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로 Mapify 프롬프트 작성하여 Mapify를 통해 마인드맵 만들기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지난 3/19 에 있었던 'AI가 바꾸는 연구의 패러다임: 논문 분석과 작성의 새로운 방법론' 스터디의 첫번째 시간을 통해 Mapify 사용법을 배웠고, 제가 쓰려고 했던 논문주제에 대한 마인드맵 작성을 요청했는데, 제가 원하는대로 마인드맵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ChatGPT 와의 대화를 통해 Mapify 의 프롬프트를 다음어 마인드맵을 완성시키고자 하였습니다.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 사용도구: ChatGPT / Mapify

[1차]

  • ChatGPT 에게 다음과 같이 요청했습니다.

'게임체인저: AI시장을 선점한 엔비디아의 자원창조 및 환경혁신 전략' 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작성하려고 해. 여기에는 주체, 환경, 자원 및 이 세개의 상호작용에 의한 메카니즘 관점에서 엔비디아를 분석하는 관점을 포함할 예정이야. mapify 를 이용하여 연구 마인드맵을 작성할 예정인데, mapify 에게 효과적으로 물어볼 수 있는 프롬프트를 작성해 줄래?

  • ChatGPT 답변

좋아! 주제도 흥미롭고, 메카니즘 관점에서 엔비디아를 분석하는 구조도 아주 탄탄해 보여. Mapify는 개념 간 연결과 구조화에 강점을 가진 툴이니까,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를 활용하면 효과적인 마인드맵 구성이 가능할 거야. 아래는 Mapify에게 쓸 수 있는 추천 프롬프트 예시야:


Mapify 프롬프트 예시 (한국어 버전)

"‘게임체인저: AI 시장을 선점한 엔비디아의 자원창조 및 환경혁신 전략’이라는 논문 주제로 마인드맵을 만들고 싶어요.

논문은 ‘주체(기업), 환경(산업/경쟁/기술/정책), 자원(내부 역량/기술/파트너십)’이라는 세 요소와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엔비디아의 전략과 성공 요인을 메커니즘 관점에서 분석할 예정입니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마인드맵을 구성해주세요:

  • 중심 주제: 엔비디아의 AI 선도 전략

  • 1레벨 가지: 주체 / 환경 / 자원

  • 2레벨 가지:

    • 주체: CEO 리더십, 비전, 조직문화 등

    • 환경: AI 산업의 성장, 경쟁자(AMD/Intel 등), 정부 정책, ESG 트렌드 등

    • 자원: GPU 아키텍처 기술, CUDA 생태계, AI/ML 특화 인재, 파트너십(예: OpenAI, Microsoft 등)

  • 각 요소들 간의 연결 관계 및 메커니즘 예시도 함께 포함해주세요. (예: 환경 변화 → 자원 개발 → 전략적 우위 창출)

이를 바탕으로 시각적으로 구조화된 마인드맵을 생성해주세요."

  • Mapify 에 위 프롬프트 입력시 나온 마인드맵

    한국어의 마인드 맵

느낀점: 논문의 구조를 포함해서 작성해 줄 것으로 생각했는데, 분석 방법에 대한 부분을 중점으로 마인드맵이 작성되었습니다. Mapify 프롬프트를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할 필요를 느껴서 2차시도를 하였습니다.

[2차]

  • ChatGPT 에게 다음과 같이 요청했습니다.

너가 알려준 프롬프트로 Mapify 에게 생성을 요청했더니 주제, 환경, 자원, 연결관계 및 매커니즘에 대해서만 마인드맵을 그려주는데, 나는 전체적인 논문 구조 중 사례분석 순서에 이 내용을 포함하고 싶어. 이를 고려해서 다시 Mapify 프롬프트를 작성해 줄래?

  • ChatGPT 답변

물론이지! 이번에는 논문의 전체 구조 속에 사례 분석이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Mapify에게 논문 목차 수준의 구조를 반영하면서, 그 중 사례 분석 파트에서 '주체-환경-자원-매커니즘' 분석이 중심이 되도록 요청하는 식으로 프롬프트를 구성하면 좋아. 아래는 그런 목적에 맞춰 다듬은 프롬프트야:


Mapify 프롬프트 (논문 구조 중심 버전, 한국어)

“‘게임체인저: AI 시장을 선점한 엔비디아의 자원창조 및 환경혁신 전략’이라는 논문을 준비 중입니다.

이 논문은 엔비디아의 AI 전략을 사례로 분석하며, 전체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1. 서론 (연구 배경, 문제제기, 목적)

  2. 이론적 배경 (주체-환경-자원 간의 메커니즘 프레임워크 설명)

  3. 사례분석 – 엔비디아
     3.1 주체 (Actor): 리더십, 비전, 조직문화
     3.2 환경 (Environment): AI 산업 동향, 경쟁자, 정책, ESG 흐름 등
     3.3 자원 (Resource): 기술력(CUDA, GPU), 인재, 파트너십(OpenAI, Microsoft 등)
     3.4 메커니즘: 위 세 요소 간의 상호작용으로 어떻게 AI 선도 전략이 만들어졌는지 설명

  4. 논의 및 시사점

  5. 결론

위와 같은 구조를 바탕으로 전체 논문의 마인드맵을 그려주세요.

특히 3장 ‘사례분석’ 부분은 보다 상세하게 구조화하여, ‘주체-환경-자원-메커니즘’ 간의 관계와 흐름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해주세요.

각 요소 간의 연결 관계와 논리적 흐름도 함께 표시해 주세요.”

  • ChatGPT에게 이론적 배경을 추가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보다 체계적인 프롬프트가 나온 것 같아. 2. "이론적 배경" 부분을 아래와 같이 두가지로 나눠주면 좋을 것 같아.

#생성형 AI로 촉발된 AI 반도체시장의 현황 (인텔, AMD 같은 기존 반도체 강자, 엔비디아의 부상,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같이 국내 반도체 업체의 상황등을 포함시켜줘) #주체-환경-자원 간의 메커니즘 프레임워크 설명

  • ChatGPT 답변

좋아! 이제 논문 구조 안에서 이론적 배경을 두 축으로 구분해서 더욱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겠네. Mapify에게 요청할 프롬프트도 그에 맞춰 체계적으로 보완했어. 아래는 수정된 프롬프트야:


Mapify 프롬프트 (최종 정리 버전 – 한국어)

“‘게임체인저: AI 시장을 선점한 엔비디아의 자원창조 및 환경혁신 전략’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은 엔비디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업(주체), 산업/기술/정책 등 외부 환경, 그리고 내부 자원 간의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통해 AI 시장 선도 전략을 분석합니다.

논문의 전체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서론
     - 연구 목적 및 배경
     - 문제제기 및 연구질문

  2. 이론적 배경
     2.1 생성형 AI로 촉발된 AI 반도체 시장의 현황
      - 인텔, AMD 등의 기존 반도체 강자의 전략 변화
      - 엔비디아의 부상 배경 및 GPU 시장 지배력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의 대응 현황
     2.2 주체-환경-자원 간의 메커니즘 분석 프레임워크
      - 각 개념의 정의 (Actor, Environment, Resource)
      - 이들 간의 상호작용 구조
      - 전략적 우위로 연결되는 메커니즘

  3. 사례 분석 – 엔비디아
     3.1 주체(Actor): CEO 리더십, 조직문화, 비전 등
     3.2 환경(Environment): AI 기술 진화, 경쟁자, 정책, ESG 흐름
     3.3 자원(Resource): GPU 기술(CUDA), 인재, 파트너십(OpenAI, Microsoft 등)
     3.4 메커니즘: 위 세 요소 간의 상호작용으로 도출된 전략적 성과

  4. 논의 및 시사점

  5. 결론

위 구조에 기반하여 전체 논문 구조를 시각화한 마인드맵을 그려주세요.
특히 2장 ‘이론적 배경’은 두 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고, 3장 사례 분석에서는 ‘주체-환경-자원-메커니즘’의 상호작용 구조가 잘 드러나도록 상세하게 표현해 주세요.

논리적 흐름, 요소 간 관계, 전략 도출 과정을 명확히 보여주는 구조적 마인드맵을 요청합니다.

  • Mapify 에 위 프롬프트 입력시 나온 마인드맵

한국 마인드 맵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 Mapify 에 바로 프롬프트를 입력해도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프롬프트를 ChatGPT를 통해 다듬은 후 Mapify 에 입력할 경우,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 Mapify 에서 만들어준 첫번째와 두번째 마인드맵을 비교해 보니, 첫번째는 분석 부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작성해 준 반면, 두번째는 전체적인 구조를 완성해 줬지만, 분석 부분에 대한 내용이 첫번째에 비해 빈약해 보입니다.

과정 중에 어떤 시행착오를 겪었나요?

  • 프롬프트 작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보여지는 결과물이 다르다 보니, 원하는 결과물이 한번에 나오지 않았습니다.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나요?

  • 프롬프트 작성역량을 좀 더 길러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 스터디를 통해 AI 툴 사용 방법을 배우고 실습하는 과정을 통해 차근차근 논문작성요령을 익히고, 완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6
4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