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연구 논문을 처음 작성하게 되면서, 가장 큰 고민은 이론적 배경을 어떻게 구성하고 자료를 어디서부터 찾아야 할지였습니다. 자료는 방대하고, 영어 논문도 많다 보니 진입장벽이 높게 느껴졌죠. 그러다 ChatGPT를 비롯한 AI 도구들을 활용하면 좀 더 효율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고, 그렇게 AI 도구들을 활용한 논문 준비가 시작됐습니다.
진행 방법
1. ChatGPT – 논문 요약과 이론 정리의 핵심 파트너
ChatGPT를 가장 많이 활용한 부분은 영어 논문의 요약과 이론 구조 정리였습니다.
초반에는 원문을 읽기에도 벅찼는데, 핵심 내용을 요약해달라고 프롬프트를 작성하니 이해가 훨씬 빨라졌어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를 자주 사용했어요:
내용을 요약하고 분석해줘.
다음 영어 논문을 요약해줘. 핵심 개념과 이론적 배경 중심으로 간결하게 정리해줘.
또한, 수집한 이론들을 구조화하고 어떤 식으로 서론이나 본론에 녹여낼지 고민할 때도 ChatGPT에게 논리 구조를 제안받아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https://chatgpt.com/g/g-2PTVw5ngS-scholaredge-nonmun-bunseog
chat GPT에게 구글 스칼라에 가서 필요한 논문을 찾을 때 PDF가 없는 경우가 많아 질문했어요.
필요한 검색 단어 추천과 검색 방법을 알려 주었어요.
방법은 검색 단어 filetype:pdf
라고 넣으면 되는 것입니다.
그랬더니 대부분 PDF를 바로 다운 받을 수 있는 링크가 제공되었습니다.
2. Google Scholar – 신뢰할 수 있는 논문 찾기
이론적 배경에 필요한 자료는 Google Scholar를 통해 찾았습니다. 키워드 중심으로 검색하면서 인용 수가 높은 논문 위주로 추렸고, AI를 통해 요약해서 비교하는 방식으로 효율을 높였어요. 최신 연구 흐름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3. 노트북 LM – 자료 정리와 메모를 위한 협업 도구
수집한 자료들을 단순히 모으는 데서 끝내지 않고, 노트북 LM에 옮겨 정리하면서 논리의 흐름과 이론적 근거들을 차근차근 쌓아갔어요. 이때도 AI 메모 기능을 활용해서 중요한 부분은 자동으로 요약하고 태깅해두었죠. 글의 전체 맥락을 잡는 데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사용한 예시 프롬프트입니다.
각 문서를 한 줄로 요약해줘
2. 이 노트북 안의 모든 문서에서 공통 키워드를 추출하고 각 문서의 목적과 결론을 비교해줘
마지막 부분에 목적 및 결론을 비교한 정리를 했고 메모에 넣을 수 있습니다.
모든 문서에서 ‘에듀테크 친밀감’과 관련된 내용을 모아줘
4. ~에 초점을 둔 논문만 골라서 정리해줘
특정 논문에서 원하는 부분 요약을 할 수 있습니다.
“AI·디지털 역량에 대한 중등 수석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pdf에서 ‘ai 디지털 리터러시’과 관련된 문단을 요약해줘”
프롬프트 입력창의 아래쪽에 예시 질문을 제시하고 있으니 활용해 보세요.
결과와 배운 점
영어 논문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지만, AI 요약 기능 덕분에 핵심 내용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었어요.
구조적인 글쓰기를 위해 AI의 프롬프트 활용은 단순 요약 이상으로, 논리 정리와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까지 확장되었어요.
처음에는 ChatGPT에게 요약을 부탁했을 때, 너무 단순하거나 엉뚱한 답이 나와서 당황했던 적도 있었어요. 그때 "내가 어느 정도 내용을 파악한 후, 구체적인 질문을 해야 AI도 제대로 반응한다"는 걸 깨달았죠.
📣 전하고 싶은 메시지
논문 작성은 누구에게나 어렵고 막막한 작업입니다. 하지만 AI 도구를 잘 활용하면, 자료 수집부터 이론 정리, 글의 구조화까지 생각보다 훨씬 수월해질 수 있어요. 혼자서 모든 걸 완벽히 하려는 부담을 내려놓고, AI와 협업한다는 마음으로 접근해보세요. 연구도, 글쓰기 과정도 훨씬 편안해질 거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