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족도 설문지 툴 비교하기(google form 🆚 Smore 🆚 Tally)

소개

저는 매달 공부인증하는 커뮤니티를 소소하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 (제가 공부하려고 만든..)

그래서 매달 모집신청, 후기(만족도) 설문을 매달 2번씩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구글폼을 사용하다가, 11기 에듀테크 청강에서 배운 smore가 너무 예뻐(?) 그때부터 애용하고 있는데 tally, airtable도 많이 사용하길래 겸사겸사 11월 후기 설문을 만들겸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airtable은 매번 지피터스에서 설문진행해서 일단 시간관계상 진행하지 않았어요)

진행 방법

우선, 퍼플렉시티에게(skt 1년무료..) 설문도구의 특징과 장단점을 알려달라고 합니다.

Google 번역 한국어 - 스크린샷
화면에 나오는 한국어 단어 목록
구글 양식
한국어로 된 구글��폼 개수를 보여주는 표

그럼 본격적으로 직접 비교하기~ 🙂

  1. 구글폼(https://docs.google.com/forms/u/0/)

구글폼은 아마 많이들 사용하시기에, 잘 알고 있을것 같은데요!

기본적인 개인용/업무용/교육용 등 템플릿을 선택해 입맛에 맞게 변형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페이지가 있는 웹사이트의 스크린샷
  • 장점: 구글시트와의 연동입니다. 하지만 전 구글시트를 연동해도 거의 엑셀로 다시 복사해서 쓰고 있어서(아직까지 구글시트가 편하지 않더라구요) 크게 장점으로 느껴지진 않았어요. (만약 구글시트 자동화를 사용한다면 이야기는 달라지겠죠..? 청강생으로 자동화 수업을 챙겨들어야겠어요)

  • 단점: 간단한 설문이라 크게 단점은 없었지만, smore를 쓴 후에 디자인면에서는 아쉬웠어요!

한국어 앱 스크린샷
원형 차트가 있는 한국 웹사이트의 스크린샷

[답변 데이터]

숫자 목록을 보여주는 스프레드시트의 스크린샷
  1. Smore(https://home.smore.im/)

SMORE를 알게된후, 이걸로 정착하고 있

smoe는 휴대폰으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한국 앱입니다.
한국어 모바일 앱 ui 디자인 ui 디자인 ui 디자인 ui 디자인 ui 디자인 ui 디자인
한국어가 포함된 모바일 앱 스크린샷

습니다.[답변 데이터]

  • 장점: 일단 예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항목도 잘 제시해줘서 만드는게 재미있어요. 바로바로 만들면서 옆에 휴대폰으로 어떻게 보이는지도 볼수 있고, 엔딩페이지까지 예쁘게 마무리! 또한 결과를 저장할때 암호화 선택버튼이 있어서 개인정보의 경우 암호화로 저장할 수 있어요.

  • 단점: tally나 airtable에 비해서 한항목당 한페이지라 넘기는데 (옵션이어도) 피로감이 있어요. 그리고 첫화면과 마지막화면 등 사진설정이나 설문외 신경써야 할 부분이 있어서 조금 오래걸리긴 합니다.

  1. Tally(https://tally.so/dashboard)

  • 설문조사할때 보긴 했지만, 만들어보는것은 처음이라 먼저 만들어보았어요.

    가입도 구글 로그인이라 쉬웠고, 바로 직관적으로 만들수 있었습니다.

    장점: 한페이지 안에 들어가서 페이지 안넘기고 바로 설문을 할 수 있어 피로도가 적다.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폼을 만들수 있다.

    단점: 기본이 영어로 되어 있어서 처음 사용할때 가이드를 한 번 확인하고 만들면 좋을것 같습니다.

한국어 신청서 스크린샷
휴대폰에 있는 한국어 앱 스크린샷

컴퓨터 편집화면과 휴대폰 화면이 거의 동일해 한눈에 보여져서 좋았어요 🙂

[답변 데이터]

tally는 처음 사용해봐서 많이 탐색해보지 못했지만, 다른 툴과의 비교도 직접 해놓았더라구요 🙂 https://tally.so/help/tally-a-free-and-powerful-google-forms-alternative

tayya 홈페이지 한국어

결과와 배운 점

여러 플랫폼을 사용하니 이에 따른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뻔한 말이긴 하지만, 본인의 대상자/목적/추가활용에 맞춰서 플랫폼을 만들어보면 좋을것 같아요 🙂

또한 무료버전을 다 사용했지만, 유료인 경우 활용할 수 있는 부분도 있어서 그부분은 필요할때 고려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일단.. 간단한 후기 설문에서는 smore를 예쁘게 쓸 것 같습니다..

(왜냐면 대상자가 대부분 20-30대 여자라 제기준으로 이쁜것을 선호..)

도움 받은 글 (옵션)

13기 에듀테크 스터디 패들렛 도구모음

6
3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