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전문분야에서 50년간 축적된 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목표
Ai를 이용한 방법론을 찾고자 스파르타 코팅클럽에서 chatGPT를 300% 활용하기, 데이터 분석 종합반 2개 강좌 수강
지피터스 Ai 스터디 14기 참여하였으나 24개의 AI스터디 그룹중 선택 미정
1월 15일 스터디장 사례발표후 자료정리에 있어 더 전문적 효율적 개인화된 방법론이 obsidian이라 생각되어 수강 결정
진행 방법
처음 배울 때 그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 무조건 따라하고, 그 뼈대를 이해한 다음에 응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찾는다.
따라서, 1차 게시글은 시간 경과에 따른 학습과정만 순서데로 기술함(학습과정 수기 노트)
obsidian settings; 필수 plugin 32개 소개
Markdown, Connect Merge Develop Share 분류와 working process
Metadata, Folder, Index, Tag, Graph 개념
Smart Composer settings(+Ai) 와 실습
Templater 설치와 실습; Calander 설치, Daily Note Template
Canvas; Mermaid; Omivore 개념 및 실습
Web Clipper 와 관련된 Template 실습
DeepL 번역기 연결
Frontmatter + Markdown 개념
Dataview ; List 실습
외부파일 첨부방법 실습
zettelkaste; 자료합치기(Merge Notes, Advanced Merger plugin) 실습
Graph View
Excalidraw; Excalidraw Writing Machine
결과와 배운 점
전반적으로 obsidian의 working process 중 Capture, Organize 방법들에 대한 이해와 기본실습을 배웠다. 다음 단계는 정리된 많은 자료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해서(Distill) 새로운 idea를 만들어 보고자 한다.
다음과 같은 tool들을 이용하고자 한다. Graph view, Notes Merge and Advanced Merger, Excalidraw Writing Machine ( with Ai 기능), Smart Composer (with Ai 기능)
도움 받은 글 (옵션)
25-01-15 | [지피터스] 1주차 평일 OT - 2조 (옵시디언)
25-01-22 | 옵시디언 커맨드스페이스: AI의 언어 마크다운으로 지식관리
옵시디언 기본 사용 설명 + 왜 옵시디언인가?/이태극
지식관리 끝판왕 옵시디언 설치 및 기본 설명, 세컨드 브레인 구축(37개 유튜브)/북트레싱
Zettelkasten liking for Surprising Connections/ 김태현
Visual Zettelkasten/ CS4BT 최지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