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 Interpreter로 데이타분석하기

  1. raw data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궁금해서 data trimmimg없이 업로드함.


2. data trimming과 기술 통계를 시킴


  1. 챗GPT는 요청된 태스크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태스크 과정에 대해 설명해주는 기능을 제공함. (**큰 강점으로 생각됨)


    1. 신뢰도표 (생략) 산출후 재수정을 요구함



  1. 아래는 한번에 3가지 태스크를 준 나쁜 사례임 : 지나고 보니 단계별로 하나하나 시키는 것이 시행착오를 막는 길임. 챗GPT는 멀티태스커라기 보다는 하나하나씩 접근하는 방식을 선호함.


6. 아래와 같이 보다 단계별로 시도해 봄: 하단에 보이는 바와 같이 모호한 요청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원함. 두가지 옵션 중 후자를 택하여 정보를 제공함.



7. 챗GPT와 상호작용중 일정정도 시간이 흐르면 어떤 데이타를 분석하고 있었는지 기억을 못함. STM이 비교적 약한 듯함. 이 경우 다시 리마인드를 해야 함.



8. 다시 데이타 업로드후 STM을 찾기 위해 재질문함.



소고: 앞으로 챗GPT나 관련된 아류가 데이타 분석 및 해석 도메인을 잠식해 간다면 새로운 데이타 분석과목이 생겨나야 하지 않을까 싶다. 비단 데이타분석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도 GPT의 배타적인 독주가 계속된다면 인간은 사고하는 동물이기 보다는 질문하는 동물로 존재의 의미를 확인해야 하지 않나 싶다…



5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