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로 통학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버스는 주안역에서 출발하는 511번 버스입니다
511번 버스의 이용객이 많은 이유는 511버스의 기점인 주안역이 인천 2호선 , 국철 1호선을 통해 서울 인천 부천의 핵심지역을 관통하고 환승연계성을 통해서 1호선이 통과하지 못하는 강남 여의도 강서 광명 일산 계양 검단등등의 통학 학생들을 배후수요로 확보해서 이용객이 많기 때문입니다.
주안역에서 인하대로 가는 버스에는
자료는 교통카드 빅데이터 시스템에서 511번 버스의 학기 중 이용량(3월) 방학 중 이용량(7월) 13번 버스의 3월(학기 중) 이용 통계를 다운로드 하였습니다.
/
511 7월치.xlsx먼저 저희 조는 학기중과 비학기중 그리고 시간대별 이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GPT ADA에게 511버스의 시간대별 승하차 인원을 3월과 7월로 나누어서 분석했고 이를 통해 7-8시 18시-19시에 승차인원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아침에 수업을 들으러 학교를 오는 학생들이 7-8시에 집중된 점과 학교에서 집으로 가는 학생들이 18-19시에 집중된 점을 유추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인천 미추홀구 구도심의 서울 출퇴근 수요가 9200 아니면 주안역이기 때문에 직장인들의 출퇴근 시간에 맞추어서 이용객수가 많은 점도 유추해 볼 수 있었습니다.
두번째로 저희 조는학기중과 방학중의 버스 이용량을 비교하기위해 GPT ADA 에게 3월과 7월의 이용승객을 그래프로 비교해 나타내게 했고 이를 통해 학기 중인 3월 승객이 전반적으로 7월 승객보다 많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3월 이용객 수가 7월 이용객수보다 많은 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원인으로는 방학중에는 학기중보다 학교를 올 요인들이 줄어들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이후 511번과 함께 주안역에서 인하대학교로 오는 최단 코스인 13번 버스의 학기 중인 3월달 이용량을 다운로드 받은 후 GPT ADA에 입력했습니다. 13번 버스 역시 직장인들의 출퇴근 시간과 학생들의 등학 시간에 수요가 급증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후 학기 중인 3월에 인하대로 오는 최단 버스 노선인 511번 버스와
13번 버스의 이용객을 GPT ADA를 통해 비교했고
511이 13번 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이용객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511번 버스 배차가 3-5분에 한대정도 13번 버스 배차가 20-25분에 한대정도인점
511번 버스는 미추홀구 구도심 인하대의 서울 인천 부천 광명 일산 접근성을 책임지는 단거리 노선이라
수요가 꾸준한 점, 13번 버스는 검암에서 출발해 주안역과 인하대를 거쳐 인천항으로 가는 장거리 노선인데 인천 2호선이 노선의 상당부분을 대체해 수요가 감소한 점, 13번 버스의 정류장 위치가 주안역에서 횡단보도를 건너야 해 시간 지연이 되서 수요가 감소한 점을 원인으로 유추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511번과 13번이 현재 인하대 재학생 대부분의 통학을 책임지는 주안역에서 인하대로 오는 최단 시간의 버스노선임에도 511번이 지리적으로 우세한 버스 정류장 위치와 촘촘한 배차간격으로 주안역에서 인하대로 오는 버스 수요의 대부분을 흡수해 인하대 재학생들이 줄을 서서 기다려야하는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라
13번 버스 배차를 늘리고 노선 개편을 통해 수요를 분산 시키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