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검토 시 chatGPT를 얼마나 활용할 수 있을까? "에 대한 현주소(~ing)

#AI로 연구하기 %초보

[사례글 2개 드디어 썼는데.. 어떻게 안될까요 관계자분들 TT😐..?]


👀해결하고 싶은 과제👀: 연구 아이디어를 얻기 위한 문헌검토 과정에서 chatGPT를 얼마나 활용할 수 있을까? 현재 문헌 검토 관련 나와있는 tool들을 직접 써보면서 비교해보자.

😃인트로

  • 안녕하세요. 아직 과정중에 있긴하지만, 제가 chatGPT에 관심을 갖게된 계기가 되었기도 한, 문헌검토 관련 대해 제가 진행하고 있는 내용을 공유해보고자 글을 씁니다.

  •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을 진행하기 전, 관련 결과 동향이 어디까지 나와있는지 보고자 하는 내용입니다.

😃알게 된 내용 요약(24.7.2.기준)

** 사용한 tool: Consensus, Scispace, Research rabbit, Connectec paper, GoogleScholar, Perplexity

  • Consensus나 Scispace는 GPT플러그인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각각 사이트에서 사용하는게 UI측면에서 더 편하고, 자세한 결과가 나온다.

  • 현재까지는 Consensus 등 tool 들의 검색력이 완벽하지 않다. 따라서 어느정도 연구결과의 동향을 알고 있다면, 바로 tool 의 도움을 받아도 좋으나, 처음 내용을 정리한다면 GoogleScholar에서 날짜제한해서 어느정도 논문들이 나왔나 살피고 fit한 논문을 추린 후 tool을 활용하는 것 까지는 가능할 것 같다.

  • 대.반.전. Consensus보다 Perplexity가 핵심 keyword 중심으로 내용을 잘 정리해준다.

😃상세

Step1. GoogleScholar로 Search term을 넣어 검색

최근 5년간 62개의 검색결과가 확인됨

Step2. Consensus, Scispace, Perplexity에 동일한 질문을 주고 검색 결과 비교해보기

  • 공통질문: What are the main findings of recent functional network studies on sleep in shift workers using MRI?"

  • 결과(아래이미지): 세 tool모두 일부의 논문 결과만을 가지고 결론을 주었지만, 정리 측면에서 Perplexity가 정확한 포인트를 집어서(전공자가 한듯한) 정리해줌. 실제로 도움이 되었음



To-do-list

  • GoogleScholar결과를 excel에 적절히 정리하면서 fitted 논문을 추림.

  • 위를 가지고, tool을 이용해서 요약 및 향후연구방향에 대해 gpt와 대화

5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