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1004
엘리1004
🐶 AI 찐친
📚 학습반장

패들렛 데시보드로 연구논문 한 판에 끝내기!!

소개

✅ AI 기반 연구논문 방법론 수업을 진행하면서 어떻게 하면 쉽게 가르칠까?? 쉽게 접근할까?? 고민하다가 이 사례를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페들렛에!!!

논문 진행관 관련 된 전반적인 내용을 한 눈에 들어오게 정리해 보았어요.

전체내용은 아래 이미지를 참조하세요.

컴퓨터 화면에서 한국 앱의 스크린 샷

컴퓨터 화면에서 한국 앱의 스크린 샷

😎 논문 초록 챗봇 빼고 다른 모든 챗봇은 직접 제작하고 써본 것입니다.

https://suno.com/song/25ae45da-3acc-4998-b0cf-f428ade4753e?sh=w2ascDDjWqBTfFoS

연구논문 작성하는 학생들에게 연구논문 수업에 대한 흥미와 동기부여를 위해 음원제작했어요.
>> 뮤직비디오로 만들었는데 용량이 커서 안올라오네요. ^^
>> 사례 발표시에 보여드릴께요 ㅎㅎ

😊 AI와 함께한 논문쓰기 여정: 나의 Padlet 사례

✔️ 결과 요약

‘엘리 교수님과 함께 즐거운 논문쓰기 feat with AI’라는 제목으로, AI를 활용한 논문작성 전 과정을 Padlet 대시보드로 시각화하고, 학생들이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실제 ChatGPT 활용 사례와 도구들을 구조화하여 제시했다. 각 칼럼은 논문 작성 단계별 흐름을 반영하여, 학생들이 어디에서든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찾고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

  • AI는 코치이자 멘토다. 논문을 ‘대신’ 써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써 내려가는 과정이라는 사실을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 ChatGPT의 역할을 명확히 한다. Padlet 첫 화면에 ‘AI의 역할은 논문지도교수수단’이라는 메시지를 명확히 넣음으로써, 학생들이 AI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지 않도록 방향을 잡았다.

  • 구체적인 프롬프트 제공이 핵심이다. 단순히 “ChatGPT를 써보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 질문, 입력 방식, 예상 결과까지 보여줌으로써 진입장벽을 낮췄다.

🔄 시행착오 및 개선 과정

  • 초반에는 내용이 너무 방대하게 느껴지는 문제가 있었다. 칼럼 제목을 더 직관적으로 다듬고, 내용에 요약 포인트(✔️, 🔍 등)를 넣어 가독성을 높였다.

  • 또한 AI 도구 간의 차이점(예: Perplexity vs ChatGPT) 설명이 부족했음을 인식하고, 간단한 비교 가이드를 추가하여 선택 기준을 명확히 제시했다.

  • 학생들이 헷갈려하는 '연구주제 정하기' 부분은 별도의 칼럼으로 독립시켜, 사례 중심으로 풀어 설명했다.

💡 앞으로의 계획

  • 학생 후기 수집 및 리디자인: Padlet 오른쪽에 ‘후기 작성’란을 만들어 학생들의 사용 경험을 수집하고, 실시간 개선이 가능하도록 설계함.

  • PDF 가이드북 제작: Padlet 콘텐츠를 기반으로 오프라인에서도 활용 가능한 PDF 논문쓰기 코칭북을 제작 예정.

  • 영어 논문용 Padlet 추가 구성: 영어 논문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별도 Padlet을 다국어 안내와 함께 운영할 계획.

📚 참고한 글 및 도구

  • GPTers 사례발표 다양한 섹션의 통차

  • ChatGPT 논문 프롬프트 모음 (초록, 서론, 연구방법 등 세분화된 챗봇)

  • Google AI Studio를 활용한 연구문제 설정 가이드

  • #여행가J 님의 광고만들기 참고하여 AI논문쓰기 뮤직비디오 제작

5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