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생성형 AI가 교육 현장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지만, 나는 현재 이 기술을 통한 연구 방법과 주제를 위한 활용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그래서 이번에 생성형 AI와 교육을 키워드로 검색된 논문들을 수집한 뒤, 전체 흐름과 트렌드를 분석해서 앞으로 진행할 연구에 대한 점검을 해보았다. 논문 제목·연도·학술지·연구 방법론·핵심 키워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실질적인 연구 설계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목표였다.
진행 방법
ChatGPT
Excel
RISS
활용 방법
‘생성형AI와 교육’ 관련 논문을 수집한 뒤 엑셀 파일로 정리
ChatGPT에게 업로드한 파일을 기반으로 학술지별 빈도, 연도별 변화, 키워드 빈도 등 분류를 요청
제목 기반 워드클라 우드를 시각화해 최근 연구 키워드 흐름 확인
이후 논문 주제를 정할 때 기존 연구 흐름을 참고하여 연구 아이디어 도출
사용한 프롬프트
"이 시트에 있는 논문들을 전체적으로 분석해서 어떤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해줘. 최근의 연구 경향을 보고 싶어."
"논문 제목에 사용된 키워드들을 빈도가 높은 순으로 나열해줘."
"논문 제목들만으로 논문의 성격을 분류해 줄 수 있니? 예: 실험논문, 사례 연구논문, 문헌연구 논문 등으로 말이야. " 등
결과와 배운 점
생성형 AI 관련 교육 연구의 시작과 급증한 시기는 2023, 특히 2024년에 정점을 찍었다는 사실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방법론에서 사례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실험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점, 논문 제목 키워드에서 ‘생성형’, ‘AI’, ‘활용’, ‘비판적 사고’가 자주 등장한다는 분석을 통해 나의 연구 설계에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과정 중에 어떤 시행착오를 겪었나요?
처음엔 단순히 논문 제목 목록만 보고 분석하려다고 하니 막막했는데 ChatGPT에게 “논문 유형을 분류해줘”라고 요청하면서부터 방향감이 조금 생겼다.
분류 기준이 사람마다 다를 수 있는데 분류 키워드를 직접 설정해주니 정확성이 높아진 것 같다.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생성형 AI가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연구를 기존 연구 흐름과 차별화된 방향으로 구체화해보고 싶다.
도움 받은 글 (옵션)
부족한 준비로 인해 발표자료가 많이 부실하다. 하지만 이마저도 할 수 있었던 것은 지피터스에 올라온 많은 사례들에서 영감을 받을 수 있었기 떄문이다. 노력하는 많은 분들께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