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프 스터디 개인]GPT DATAANALYSIS 로 실험 데이터 분석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GPTers 코드인터프리터 스터디에 참가하여 143분으로부터 노하우를 많이 얻어서 감사하다는 말씀 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저는 화공생물공학을 전공하고 있고 전공 특성 상 실험을 꽤 많이 진행했습니다.

거의 한 주에 하나 주제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데이터가 꽤 많아요

그 중에서 저는 이미지 분석과 데이터 피팅을 진행할 수 있는 실험 데이터를 GPT DATA ANALYSIS 기능으로 예전 데이터를 다시 분석해보았습니다.


총 2개 데이터를 분석해보았습니다

1. 미생물 배양한 conlony 이미지 분석 (data analysis, web browsing 사용)

2. Hydrogen 생산 공정에서 피드유량(Steam molar flowrate/Carbon molar flowrate)과 경제적 이익(Revenue)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를 fitting해서 원하는 좌표값을 얻기위한 모델을 만드는 과정을 보여드리겟습니다. (data analysis 사용)

우선 이미지 분석입니다.

이미지 분석은 [KIER energy+AI]03 번 영상에서 영감을 받아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간단하게 실험 내용도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존에 발표했던 실험의 내용을 바탕으로, 제공해주신 사진에서 "요구르트 농도에 따른 유산균 성장을 분석"하는 작업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실험 배경

기존의 실험에서는 pH, 온도, 미생물의 생장과 영양, 배지의 종류와 첨가물, 멸균 방법 등 다양한 변수에 대해 고려하였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은 미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유산균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사진 분석

  • 사진에서의 유산균 군집: 하얀색 점들이 유산균의 군집(colony)으로, 이를 통해 유산균의 성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 배지: 노란색으로 나타나 있으며, 액체 상태에서 유산균을 희석한 용액을 스프레딩한 후, 군집을 형성하게 했습니다.

분석 방향

  1. 군집의 수: 사진에서 유산균 군집의 총 수를 파악합니다. 더 많은 군집은 더 많은 유산균 성장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2. 군집의 크기: 각 군집의 크기를 측정하여 평균 크기를 구합니다. 큰 군집은 더 활발한 성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군집의 분포: 군집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 분석합니다. 이는 배지 내의 영양소 분포나 pH 등 다른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런 주제입니다.

https://chat.openai.com/share/b4531242-6144-4941-b980-796d6811a1f1



이렇게 사진과 과정에 대한 설명을 하며 시작합니다.

먼저, 제공해주신 사진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요구르트 농도에 따른 유산균 성장을 분석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겠습니다.

Finished working

Hide work

pythonCopy codefrom PIL import Image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Load the images
image_paths = [
    '/mnt/data/KakaoTalk_20221205_170719969.jpg',
    '/mnt/data/KakaoTalk_20221205_170719969_01.jpg',
    '/mnt/data/KakaoTalk_20221205_170719969_02.jpg'
]

# Display the images
fig, axes = plt.subplots(1, 3, figsize=(15, 5))
for i, ax in enumerate(axes):
    img = Image.open(image_paths[i])
    ax.imshow(img)
    ax.axis('off')
    ax.set_title(f"Image {i+1}")

plt.show()

사진을 확인했습니다. 각 사진에서 유산균의 군집(colony)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군집은 요구르트 농도에 따라 성장률이 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요구르트 농도에 따른 유산균 성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오! 사진을 잘 가져와서 알맞게 배치까지 했네요

그리고 적절한 프로세스를 제안해줍니다.


  1. 이미지 전처리: 유산균의 군집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이미지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관심 영역을 추출합니다.

  2. 군집 분석: 추출된 이미지에서 유산균 군집의 크기나 개수를 측정합니다.

  3. 데이터 분석: 요구르트 농도와 유산균 군집의 크기나 개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합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Python의 OpenCV, scikit-image, NumPy, Pandas 등의 라이브러리가 유용할 것입니다.

먼저 이미지 전처리 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이미지에서 유산균 군집을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노이즈를 제거하고 색상을 조정합니다. 그 후에 군집을 세는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위 제안이 제가 생각한 것과 비슷해서 진행하라고 했습니다! 다만 경계값을 어떻게 설정하냐에 따라 어느 정도 색상의 이미지를 군집으로 판단할지 결정되기 때문에 경계값에 대한 부분은 좀 더 저와 상의하면서 진행하도록 진행했습니다.

좋은 생각이다. 이미지 전처리는 유산균 군집이 잘 보이도록, 주변의 필요없는 배경은 제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자. 그리고 경계값 설정을 할때는 나에게 너가 경계값을 설정한 근거를 나에게 설명하도록 해라


gpt가 알아서 잘 딱 깔끔하게 알아차리고 ‘Otsu's method’라는 방법을 제안해주네요

저는 처음 들어봤습니다.

네, 알겠습니다. 이미지 전처리를 진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계획하겠습니다:

1. 색상 공간 변환: 유산균 군집이 더 잘 보이도록 색상 공간을 변환합니다.

2. 배경 제거: 노란색 배지 부분을 제거하여 유산균 군집만 남게 합니다.

3. 이진화 및 경계값 설정: 이미지를 이진화하여 유산균 군집을 명확하게 분리합니다.

경계값 설정시에는 Otsu's method 등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최적의 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근거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이미지 전처리를 시작해보겠습니다.

이미지 전처리 결과를 보시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미지를 처리했습니다:

1. 원본 이미지 (Original): 이것은 원래의 컬러 이미지입니다.

2. 흑백 이미지 (Grayscale): 색상 정보를 제거하고 밝기만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변환했습니다.

3. 기본 임계값 처리 (Thresholding): 밝기값이 100 이상인 픽셀을 흰색으로, 그 외는 검은색으로 변환했습니다.

4. Otsu의 임계값 처리 (Otsu's Thresholding): Otsu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최적의 임계값을 찾아 이진화를 진행했습니다.

음 뭔지 저도 솔직히 잘은 모르겠지만, 일단 진행하면서 확인 해보죠

Otsu의 방법은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두 개의 클래스(배경과 객체)간의 분산을 최대화하는 임계값을 자동으로 찾습니다. 이 방법은 자동으로 임계값을 설정할 때 자주 사용되며, 특히 배경과 객체의 명암 분포가 뚜렷한 경우에 효과적입니다.

다음 단계로, 이러한 전처리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유산균 군집을 분석해보겠습니다. 계속 진행해도 괜찮을까요?


Otsu의 임계값 처리를 내 데이터에 적용한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해주세요 그리고 결과 사진을 저에게 보여주세요 설명을 다 하고 나면 다음 단계 이러한 전처리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유산균 군집을 분석해도 좋겠습니다

=>결과 사진을 보여주라고 요청했습니다.

Otsu의 임계값 처리는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가장 좋은 임계값을 자동으로 찾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1. 흑백 이미지 생성: 먼저 컬러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합니다. 흑백 이미지는 각 픽셀의 밝기를 나타내므로 히스토그램 분석에 적합합니다.

  2. 히스토그램 계산: 흑백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계산합니다. 히스토그램은 각 밝기 레벨의 픽셀 수를 나타냅니다.

  3. 분산 최대화: Otsu의 알고리즘은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두 클래스(배경과 객체)의 분산을 최대화하는 임계값을 찾습니다.

  4. 이진화: 찾은 임계값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이진화합니다. 임계값보다 밝은 픽셀은 흰색으로, 그렇지 않은 픽셀은 검은색으로 설정됩니다

  5. # Show only the Otsu's thresholding images for each sample

    fig, axes = plt.subplots(1, len(image_paths), figsize=(15, 5))

    axes[0].set_title('Otsu\'s Thresholding of Image 1')

    axes[1].set_title('Otsu\'s Thresholding of Image 2')

    axes[2].set_title('Otsu\'s Thresholding of Image 3')

    for i, image_path in enumerate(image_paths):

    , , , otsu = preprocessimage(image_path)

    axes[i].imshow(otsu, cmap='gray')

    axes[i].axis('off')

    plt.tight_layout()

    plt.show()



오 경계를 나름 잘 처리했습니다.

참고로 저는 이전에 아래 장표처럼 ddotcounter라는 프로그램으로 경계값을 수동으로 설정하면서 conlony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이떄 문제가 분석해야 될 사진이 아무리 적더라도 12개고 하나의 사진에는 콜로니가 대략 100~1000개 사이로 있기 떄문에 눈으로 세다가다는 실수하기도 쉽고 일관성있는 분석이 어려운 문제가 있습니다.

그런데 gpt가

‘‘흑백 이미지 생성: 먼저 컬러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합니다. 흑백 이미지는 각 픽셀의 밝기를 나타내므로 히스토그램 분석에 적합합니다.

  1. 히스토그램 계산: 흑백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계산합니다. 히스토그램은 각 밝기 레벨의 픽셀 수를 나타냅니다.

  2. 분산 최대화: Otsu의 알고리즘은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두 클래스(배경과 객체)의 분산을 최대화하는 임계값을 찾습니다.

‘‘

나름 기준을 가지고 자동으로 분류해주니 문제가 어느정도 해결되는 듯 합니다.



그래서 gpt가 과연 저한테 설명한대로 잘 처리했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Otsu의 방법은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했다고 했는데 히스토그램 분석한 과정도 나에게 보여줘’’ 라고 요청한 결과


이런 그림을 보여주네요 그 설명도 요청해봤습니다.


히스토그램을 계산하고 otsu 알고리즘으로 분산을 최대화하는 임계값을 찾는게 무슨 말이야? 보여준 그래프와 관련지어서 설명해줘


==>

히스토그램은 이미지의 밝기 또는 색상값 분포를 표현한 그래프입니다. 그래프의 X축은 픽셀의 밝기 레벨(일반적으로 0~255)을, Y축은 각 밝기 레벨에 해당하는 픽셀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이 히스토그램은 이미지 내에서 어떤 밝기 레벨의 픽셀이 많고 어떤 것이 적은지를 알려주므로, 이미지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Otsu의 알고리즘은 이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여 "가장 좋은" 임계값을 자동으로 찾아냅니다. 여기서 "가장 좋은"이라는 것은 두 개의 클래스(대게는 전경과 배경) 사이의 분산을 최대화하는 값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선택된 임계값에 의해 구분된 두 클래스 각각의 픽셀 값들이 내부적으로는 최대한 유사하면서 두 클래스 간에는 최대한 차이가 나게 하는 값을 찾습니다.

예를 들어, 유산균의 군집(colony)과 배지를 구분하는 경우에는,

  • 배경(배지) 클래스에 속한 픽셀들의 밝기 값은 서로 유사하게,

  • 전경(유산균 군집) 클래스에 속한 픽셀들의 밝기 값은 서로 유사하게,

  • 배경과 전경 클래스의 픽셀 밝기 값은 서로 최대한 다르게

하는 임계값을 찾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렇게 하면 두 클래스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 분석이 용이해집니다.

위에서 보여준 히스토그램에서도 이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특정 임계값을 선택하면 그 값보다 낮은 밝기를 가진 픽셀은 배경으로, 높은 밝기를 가진 픽셀은 전경으로 분류됩니다. Otsu 알고리즘은 이 임계값을 자동으로 찾아줍니다.



신기하네요..!


아무튼 계산한 결과로부터 의미를 도출해내기 위한 과정까지 해보겟습니다.

오 좋네요, 전처리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유산균 군집을 분석하겠습니다. 군집의 수와 크기를 측정하여, 요구르트 농도에 따른 유산균 성장을 분석해보세요 이떄는 생물학적 지식과 유산균 군집(colony) 형상에 따른 배경지식을 최대한 활용해서 분별력있게 구분하도록 하세요. 그리고 구분한 근거를 나에게 설명해야 합니다. 구체적인 수치와 명칭을 사용하면 더 좋습니다

라는 요청을 했습니다.


  1. 군집의 형상: 일반적으로 원형이거나 타원형입니다.

  2. 군집의 크기: 군집의 크기가 크면, 해당 농도에서 빠른 성장을 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3. 군집의 수: 군집의 수가 많으면, 해당 농도에서 유산균이 잘 번식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유산균 군집의 수와 크기를 측정해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이미지 분석 라이브러리인 scikit-image를 사용하겠습니다. 구체적인 수치와 명칭을 사용하여 분석 결과를 제공하겠습니다.

Finished working

Hide work

pythonCopy codefrom skimage.measure import label, regionprops
import pandas as pd

# Initialize a DataFrame to store the colony features
colony_data = pd.DataFrame(columns=['Image', 'Colony_Count', 'Average_Area', 'Total_Area'])

# Analyze the colonies in each preprocessed image
for i, image_path in enumerate(image_paths):
    _, _, _, otsu = preprocess_image(image_path)
    
    # Label each colony
    labeled_colonies, num_colonies = label(otsu, return_num=True, connectivity=2)
    
    # Measure properties of labeled regions (colonies)
    props = regionprops(labeled_colonies)
    
    # Calculate colony features
    colony_count = num_colonies
    average_area = np.mean([prop.area for prop in props])
    total_area = np.sum([prop.area for prop in props])
    
    # Append data to the DataFrame
    colony_data = colony_data.append({
        'Image': f'Image {i+1}',
        'Colony_Count': colony_count,
        'Average_Area': average_area,
        'Total_Area': total_area
    }, ignore_index=True)

# Show the DataFrame
colony_data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Image 1:

    • 군집 개수(Colony_Count): 113개

    • 평균 면적(Average_Area): 약 377.7 픽셀

    • 총 면적(Total_Area): 약 42687 픽셀

  • Image 2:

    • 군집 개수(Colony_Count): 127개

    • 평균 면적(Average_Area): 약 384.6 픽셀

    • 총 면적(Total_Area): 약 48822 픽셀

  • Image 3:

    • 군집 개수(Colony_Count): 81개

    • 평균 면적(Average_Area): 약 406.2 픽셀

    • 총 면적(Total_Area): 약 32904 픽셀

이 분석은 각 이미지에서 유산균 군집의 수, 평균 면적, 그리고 총 면적을 측정한 것입니다. 이러한 수치를 통해 요구르트 농도와 유산균 성장 간의 관계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군집의 수가 많고 평균 면적이 큰 경우, 해당 요구르트 농도에서 유산균이 잘 성장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코드를 설명해달라고 요청한 결과

이 코드는 이미지에서 유산균의 군집(콜로니)를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주요 단계와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DataFrame 초기화: `colony_data`라는 Pandas DataFrame을 초기화하여 콜로니의 특징을 저장합니다. DataFrame의 열은 'Image', 'Colony_Count', 'Average_Area', 'Total_Area'로 구성됩니다.

2. 이미지 분석: `image_paths` 리스트에 있는 각 이미지에 대해 다음 작업을 수행합니다:

- `preprocess_image(image_path)` 함수를 호출하여 이미지를 전처리하고, Otsu 임계값으로 이진화된 이미지(`otsu`)를 얻습니다.

3. 콜로니 라벨링: `label(otsu, return_num=True, connectivity=2)` 함수를 사용하여 이진화된 이미지에서 콜로니를 라벨링합니다. 라벨링된 콜로니(`labeled_colonies`)와 콜로니의 개수(`num_colonies`)를 반환합니다.

4. 콜로니 특성 분석: `regionprops(labeled_colonies)` 함수를 사용하여 라벨링된 각 콜로니의 특성을 분석합니다. 이 특성은 면적 등이 될 수 있습니다.

5. 콜로니 특성 계산: 콜로니의 개수, 평균 면적, 총 면적 등을 계산합니다.

6. DataFrame 업데이트: 계산된 콜로니 특성을 `colony_data` DataFrame에 추가합니다.

7. DataFrame 출력: 모든 이미지에 대한 분석이 완료되면, 콜로니 특성이 저장된 `colony_data` DataFrame을 출력합니다.

이 코드는 각 이미지에 있는 유산균 콜로니의 개수와 면적 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Pandas DataFrame에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답변을 얻었습니다. 사실 이런 과정 자체는 ImageJ라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진행할수도 있지만 1분도 안되는 시간에 자동으로 결과를 얻어내는게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결과도 나름 논리적인 과정을 거쳐서 구했고요



gpt가 물어보네요 =>

이런 분석을 통해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을지, 추가적으로 어떤 분석이 필요한지 고민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 단계로 어떻게 진행하면 좋을까요?


참고로 내가 제공한 3개 사진은 모두 같은 배지, 같은 농도의 유산균을 사용한 것이다. 그럼에도 왜 다른 결과가 발생한 것인지, 유산균을 배지에 접종(스프레딩)하는 과정, 배지를 플레이트에 옮기는 과정, 기타 등등 내가 설명하지 않은 일반적인 유산균을 배지에 배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요인들을 너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해서 ''왜 다른 결과가 발생한 것''인지 나에게 설명해라 반드시 사진을 분석한 것에 기반하여 대답해라 ““ 그리고 라고 알려준 결과


같은 배지와 농도의 유산균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결과가 나온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몇 가지 가능성을 제시해보겠습니다:

  1. 접종(스프레딩) 과정의 불규칙성: 유산균을 배지에 접종할 때, 미세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군집의 수와 크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배지의 균일성: 배지가 완벽하게 균일하지 않을 경우, 군집의 성장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균일성은 배지를 플레이트에 옮기는 과정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인큐베이션 조건의 미세한 차이: 온도나 습도 등의 조건이 약간씩 달라질 경우, 군집의 성장 속도와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 기타 미생물의 영향: 다른 미생물이 존재할 경우, 유산균의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잘 관리되지만, 완벽하게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5. 랜덤성과 생물학적 노이즈: 생물학적 시스템은 복잡하므로, 완벽하게 동일한 조건에서도 미세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분석에서는 군집의 수와 크기에 차이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요인들에 기반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군집의 수와 크기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접종 과정이나 배지의 균일성 등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렇게 답합니다. 그런데

너무 일반적인 이야기고 참고할 문헌도 부족한거 같아서 문헌을 요청했지만 답변이 시원찮네요

그래서 이건 web browsing을 사용해서

‘‘실험을 진행하고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배경

기존의 실험에서는 pH, 온도, 미생물의 생장과 영양, 배지의 종류와 첨가물, 멸균 방법 등 다양한 변수에 대해 고려하였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은 미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유산균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사진 분석

사진에서의 유산균 군집: 하얀색 점들이 유산균의 군집(colony)으로, 이를 통해 유산균의 성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배지: 노란색으로 나타나 있으며, 액체 상태에서 유산균을 희석한 용액을 스프레딩한 후, 군집을 형성하게 했습니다.

분석 방향

군집의 수: 사진에서 유산균 군집의 총 수를 파악합니다. 더 많은 군집은 더 많은 유산균 성장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군집의 크기: 각 군집의 크기를 측정하여 평균 크기를 구합니다. 큰 군집은 더 활발한 성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군집의 분포: 군집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 분석합니다. 이는 배지 내의 영양소 분포나 pH 등 다른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Image 1:

군집 개수(Colony_Count): 113개

평균 면적(Average_Area): 약 377.7 픽셀

총 면적(Total_Area): 약 42687 픽셀

Image 2:

군집 개수(Colony_Count): 127개

평균 면적(Average_Area): 약 384.6 픽셀

총 면적(Total_Area): 약 48822 픽셀

Image 3:

군집 개수(Colony_Count): 81개

평균 면적(Average_Area): 약 406.2 픽셀

총 면적(Total_Area): 약 32904 픽셀

-------

참고로 내가 제공한 3개 사진은 모두 같은 배지, 같은 농도의 유산균을 사용한 것이다. 그럼에도 왜 다른 결과가 발생한 것인지, 유산균을 배지에 접종(스프레딩)하는 과정, 배지를 플레이트에 옮기는 과정, 기타 등등 내가 설명하지 않은 일반적인 유산균을 배지에 배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요인들을 너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해서 ''왜 다른 결과가 발생한 것''인지 나에게 설명해라 반드시 결과를 분석한 것에 기반하여 대답해라 그리고 각 대답에 대한 참고문헌으로 교과서나 교과서에 버금가는 베이직한 논문을 함께 포함해야한다

‘‘ 라고 주문해봤습니다. 오 springer, 같은 학술지를 읽네요 ㄷㄷ


[유산균의 성장과 배양 매체에서의 군집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배지의 종류, pH, 온도, 미생물의 초기 농도, 멸균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주어진 실험에서는 같은 배지와 같은 농도의 유산균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각 이미지에서 군집 수와 크기에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아래와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배양 과정에서의 미세한 차이**: 유산균을 배지에 접종하고, 배지를 플레이트에 옮기는 과정에서 미세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접종 니들의 청결 상태, 접종 시간, 접종 후 배지의 처리 방법 등이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37†(Biology LibreTexts)】.

2. **온도와 pH 조건**: 배양 매체의 pH 및 온도 조건이 유산균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특정 pH 또는 온도 조건에서 유산균의 성장이 촉진되거나 억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건은 실험의 각 단계에서 약간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어떤 연구에서는 배양 매체의 pH 및 온도 조건이 미생물의 성장 및 바이오필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4†(AMB Express)】.

3. **배양 매체의 조성**: 배양 매체의 조성은 미생물의 성장과 미생물 군집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배양 매체의 영양소 농도, 첨가물의 종류 및 농도 등이 미생물의 성장과 군집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4†(AMB Express)】【35†(ResearchGate)】.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5310800_Alternative_culture_media_for_bacterial_growth_using_different_formulation_of_protein_sources

4. **미생물간 상호작용**: 같은 배지에서 미생물간의 상호작용은 미생물 군집의 수와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생물간의 경쟁 및 상호 작용은 미생물 군집의 분포와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39†(Frontiers in Microbiology)】.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micb.2015.01284/full#:~:text=Bacteria%2C%20either%20indigenous%20or%20added%2C,biophysical%20characterization%20techniques%20increased

참고문헌으로는 아래의 논문이 있습니다:

- En Yang 등의 "Influence of culture media, pH and temperature on growth and bacteriocin production of bacteriocinogenic lactic acid bacteria" 논문에서는 배양 매체, pH, 온도가 유산균의 성장과 바이오신 생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DOI: [10.1186/s13568-018-0536-0](https://amb-express.springeropen.com/articles/10.1186/s13568-018-0536-0))【45†(AMB Express)】.]

[



The variations in the results across the three images could be attributed to several factors, even though the same media and lactic acid bacteria strain were used:

1. Agar and Nutrient Density: The density of the agar and the nutrient concentration in the media significantly affect bacterial growth. High agar density can restrict bacterial movement, leading to compact colonies. In contrast, high nutrient concentration promotes rapid bacterial spreading. The combination of these factors can lead to different growth patterns, such as compact colonies, branching, or concentric ring formations【27†(microbewiki.kenyon.edu)】.

2. Media Hardness: Media hardness, determined by agar concentration, affects the bacterial growth and morphology. Harder media restricts bacterial movement, leading to different colony morphologies【20†(microbewiki.kenyon.edu)】.

3.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growth rate and colony morphology of bacteria can be affect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like temperature, pH, and oxygen levels【22†(microbenotes.com)】.

4. Colony Morphology Factors: The elevation of colonies above the agar and colony distribution can vary, which may be influenced by the technique used to spread the culture and other factors【21†(microbeonline.com)】【23†(quizlet.com)】.

5. Techniques Used in Spreading the Culture: The method of spreading the culture can introduce variability. For instance, inconsistencies in spreading technique or transferring the culture to the plates could result in different colony counts and sizes across the images.

6. Age of Culture: The age of the culture at the time of observation can also influence colony size and distribution. Over time, colonies may merge or exhibit different growth characteristics due to nutrient depletion or waste accumulation【23†(quizlet.com)】.

7. Uncontrolled Variables: There might be uncontrolled variables or unintended differences in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cultures were grown and imaged.

In analyzing the given data:

- Colony Count: Higher colony count could indicate more robust or faster initial growth, perhaps due to a more evenly spread culture or better initial conditions for growth.

- Average Area: Larger average colony size in one image compared to others could indicate fewer, but more robust or older colonies.

- Total Area: The total area covered by colonies could reflect a combination of the colony count and the average colony size, indicating the overall extent of bacterial growth.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specific conditions and techniques used in each case, alongside more controlled repetition of the experiment, could help in pinpointing the exact causes of the observed variations.

=> 영어가 한글로 말해달라고 했는데 학술용어가 번역이 이상하네요 , 위의 원문과 대조하면서 보시는걸 권장드려요

세 개의 이미지에서의 결과 차이는 동일한 배지와 유산균 균주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아가와 영양소 농도: 배지 내의 아가와 영양소 농도는 세균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높은 아가 농도는 세균의 이동을 제한하여 조밀한 군집을 형성하게 하며, 반면 높은 영양소 농도는 세균의 빠른 확산을 촉진합니다. 이러한 요인들의 조합은 조밀한 군집, 가지치기 또는 농축 링 형성과 같은 다양한 성장 패턴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27†(microbewiki.kenyon.edu)】.

2. 배지의 단단함: 아가 농도에 따른 배지의 단단함은 세균의 성장과 형태에 영향을 미칩니다. 더 단단한 배지는 세균의 이동을 제한하여 다양한 군집 형태를 초래합니다【20†(microbewiki.kenyon.edu)】.

3. 환경 조건: 세균의 성장률과 군집 형태는 온도, pH, 산소 수준과 같은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22†(microbenotes.com)】.

4. 군집 형태 요인: 아가 위의 군집의 높이와 군집 분포는 문화를 퍼뜨리는 기술과 기타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습니다【21†(microbeonline.com)】【23†(quizlet.com)】.

5. 문화를 퍼뜨리는 기술: 문화를 퍼뜨리는 방법은 변동성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문화를 퍼뜨리는 기술이나 플레이트로 문화를 전송하는 데 있어 일관성이 없으면 이미지 간에 다양한 군집 수와 크기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6. 문화의 연령: 관찰 시점의 문화 연령도 군집 크기와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군집은 병합되거나 영양소 소진 또는 폐기물 축적으로 인해 다른 성장 특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23†(quizlet.com)】.

7. 통제되지 않은 변수: 문화가 성장하고 이미징되는 조건에서 통제되지 않은 변수나 의도하지 않은 조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주어진 데이터를 분석함에 있어:

- 군집 수: 더 많은 군집 수는 더 강력하거나 빠른 초기 성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더 균일하게 퍼진 문화 또는 성장에 대한 더 나은 초기 조건 때문일 수 있습니다.

- 평균 면적: 한 이미지에서 다른 이미지에 비해 더 큰 평균 군집 크기는 더 적지만 더 강력하거나 노화된 군집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총 면적: 군집의 총 면적은 군집 수와 평균 군집 크기의 조합을 반영하여 세균 성장의 전반적인 범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각 사례에서 사용된 구체적인 조건과 기술을 더 자세히 조사하고 실험이 더 통제된 상황에서 반복됨으로써 관찰된 변동의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개선방안 고찰에 대한 요구도 해봣습니다.

‘‘오 좋아! 그러면 다음 실험을 진행하면서 더 신뢰성있고 좋은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내가 무엇을 교정해야 하는지, 참고문헌에 기반해서 고찰(discussion)을 작성해줘 reference를 믿을 수 있는 교과서 위주나 교과서에 버금가는 paper를 참고해서 답변해주면 좋겠어 최대한 자세하게 참고문헌에 있는 문구를 인용해서 작성해주세요’’ 라고 요청했고요


다음 실험을 진행하면서 더 신뢰성 있고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여러 가지 조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에 기반하여 아래와 같이 고찰을 작성하였습니다:

1. 배양 매체의 조성 수정:

- 배양 매체의 조성은 미생물의 성장과 군집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양 매체의 영양소 농도와 첨가물의 종류 및 농도를 최적화하여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4†(AMB Express)】【35†(ResearchGate)】.

2. 환경 조건의 통제:

- 온도, pH 및 산소 수준과 같은 환경 조건은 미생물의 성장과 군집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실험 환경의 온도와 pH를 엄격하게 통제하여 미생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22†(microbenotes.com)】.

3. 배양 과정의 표준화:

- 미생물을 배양 매체에 접종하고, 배양 매체를 플레이트에 전송하는 과정에서의 일관성이 실험 결과의 정확도와 재현성에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접종 및 전송 과정을 표준화하고, 가능한 한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37†(Biology LibreTexts)】.

4. 고해상도 이미징 기술의 사용:

- 높은 해상도의 이미징 기술을 사용하여 미생물 군집의 수와 크기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생물의 형태학적 특성과 군집 분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39†(Frontiers in Microbiology)】.

5. 미생물간 상호작용의 고려:

- 미생물간의 상호작용은 미생물 군집의 분포와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실험 설계를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39†(Frontiers in Microbiology)】.

6. 반복 실험 및 통계적 분석:

- 실험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통계적 분석을 통해 실험의 반복성과 재현성을 평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얻은 데이터는 실험의 신뢰성을 높이고, 미생물의 성장과 군집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교정 조치들은 실험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며, 미생물의 성장과 군집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라는 답변을 얻었습니다 !!

참고문헌 링크를 https link로 정리해주세요

ChatGPT

물론이죠, 아래에 참고문헌의 링크를 정리해 드렸습니다:

  1. AMB Express:

  2. ResearchGate:

    • Research on bacterial growth2​. → 저도 솔직히 전공분야가 아니라 잘 모르겠지만 주제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듯해요

  3. Biology LibreTexts:

  4. MicrobeNotes:

  5. Frontiers in Microbiology:

이 링크들은 각 참고문헌의 주제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링크도 잘 정리해주네요







이건 이정도만 하고요

2. 이번에 다음 세션으로 데이터를 fitting해서 원하는 좌표값을 얻기위한 모델을 만드는 과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이건 간단히 하겠습니다.


1단계


2단계



이렇게 fitting하는거 까지는 엑셀에서도 할 수 있어요 그렇지만

정확히 peak를 알고 싶고 peak는 내가 제공한 데이터가 아니라면?

x로 표현된 함수식(모델)이 있어야겠죠?

그런데 선형이 아닌 함수는 근사한 모델이 본 fitting된 함수와 차이가 발생하고

그 차이가 가장 적은 찾는게 관건입니닫 !


3단계

gpt: 다항식으로 fitting을 진행한 결과, 10차 다항식이 가장 낮은 Mean Squared Error (MSE) 값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10차 다항식은 복잡하므로 과적합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다항식의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MSE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높은 차수의 다항식은 과적합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차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SE라는 개념을 사용해서 ‘‘근사한 모델이 본 fitting된 함수와 차이’’가 가장 적은 모델을 결정하네요!


알겠습니다. 4차 다항식으로 데이터를 fitting하겠습니다.

'15barH2'와 '20barH2' 각각에 대해 4차 다항식으로 fitting을 진행하고, 해당 함수를 도출하여 결과를 제공하겠습니다.

Finished working

Hide work

pythonCopy code# Fit a 4th degree polynomial for '15barH2'
p_15bar = Polynomial.fit(x_data, y_data_15bar, 4)
y_pred_15bar = p_15bar(x_data)

# Fit a 4th degree polynomial for '20barH2'
p_20bar = Polynomial.fit(x_data, y_data_20bar, 4)
y_pred_20bar = p_20bar(x_data)

# Plot the original data and the fitted curves
plt.figure(figsize=(12, 7))

plt.scatter(x_data, y_data_15bar, color='blue', label='15barH2 Data')
plt.plot(x_data, y_pred_15bar, color='cyan', label='15barH2 Fitted Curve')

plt.scatter(x_data, y_data_20bar, color='red', label='20barH2 Data')
plt.plot(x_data, y_pred_20bar, color='magenta', label='20barH2 Fitted Curve')

plt.xlabel('Tep')
plt.ylabel('Value')
plt.title('Data and Fitted Curves')
plt.legend()
plt.grid(True)
plt.show()

# Return the coefficients of the fitted polynomials
coefficients_15bar = p_15bar.convert().coef
coefficients_20bar = p_20bar.convert().coef

coefficients_15bar, coefficients_20bar

RESULT

(array([-5.82102204e+00,  1.69521770e-01, -6.70492335e-04,  1.13427201e-06,
        -7.11527769e-10]),
 array([-8.33011546e+00,  1.87552884e-01, -7.12288598e-04,  1.16278252e-06,
        -7.05349237e-10]))

데이터에 4차 다항식을 fitting한 결과를 그래프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5barH2'와 '20barH2'에 대한 4차 다항식의 계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렇게 도출된 4차 다항식 함수는 각각의 데이터 세트에 대해 데이터를 잘 설명하며, 선택하신 4차 다항식은 과적합과 과소적합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제공합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나 진행하실 내용이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이렇게 애매하게 점근해서 PEAK를 결정하기 힘든 함수에서

Fitting된 함수와 차이가 적은 모델을 만들어서

data간의 순간 기울기나 내가 필요한 value를 정의해서 값을 정할 수 있습니다 , 지금 위의 그래프만으로는 4.5~5.5 정도 사이인거 같은데 딱 결정하기는 어렵네요

gpt의 도움으로 4.61이라고 결정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보여줄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그냥 마무리 하긴 아쉬우니 gpt가 여러개의 그래프를 한번에 그리는거도 잘 하는걸 보여주고 마무리 할게요

*알겠습니다. 다음으로 psa_H2_Production(kmol/hr) 외의 데이터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겠습니다:

  1. psa_H2_Production(kg/hr)

  2. psa_CO_Production(kmol/hr)

  3. psa_CO_Production(kg/hr)

  4. psa_CO2_Production(kmol/hr)

  5. psa_CO2_Production(kg/hr)

각 데이터에 대해 5차 다항식 fitting을 진행하고 결과를 그래프로 시각화하겠습니다.

Finished working

Show work

죄송합니다. 제가 잘못된 데이터 열 이름을 사용하여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올바른 데이터 열 이름으로 다시 시도하겠습니다.

Finished working

Show work

죄송합니다. 제가 다시 잘못된 데이터 열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올바른 열 이름을 확인하고 다시 시도하겠습니다.

Finished working

Show work

주어진 데이터에 대해 사용 가능한 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CR

  2. psa_H2_Production(kmol/hr)

  3. Steamcost($/kmol)

  4. H2cost($/kmol)

  5. Revenue

  6. smr_co2Capture(kmol/hr)

  7. smr_H2Production(kmol/hr)

이 중에서 psa_H2_Production(kmol/hr)를 이미 분석했으므로, 나머지 데이터 열들에 대해 동일한 분석을 진행하겠습니다.

  1. Steamcost($/kmol)

  2. H2cost($/kmol)

  3. Revenue

  4. smr_co2Capture(kmol/hr)

  5. smr_H2Production(kmol/hr)

이렇게 여러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할떄 그래프를 한번에 보여주면 좋아서 요청해봣씁니다 !



덕분에 아이디어를 빠르게 정리해서 얻어서 꽤 이쁜 그래프도 그릴수 있었습니다


gpt와의 대화 원본입니다.

  1. 유산균 성장 분석 시작 (advanced data analysis (beta)https://chat.openai.com/share/b4531242-6144-4941-b980-796d6811a1f1

  2. 유산균 성장 변동성 분석, 결론 고찰 참고문헌 작성 (Web Browsing)https://chat.openai.com/share/c0647e37-6b11-4082-ba67-c473ce5cae36

  3. scr 회귀분석 그리기(advanced data analysis (beta)) https://chat.openai.com/share/9cebad1d-08b3-4228-8102-868a466eba3f

6
1개의 답글

(채용) 유튜브 PD, 마케터, AI엔지니어, 디자이너

지피터스의 콘텐츠 플라이휠로 고속 성장할 팀원을 찾습니다!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