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안녕하세요, 제리입니다.
저는, 8월말 AI For DevOps 라는 주제로 외부 강의가 있습니다.
발표 자료를 준비하면서 이전에 사용했던, 감마에서 젠스파크로 변경하였습니다. 젠스파크 사용해서 발표 자료 작성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감마보다는 젠스파크 슬라이드가 디자인 측면에서 좀 더 프로페셔널해 보였습니다.
진행 방법
## 발표 자료 준비
먼저 젠스파크에 프롬프트를 잘 전달하기 위하여 발표에 대한 자료를 찾아보았습니다. 역시 구글 딥리서치가 챗GPT, 클로드에 비하여 결과는 가장 나은 것 같습니다. 딥리서치 결과를 기준으로 바로 반응형 슬라이드로 만들어 달라고 했는데, 내용은 별로 만족스럽지 않았습니다.
내용이 정확하지 않은 것이 있어서 발표가 아닌 강의에는 사용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제미나이 웹페이지](https://g.co/gemini/share/37bcc3c9e2f3)
그래서, 원래 계획대로 딥리서치 결과는 조금만 참고하고, 발표 초안을 직접 작성했습니다. 초안은 컨설팅 형식으로 먼저 슬라이드 당 핵심 문장을 정하고 해당 문장이 전체 완성된 글이 되도록 작성하였습니다.
발표 초안
DevOps 엔지니어의 Day2 운영 업무에 생성형 AI를 사용하면 업무 효율을 많이 높일 수 있습니다. 반복되는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고, 모르던 지식도 좀 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운영 단계의 업무에 주로 사용하는 AI 도구는 AWS Q, 클로드 코드, 커서가 있습니다.
AI 답변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데이터, 컨택스트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건 AWS Q의 [MCP](https://docs.aws.amazon.com/amazonq/latest/qdeveloper-ug/qdev-mcp.html)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MCP를 사용하면 현재 운영 중인 EKS 클러스터를 직접 접근하여 실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어, 정확한 데이터에 기반한 답변이 가능합니다.
위의 도구들과 데이터가 준비되면 운영 업무에서 필요한 작업을 생성형 AI를 사용하여 좀 더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작업 예시
1. 현재 라이브 구성 기준으로 다이어그램을 요청한다.
- 네트워크, 보안, EKS 요소 별로 나누어서 다이어그램을 생성한다.
2. 현재 AWS, EKS 현황을 파악하여 비용, 고가용성, 자동화, 성능, 확장성, 보안 측면으로 나누고 각 항목별로 개선 사항을 알려줘.
3. 대시보드 생성
- 현재 RDS 모니터링 용 대시보드가 충분한지 확인해줘. 어떤 그래프를 추가해야 할까?
실제 대시보드 URL을 전달하면 브라우저 MCP를 연결하여 생성형 AI가 판단해서 부족한 부분을 알려준다.
부족한 그래프는 JSON 코드까지 알려준다.
하지만, 메트릭이 잘못되는 경우도 많다.
4. 알람 설정
- 부족한 MSK 알람 리스트를 알려줘. 알람 리스트는 JSON 코드로 전달해준다.
5. 문서 작성
- 작업 계획서, 작업 결과 보고서 등을 요청한다.
- 기존 테라폼 코드 등에 한글 주석을 요청한다.
이 외 각자 상상력에 따라 다양한 작업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생성형 AI를 사용하면 DevOps 업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조직의 비용을 줄이고 개발자의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을 아래 젠스파크 프롬프트와 함께 입력하였습니다.
프롬프트는 PTCF 가이드에 맞게 일부 추가 하였습니다.
## Persona
너는 20년 이상의 DevOps 및 강의 전문가 입니다.
## Task
아래 발표 초안을 참고하여 발표 슬라이드를 작성해줘.
## Context
- 강의는 오프라인 강의입니다.
- 대상은 스타트업 DevOps 실무 엔지니어입니다.
- 슬라이드 내용에 실습이 가능하면 내용을 실습을 포함해줘.
## Format
- 슬라이드 당 핵심 문장을 정해서 슬라이드 상단에 1,2 문장으로 정리하는 맥킨지 컨설팅 스타일로 슬라이드로 작성해줘
결과와 배운 점
젠스파크에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발표 슬라이드 를 생성해줍니다. 총 12 페이지입니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마음에 듭니다. 프로페셔널 하고 일관성도 있습니다.
물론 세부 내용은 수정이 필요합니다. 아무래도 강의 자료라 조금이라도 잘못된 내용이 포함되면 실습이 안될 수 있어 세부 내용은 직접 수정하였습니다.
(실습 자료는 슬라이드가 아닌 마크다운 형태의 PDF 파일로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 같기도 합니다.)
아무튼 자료를 완성하였습니다.
[젠스파크 발표 자료](https://www.genspark.ai/agents?id=07774000-636f-4819-9bd4-3ad43ec84252)
## 나만의 꿀팁
- 발표 초안은 완성된 문장 형태로 작성하는 것이 실제 발표를 할때 논리적으로 흐름을 잡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 딥리서치 결과 그대로 발표 자료로 사용하는 것은 저에게는 좋지 않았습니다.
## 앞으로의 계획
- 구요한 님 발표 자료처럼 좀 더 나만의 자료로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그럴러면 나만의 컨택스트가 포함된 데이터를 전달해야 되니, 옵시디언에 열심히 자료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 젠스파크 Plus 모델 유료로 사용 중인데, 지금까지 슬라이드 15개 정도에 동영상까지 만들었더니 크레딧을 벌써 3,000개 정도 사용했습니다. 앞으로도 슬라이드 많이 만들어야 되니 아껴봐야겠습니다. HTML 코드로 내려 받는 것도 고려해 봐야 겠네요.
도움 받은 글 (옵션)
17기 구요한 님 OT
17기 사업계획서 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