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 못했습니다.
부끄럽지만 카톡방 챌린지 인증에 참여했던 내용들을 모아서 지난번에 게시물에 이어서 업로드합니다.
https://www.gpters.org/language/post/research-popularity-meditation-enlightenment-xrPe7SEKfoavmDt
#### Day 8
연구주제를 조금 더 확장해서 AI의 자기 개선과 사람의 영적 성장과의 관계쪽으로도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perplexity를 사용해봤습니다.
#### Day 9
어제 브레인스토밍한 내용의 페이지를 기반으로 키워드를 10개 도출했고,
상위 5개를 기반으로 pop에 구글 스칼라 서치로 논문을 찾았습니다.
해당 논문 리스트를 csv 파일로 뽑은 뒤에
perplexity의 브레인스토밍한 내용 기반의 페이지, 그리고 csv 파일을 챗지피티에 입력시켜 요약을 해달라고 했습니다
#### Day 10
1) 기존에 연구주제로 잡던 내용들에서 키워드를 도출하고
2) PoP에서 검색한 뒤 CSV 파일로 도출하고
3) 1번과 2번, 그리고 지난주 발표했던 단계별 연구 기획을 챗지피티에게 학습시키고
4) 이를 기반으로 선행연구자료들을 옵시디언에서 정리하고 연결할 수 있게끔 템플릿 양식을 만들어달라고 했습니다.
5) 가장 연관성이 높은 선행연구 자료들을 짚어달라고 지피티에게 부탁한 뒤, 4번의 템플릿을 적용해달라고 해서 받은 뒤에
6) 옵시디언 노트에다가 그대로 갖고 왔습니다.
7) 추가로 properties 부분에 type이라든가, tags라든가 하는 부분을 추가하여 노트들간에 관계를 더 만들어주고
8) 선행 연구자료에 추가로 정리된 내용들중에서 주요 단어들은 별도로 단어 중심으로 추가로 노트를 만들었습니다.
#### Day 11
perplexity와 chatgpt, claude 검색을 많이 쓰고,
요한님이 알려주신 pop도 요즘 같이 잘 쓰고 있습니다.
MIT 리뷰 같은 것들도 대중적인 관점에서 잘 풀어써준 것들이 있어서 참고하면서 찾고 있습니다.
#### Day 12
키워드노트를 만들기 위해 연구 주요 단계를 기획한 내용과 주요 노트들의 제목, 최근 리서치한 선행연구 내용들을 챗지피티에게 줬습니다.
주요 키워드들을 분류하고 이를 정리할 수 있게끔 마크다운 형식으로 달라고 했습니다.
#### Day 13
챗지피티에게 선행연구의 리스트 기반으로 요약을 요청했습니다.
아직 연구논문 하나하나를 입력한 것이 아니기에 연구범위가 너무 넓고 산만하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가장 연관성이 깊은 몇 개를 중심으로 다시 살펴봐야겠습니다.
#### Day 14
PoP를 활용해서 선행연구논문들을 검색, 수집하고, 관련된 키워드를 연결하고, 주요 선행연구논문들은 메타데이터로 정리해봤습니다.
아직 허수들이 잡히는 것 같은데 이를 보완해서 다음주에 다시 정리할 예정입니다.
#### Day 15
저는 수집한 논문이나 데이터가 아직 많이 산발적이라서 주제에 맞는 내용들을 아직 선별하는데 더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아직 데이터 전처리까지 갈 단계가 아니라서 어제 요한님이 강의해주신 내용을 다시 복습하고 있습니다.
#11기연구지식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