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커리어 방향을 다시 설계하면서, 내 경험을 새로운 시선으로 정리해보고 싶었습니다. 익숙한 방식보다는 다양한 AI 도구들을 활용해보니, 생각보다 유연하고 흥미로운 접근이 가능하더라고요. 덕분에 나를 더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이력서를 만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진행 방법
사용한 도구
📌 제미나이(Gemini)
📌 챗GPT (ChatGPT)
📌 노트북 LM (Notebook LM)
이렇게 활용했어요
1. 제미나이 – 딥리서치를 통해 방향 설정
먼저, 제미나이의 딥리서치 기능을 활용해 커리어 전환에 필요한 역량과 가능성을 탐색해봤어요.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로 시작했습니다:
수학 교육 전문가의 커리어 전환을 위한 역량 정리와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진로를 탐색해야 해. 경력: 수학 학원 15년 운영, 초·중·고 강의 가능 강점: 수학 교육 경험, 커리큘럼 설계 능력, AI에 대한 관심 목표: 새로운 커리어 탐색 기간: 2024년 이후 분야: 교육 × AI 융합 분야
제미나이는 관련 키워드, 유망한 분야, 필요 역량 등을 정리해주며 생각의 방향을 잡는 데 큰 도움이 되었어요.
2. 챗GPT – 내가 걸어온 여정을 기반으로 자기점검
그 다음엔 챗GPT의 메모리 기능을 활용해, 지금까지 준비한 과정들을 바탕으로 어떤 방향이 나에게 적합할지 점검해봤어요.
이미 입력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흐름을 파악하고
“지금까지 준비한 방향이 일관적인가?”, “무엇이 부족한가?”를 물으며 스스 로를 피드백할 수 있었어요.
3. 노트북 LM – 전체 내용 맥락 정리 및 리서치 연계
최종적으로, 앞에서 생성한 콘텐츠들을 노트북 LM에 모아두고 흐름과 일관성을 확인했어요.
필요한 개념을 찾아보거나
내가 놓친 연결 지점을 보완하며
전체 글의 논리성과 맥락을 다듬는 데 사용했습니다.
결과와 배운 점
다양한 AI 도구들을 조합해 쓰다 보니, 단순한 이력서 작성이 아니라 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정리해보는 계기가 되었어요.
특히 제미나이와 챗GPT를 병행하면서, 단순한 글쓰기 지원이 아니라 방향 탐색, 피드백, 언어 다듬기까지 단계별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어요.
클로드는 표현을 더 유연하게 바꾸는 데 강점이 있었고, 노트북 LM은 내가 정리한 자료를 모아서 큰 흐름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는 아카이빙 도구처럼 유용했어요.
무엇보다도, AI가 만들어주는 문장을 그저 복사해서 쓰기보다는, 그 결과물을 보며 내 언어로 재해석하고 정제해가는 과정이 의미 있었어요.
시행착오
처음에는 각 도구들이 제공하는 결과물만 보고 뭔가 부족하다고 느꼈는데, 내가 주도적으로 목적과 구조를 정해주었을 때 더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왔어요.
여러 도구들을 오가다 보니 오히려 중복되거나 산만해지는 순간도 있었는데, 그럴 때마다 기준을 다시 설정하고 필요 없는 결과는 과감히 제외했어요.
앞으로의 계획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포트폴리오 구성이나 자기소개 발표 자료도 같은 방식으로 제작해보려고 해요.
특히 '교육 × AI'라는 키워드가 더 구체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제미나이와 노트북 LM을 활용한 리서치 루틴도 만들어볼 생각이에요.
도움 받은 글 (옵션)
여행가j님 스터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