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로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하기


일잘러 장피엠님의 영상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어 실무에 적용해봅니다.

참고한 영상은 아래 영상이며, 제공된 구글시트를 복사해서 사용했습니다.


사본을 가져와 2022년 개정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학습 목표, 학습활동을 추천 해달라고 했습니다.

일단 성취기준을 먼저 붙여넣기하고요. 성취기준을 시트에 있는 구글 번역을 사용하여 영어로 번역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GPT함수를 이용해 성취기준과 관련된 핵심개념을 추천해 달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대답한 것을 한글로 번역하였고요.

분석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취기준 분석 - 핵심개념 분석 - 학습목표 생성 - 수업활동 추천 - 수업시나리오 작성

질문은 모두 영어로 하도록 했고, 결과는 구글 번역으로 작성했습니다.

중간에 작업하던 중에 GPT의 대답이 초등학교 수준을 넘는 것이 있어 프롬프트를 수정해가며 작업을 했습니다. “초등학교 과학선생님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라”는 프롬프트를 추가했고 아래는 그 결과입니다.

하나의 성취기준 분석이 끝났습니다. 과학과 성취기준은 3,4,5,6학년 과정에 총 102개가 있습니다. 이제 스프레드 시트의 자동화를 돌려봅니다.


시트에 내용이 자동으로 잘 채워지고 있습니다. 중간에 오류나는 부분도 있는데.

요런 메세지로 뜨네요. 결과 값이 너무 길어서 나는 오류 같습니다. 들어가는 프롬프트 내용을 좀 줄여서 시도해야하나 봅니다.


그렇게 해서 전체교육과정에 대한 쉽고 빠른 파악과 수업추천까지 받아보았습니다. 내용이 몇몇은 확실히 도움이 되는 것도 있고, 몇몇은 번역의 오류인지 매끄럽지 않은 부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빠르게 모든 성취기준을 분석해 보는 건 어디서도 쉽지 않습니다. 전과목 돌려보면 초등학교 수업에 대해 어느 정도 빠른 파악과 수업 인사이트를 얻기에 충분할 것 같습니다.

구글 슬라이드는 새로고침 될 때마다 GPT API를 호출해서 답을 불러오기 때문에, 얼른 값만 복사해서 아래와 같이 저장해두었습니다. 시간이 날 때 천천히 읽어보며 수업에 인사이트를 얻어봐야 겠습니다.

그리고 아직.. 9과목 남았습니다……..

GPT로 2022개정 과학과 초등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하기.xlsx

음.. 그리고 떠오르는 추가 아이디어로는

  1. 수업시나리오를 보여주고 수업에 대한 문서작성을 하면 혹시 수업PPT까지 어느 정도 기초틀을 잡아줄 수 있을까 생각해보았는데, 그것은 다음에 감마를 활용해서 시도해보겠습니다.

  2. 학생상담과 관련해서, 학생을 익명으로, 각각의 특성을 적어놓고 상담사 역할을 부여한다면 적절한 상담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요것도 다음에 시도해보겠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7
5개의 답글

(채용) 콘텐츠 마케터, AI 엔지니어, 백엔드 개발자

지피터스의 수 천개 AI 활용 사례 데이터를 AI로 재가공 할 인재를 찾습니다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