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테로와 옵시디언을 이용한 학위 논문의 이론적 배경 작성법

Introduction: 무엇을 시도하고 싶었나요?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박사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특히 이론적 배경을 작성하는 일은 많은 문헌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논리적으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고 까다로운 작업입니다. 저는 이 과정에서 ZoteroObsidian이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참고 문헌을 관리하고, 이론적 배경을 체계적으로 작성해 보고자 했습니다.

이 두 가지 도구를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습니다:

  • Zotero를 통해 방대한 참고 문헌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필요한 인용을 쉽게 찾을 수 있음.

  • Obsidian을 사용해 논문과 이론적 개념들을 시각적으로 연결하고 논리적인 흐름을 구성할 수 있음.

이 방법을 통해 논문 작성 시간을 단축하고, 이론적 배경의 논리성을 강화하고자 했습니다.


How to proceed: 어떤 도구를 사용했으며, 어떻게 활용했나요?

1. Zotero 활용

  • Zotero에 참고 문헌 저장: 연구 주제와 관련된 논문, 책, 보고서를 Google Scholar, PubMed, DBpia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찾고, Zotero의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Zotero Connector)을 사용해 저장했습니다.

  • 태그 및 폴더 정리:

    • 각 참고 문헌에 키워드(예: 성격, 플로리시, 성취목표지향성)를 태그로 추가했습니다.

    • 연구의 주제별로 폴더를 생성해 자료를 정리했습니다(예: “성격 특성(Big5)”, “사회적 지지” 등).

  • Better BibTeX 플러그인:

    • 참고 문헌을 Obsidian과 연동할 수 있도록 Better BibTeX for Zotero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BibTeX 형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했습니다.

2. Obsidian 활용

  • 노트 생성 및 연결:

    • Obsidian에서 이론적 배경의 각 주제를 노트로 생성했습니다. 예를 들어, [[성격 특성(Big5)]], [[사회적 지지]], [[성취목표지향성]], [[플로리시]]라는 개별 노트를 작성했습니다.

    • 각 노트는 Zotero에서 가져온 논문들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인용 정보를 포함했습니다.

  • 상호 연결:

    • Obsidian의 링크 기능을 활용해 변인 간의 관계를 연결했습니다. 예를 들어, [[성격 특성(Big5)]] 노트에서 [[성취목표지향성]]으로 연결해 두 변인 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했습니다.

  • 그래프 보기:

    • Obsidian의 그래프 보기 기능을 사용해 작성한 노트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했습니다.

3. 활용한 프롬프트

  • 제가 사용한 ChatGPT 프롬프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text

    코드 복사

    "논문 이론적 배경을 작성할 때 Zotero와 Obsidian을 활용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세요. 각 변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참고 문헌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논리적 흐름을 구성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4. 활용 화면 캡처

  • Zotero에서 참고 문헌을 수집 화면.

    Windows 10의 파일 브라우저 스크린샷
  • Obsidian에서 변인별로 생성된 노트와 그래프 보기 화면. - 작업중


Results and what you learned: 결과와 배운 점

결과

  • Zotero를 사용해 참고 문헌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고, 논문 작성 중 필요한 자료를 빠르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 Obsidian의 노트 링크와 그래프 보기 기능을 활용해 변인 간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연결하고,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 이 과정에서 참고 문헌 관리와 이론적 개념 정리가 동시에 가능해져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습니다.

배운 점

  • Zotero는 참고 문헌 관리에 매우 강력하지만, 노트 정리나 시각화 기능은 부족합니다. 따라서 Obsidian과의 연동이 중요한 보완책이 됩니다.

  • Obsidian의 그래프 보기를 통해 논리적 흐름의 약점을 시각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연결되지 않은 노트는 논리적으로 부족한 부분임을 확인하고 보완할 수 있었습니다.

실패 사례와 개선점

  • 처음에는 Zotero와 Obsidian 간의 연동 설정이 번거로웠습니다. 특히 Better BibTeX를 사용해 데이터를 가져올 때 파일 경로 오류가 발생해 해결하는 데 시간이 걸렸습니다.

  • 개선 방안으로는 초기 설정 과정을 세부적으로 기록해 두고, 반복적으로 활용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향후 계획

  • Obsidian에서 생성한 노트를 기반으로 논문의 초안을 작성하고, 이를 ChatGPT와 같은 AI 도구를 사용해 개선할 예정입니다.

  • Zotero의 보고서 생성 기능을 활용해 참고 문헌 목록을 자동 생성해 활용도를 더욱 높일 계획입니다.


Articles you received help with: 참고한 자료

이 사례 연구가 논문 작성에 Zotero와 Obsidian을 활용하고자 하는 분들께 유용한 가이드가 되길 바랍니다! 😊

4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