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IT으로 학습자료 만들기 (& 퀴지즈 레슨)

배경 및 목적

수업에서 사용되는 교수법 중 가장 많은 형태는 아무래도 강의식일 것입니다.

강의식 수업이 좋다 나쁘다를 논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다만 강의식 수업이 효과적이지 않고 재미없다고 느껴진다면 활동지를 활용한 활동식 수업은 어떨까요?

참고 자료

(내용 입력)

활용 툴

디핏(DIFFIT)

실행 과정

디핏(DIFFIT) 프로그램은 수업내용을 기반으로 활동지를 만들어 주면서도 매우 심플한 프로그램입니다.

적절한 리소스 얻기 페이지의 스크린샷

첫 화면을 보면 크게 3가지 방법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1. 키워드 주제 등

  2. 사이트URL 또는 유튜브 영상

  3. 텍스트

3가지 중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저는 '해부학 뼈대계통'이라는 키워드를 넣어봤습니다.

한국어로 된 해골 스크린샷

결과물은 캡쳐처럼 그림을 시작으로 설명, 용어, 퀴즈 등을 한 페이퍼에 만들어 활동자료로 만들어 줍니다. 내용은 수정을 통해 적절히 제작할 수 있습니다.

diff 보고서 라이브러리의 스크린샷

적절히 완성된 활동지는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데 저는 출력가능 (구글)문서(Printable Doc)를 선택하여 문서화 하였습니다.

Google Docs의 뼈대 다이어그램 스크린샷

이게 결과지 입니다. 학생들이 일방적으로 강의를 듣기보다는 직접 책을 찾아가며 활동을 해보면 어떨까요?

결과 및 인사이트

활동형 수업이라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다만 적어도 적극적인 참여면에서는 분명히 도움이 됩니다. 또 하나! 교수자가 활동지를 매주차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그런데~ AI가 도와준다니~ 그럼 해볼만 하겠죠?

5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