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및 목적
사전 스터디 후기 는 블로그 링크로 대체합니다
아무튼 배경은 스터디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AI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는 tool 들을 선택하고 세팅하는 과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참고 자료
https://www.gpters.org/wealth/post/blog-automation-using-google-cGIjZKd14B8CW1B
활용 툴
검색: perplexity
자동화용 데이터베이스: 구글 스프레드시트
파이프라인 자동화 : make
이미지 편집: canva
동영상 편집: vrew
실행 과정
가장 먼저 해본 작업은 검색엔진을 바꾸는 것! AI 기반 검색엔진으로 바꾸기
가장 많이 언급된 검색엔진 두가지를 검토해보았다
### 테스트 검색 키워드: "스페인 현지의 바차타 살사 커뮤니티"
성능 자체는 일단 아직 사용감이 적어 정확히 모르겠지만 검색결과만 나열되는 것이 아닌 AI 응답이 포함된다는 점이 가장 맘에 듬
### 퍼플렉시티 : perplexity
자동화 솔루션: 사용가능 (make.com)
유료: 20달러
### 젠스파크 : genspark
가격: 무료
자동화 솔루션 : 현재 노드가 제공되고 있지 않음 (make.com), make 에 나오면 재검토 하기로
결과적으로는 파이프라인 자동화(make) 까지가 목적이기 때문에 퍼플렉시티로 결정했다
작업용 시트는 무엇으로 해야할까? 노션? 스프레드시트?
자 이제 물어보면서 천천히 세팅을 해보는데 일단 제일먼저 검색부터!
make에서 자동화는 노션이 나을까 구글스프레드시트가 나을까 코딩이 가능하다면?
## 퍼블렉시티의 답변
코딩이 가능하다면, 자동화 측면에서 구글 스프레드시트가 노션보다 더 강력한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두 플랫폼의 자동화 기능을 비교해보겠습니다.
###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자동화
구글 스프레드시트는 Apps Script를 통해 강력한 자동화 기능을 제공합니다:
- Apps Script: JavaScript 기반의 스크립팅 언어로, 복잡한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광범위한 통합: Google Workspace의 다른 서비스들과 쉽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 유연성: 450개 이상의 내장 함수와 사용자 정의 함수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 조작이 가능합니다.
- 트리거 기능: 시간 기반 또는 이벤트 기반 트리거를 설정하여 자동화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 노션의 자동화
노션도 자체적인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지만,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비해 제한적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자동화: 페이지 생성/편집, Slack 알림 전송 등의 기본적인 자동화가 가능합니다
- API 활용: Notion API를 통해 외부 도구와 연동할 수 있지만, 추가적인 개발 작업이 필요합니다
- 제한된 프로그래밍: 노션 내에서 직접적인 코딩은 불가능하며, 외부 도구를 통해 자동화를 구현해야 합니다.
## 코딩 가능 시 장점
코딩 능력이 있다면 **구글 스프레드시트** 에서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맞춤형 함수 생성: 복잡한 로직을 구현하는 사용자 정의 함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외부 API 연동: RESTful API를 통해 외부 서비스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 자동화 워크플로우: 트리거를 사용해 특정 조건이나 시간에 스크립트를 자동 실행할 수 있습니다.
- UI 커스터마이징: 사용자 정의 메뉴나 사이드바를 만들어 스프레드시트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 대량 데이터 처리: 대규모 데이터셋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결론
코딩 능력이 있다면, 구글 스프레드시트가 자동화에 있어 노션보다 더 나은 선택입니다.
Apps Script를 통해 더 복잡하고 맞춤화된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Google Workspace 생태계와의 통합도 용이합니다
다만, 데이터베이스 관리나 문서 작성 측면에서는 노션이 여전히 강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작업의 성격에 따라 두 도구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Make.com과 같은 도구를 활용하여 노션과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연동하는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검색엔진에서도 언급되는 make.com
아무튼 결론대로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결정
이미지 생성은? 비디오는? 어도비는 너무 어려워서...
## 이미지: make 에서 canva api 쓸 수 있다!
이미지 편집 플랫폼 중에 캔바가 api 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아냈고 (플렉시비티 대단쓰...)
한번 적극적으로 사용해볼 생각으로 포토샵에서 캔바로 갈아탐(포토샵 ai이미지생성은 좀 어려웠어여..)
## 비디오: vrew 자막 및 기타 서비스
내목소리 tts 도 되고 자동자막도 되고 암튼 ai임 자세한건 직접 만들면서 소개하기로
결과 및 인사이트
세팅만 했는데 구독료가 엄청나게 나갈 예정...
두렵기도 하고 생소하기도 하지만 마치 자동차를 타고 다니다가 비행기가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기분이랄까요
제 세계관에 자동화 1차원이 더 생겼어요
앞으로 다양한 활동을 해보면서 재밌는 사례를 많이 만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