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날로그형 인간의 문헌분석 논문 작성을 위한 논문 찾기 여정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제가 속한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한 가지 주제에 관하여 깊이 있게 알아보고자 할 때,

동향분석, 문헌분석 등의 Literature Review 논문을 쓰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문헌분석 논문 작성을 위한 대상 논문 찾기를 시도해보았는데요.

 

Literature Review 논문을 위해서는

연구자가 설정한 키워드들로 특정 기간 내 게재된 논문을 누락 없이 모두 찾아

연구대상 문헌으로 삼아야지 제대로 된 해당 주제에 관한 분석 논문이 되기 때문에

문헌 찾기가 정말 중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의 제 탐구 주제는

‘AI 의 도움으로 찾은 문헌’과 ‘아날로그 방식으로 찾은 문헌’ 리스트를 비교해보고,

AI가 어느 정도까지 논문을 찾아주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습니다.

 

지피티도 클로드도 인간과 AI의 노력을 병행하라고 나온긴 하네요^^;;

저는 ‘AI 활용 신생아’ 수준이기 때문에 결론이 이상할 수도 있는 점^^;;;

미리 양해 부탁드립니다.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Chat GPT, Claude, Elicit, ResearchRabbit

먼저 어떤 AI tool들을 사용하는게 가장 좋을지를 물어보았습니다.

한 가지 주제를 잡아서 문헌분석 논문을 작성하려고해. 연구자가 설정한 키워드로 특정 기간 내에 게재된 논문을 누락 없이 모두 찾아 연구대상 문헌으로 삼아야만 제대로 된 해당 주제에 관한 분석 논문이 되기 때문에, 문헌의 누락이 있어서는 안되. AI를 활용해서 문헌분석 논문을 작성하기 위한 절차와 단계별로 어떤 AI tool들을 사용하는게 가장 좋을지를 제시해줘. 

논문작성을 위한 5단계와 함께 AI 도구들도 제시해주었습니다.

논문 수집에 앞서, 키워드 제안을 GPT에게 시켜보았습니다.

분석할 주제는 ‘우울증과 아로마테라피’로 설정하였고,

실습해보는 것이니 최근 10년간 발행된 논문으로 범위를 좁혔습니다.

내가 쓸 논문의 주제는 ‘우울증과 아로마테라피’야. 지난 10년(2015~2024)간 ‘우울증과 아로마테라피’를 주제로 하는 논문들을 모두 찾아서 문헌분석 논문을 작성하려고해. 해당 기간 동안에 '우울증'과 '아로마테라피' 2가지를 공동 키워드로 하는 논문을 찾아야해. 
아로마테라피로 우울증을 치료한 사례, 우울증 환자나 내담자에게 아로마 혹은 에센셜 오일을 적용해서 치료를 하거나 상담을 한 사례에 관한 연구들을 모두 찾아 문헌분석 연구를 할거야. 논문 수집 시 활용할 키워드를 제시해줘. 주의할 점은 누락되는 논문이 없어야하니 여러개 키워드를 사용해야 할 것 같아. 최대한 많은 키워드 조합을 제시해줘.

키워드 조합이 너무 많아서, 쿨하게 바로 포기하고;;;;;;;;;; (실습하는게 중요하니까요ㅠㅠ)

다시 키워드를 줬습니다. 아로마테라피, 국내논문 한정, 10년

주제를 다시 줄께. 내가 문헌분석 하려는 주제는 '아로마테라피'이고 최근 10년간의 국내문헌만 대상으로 할거야. 키워드를 최대한 뽑아줘.
한국 단어 목록이있는 한국어 목록

키워드와 함께 키워드 조합 예시를 주었어요.

한국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 샷

그리고 논문 찾는 채널을 AI들을 제시해 주지않고, 원래 찾던 KCI, RISS, DBPia 등의 플랫폼에서 직접 찾으라는 식으로 검색팁을 주었어요.

그래서 AI를 활용해서 문헌을 찾으려고하니 방법을 알려달라고 했어요.

분석할 문헌은 AI로 찾을거야. 어떤 AI를 활용하면 될지 추천해줘. 최대한 누락 없이 논문을 취합해야 되. 분석 대상 논문은 “최근 10년간 발행된 국내문헌이고, 학위논문은 제외할거야” 어떤 AI로 찾으면 될지와 그 AI에서 어떻게 문헌을 찾아야 하는지 방법도 알려줘. 

왜 아날로그 방식으로 찾으라고 알려주나 했는데 이유를 알게되었어요.

현재로선 AI 기반 문헌 수집은 해외문헌만 가능한 것 같아요. 그러고보니 우리 스터디 때도 해외문헌만 된다고 들은 기억이 났습니다;;;;;;

옵션 목록이있는 한국어 페이지

그래서, 다시 “최근 발행된 해외문헌을 대상”으로 변경, 시도해보았습니다.

분석 대상 논문을 변경할께. 분석 대상 논문은 “최근 10년간 발행된 해외문헌이고, 학위논문은 제외할거야” 어떤 AI로 찾으면 될지와 그 AI에서 어떻게 문헌을 찾아야 하는지 방법도 알려줘. 주제는 아로마테라피야. 

실습이니만큼 다양한 키워드 말고, "aromatherapy" OR "essential oil"로 비교해보았습니다.

GPT는 단계별 검색전략으로 1) 아날로그 방식으로 기초수집 후, 2) AI 기반으로 문헌을 확장하고, 누락을 방지해라 라고 방법을 제시해주었습니다.

한국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그래도 원래 제가 하고자 했던 방식으로 비교 한번 해보겠습니다.

(아날로그) PoP에서 DB 선택: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Google Scholar

(AI 활용) Elicit, ResearchRabbit

(아날로그) PubMed, 2015-2024, 396개 Paper 확인 가능. Abstract 포함한 논문 관련 정보 Export 가능

(AI 활용) Elicit : 2015~2024, Abstract 포함 -> 유료회원이어야 Export 가능^^;;;; 해서 최종 몇 편인지는 확인 할 수 없었습니다.

(AI 활용) ResearchRabbit : 쭉 리스트를 보여줌. Abstract 확인되는 것으로 보이나, 몇 편인지를 알 수 없음, export 기능있고 무료라고 들었는데;;;; 저는 보이는 화면에서 나가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누가 알려주세요~~

결과와 배운 점

아직까지는 문헌분석 연구는 인간의 수고로움이 많이 필요한 작업이다.

AI 기반 검색 툴들은 “혹시 누락된 논문이 있을까?” 할 때 참고로 보면 되는 것 같다.(문헌분석 논문 작업의 경우)

 

2번째 게시글도 부족하지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사례 공유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우리 15기 끝까지 화이팅~!!!🤩 😀 😆 👍 👏

2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