분적용 사례라도 시도해 보았습니다.

https://github.com/microsoft/markitdown

경험이 미천하다보니 강의때는 감탄하며 할수 있겠다 생각했지만 막상 위 사이트를 열버보니 눈앞이 캄캄., 일단 설치에 목표를 두었습니다.

깃허브만 나오면 커서 사용하다가 미로에 빠진 악몽이 있어 주저했지만 지피터스 3회차의 요령을 발휘하여 바로 클로드에게 다시 물었습니다

"마이크로 소프트 오피스 문서를 마크다운으로 바꿔주는 MCP를 클로드데스크탑에 설치하려해 . 첨부는 공식문서야 . 나는 윈도우를 쓰고 현재 내 MCP는 노션만 있고 깃허브는 id만있어 . 마이크로 소프트 오피스 문서를 마크다운으로 바꿔주는 MCP 설치하는 방법을 노션MCP로 한단계 한단계 알려줘"

1단계: MarkItDown 및 markitdown-mcp 설치하기

먼저 Python과 pip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명령 프롬프트(cmd)를 열고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pip install 'markitdown[all]' markitdown-mcp

이 명령어는 MarkItDown과 모든 필요한 의존성, 그리고 MCP 서버를 설치합니다.

2단계: MCP 서버 시작하기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명령어로 MCP 서버를 시작합니다:

markitdown-mcp

기본적으로 이 서버는 http://localhost:8080에서 실행됩니다.

3단계: Claude Desktop에 MCP 연결하기

1단계, 일단 구글앱스크립트 강의 들었을때 파이썬을 설치했고 기억을 살려내어 파이썬에 대한 두려움없이 일단 설치, 의외로 바로 성공.

2단계, 1단계 성공에 자신감을 갖고 바로 실행, 결과는 실패.

지피터스 3회차에게 1번의 실패는 병가지상사, 클로드에게 또 묻고 ffmpeg나 avconv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 처리에 필요한 도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라는 클로드대답대로 해도 또 2번째 실패,

클로드 대답도 100% 믿지 않는 지피터스 3회차는 두번째 단계를 무시하고 3번째로 나가는 방법을 시도.

"Claude Desktop에서 MarkItDown MCP 서버 연결하는 방법

Claude Desktop에서 MCP 서버를 설정하고 연결하는 단계별 방법입니다:

1. Claude Desktop 열기

컴퓨터에 설치된 Claude Desktop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

2. 설정 메뉴로 이동

  1. 화면 좌측 하단에 있는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하여 설정 메뉴를 엽니다.

  2. 또는 키보드 단축키 Ctrl+,(콤마)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3. MCP 서버 설정 찾기

설정 메뉴에서 "Model Context Protocol" 또는 "MCP Servers" 섹션을 찾습니다. 이 섹션은 일반적으로 왼쪽 사이드바에 있을 수 있습니다."

문제는 내 데스크탑에는 클로드가 말하는 내용이 없었음. 실맹하지 않는 3회차는 다시 전가의 보도 스크린샷 붙여넣기로 재도전

컴퓨터에서 한국어 메뉴의 스크린 샷

클로드의 답변은

" 화면을 확인해보니 MarkItDown MCP가 이미 Claude Desktop에 연결된 것으로 보입니다. "Convert Microsoft Office to Markdown with MarkItDown MCP" 옵션이 상단에 표시되어 있고, 화살표를 클릭했을 때 즐겨찾기 옵션만 나타나는 것은 이미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이미 성공하였던 것임. 이제 바로 실행하면 된다고 함

"MCP 서버가 작동하는지 테스트하려면:

  1.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문서(Word, Excel, PowerPoint 등)를 준비합니다.

  2. Claude Desktop 대화창에 해당 문서를 끌어다 놓거나 파일 업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파일을 선택합니다.

  3. 업로드 시 "Convert Microsoft Office to Markdown with MarkItDown MCP" 옵션이 자동으로 적용될 것입니다.

  4. 문서가 마크다운으로 변환되어 Claude에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1차 현재 편집중인 워드를 넣었음. md파일로 자동변환됨.그러나 처음에는 클로드가 md로 어디에 바꾸어 놓았는지 몰라 겨우 발견.
다음 두번째 템플레이트 파일 올리고 결론으로 바로 단도직입.
"지금편집 하는 파일, md파일 변환을 이용해 템플레이트 파일로 바꾸줘"

물론 클로드는 지피티처럼 워드로 바로 변환은 안해주고 방법만 알려준다
그러나 안된다 군소리하지 않고 바꾸어 주었다.

첨부 파일 AH-Atkins-Wu-bookReview-1.1.0 의 마크다운 파일을 참조하여 서평mockup_240625_1200-최종의 마크다운 방식으로 변경한 후 다시 워드 파일로 만들어줘

편집

MarkItDown MCP가 성공적으로 연결되어 두 개의.docx 파일을 마크다운으로 변환한 것으로 보입니다. 첫 번째 파일(AH-Atkins-Wu-bookReview-1.1.0.docx)의 마크다운 형식을 참조하여 두 번째 파일(서평mockup_240625_1200-최종.docx)의 마크다운 방식을 통일하겠습니다.

먼저 첫 번째 서평의 마크다운 형식을 분석하고, 그 형식에 맞게 두 번째 서평을 수정한 다음 워드 파일로 만들 수 있는 마크다운 버전을 제공하겠습니다.

분석

첫 번째 서평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사용합니다:

  • 책 정보를 굵은 글씨(bold)로 표시

  • 저자, 출판사 정보 등을 bold로 표시하고 책 제목은 italic으로 표시

  • ISBN 및 가격 정보를 bold로 표시

  • 리뷰 저자 이름과 소속을 bold로 표시

  • 챕터 제목을 bold로 표시

  • 인용 및 참고문헌은 일반 텍스트로 표시

Microsoft Word의 문서 스크린 샷

아직 원하는 수준은 아니지만 이제 자동화의 희망이 보인다는 것, 워드 MCP는 유튜브외 블로그에도 없는데 지피터스에서 사례글을 썼다는데서 자동화에 다시 도전할 용기가 생겼다.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