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시J
도로시J
🐶 AI 찐친
⚔️ 베테랑 파트너

청소년을 위한 개인 맞춤형 디지털 튜터(초개인화 학습)

배경 및 목적

현재 영재 학생들 대상으로 정보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코딩을 기술적 도구가 아닌,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에 도움이 되는 수업을 기획하고 싶었습니다.

참고 자료

(내용 입력)

어느 분인지 기억이 나지 않지만, 클로드 아티팩트 나오자 마자 태양계 모델 구현을 본적이 있습니다.

https://claude.ai/chat/7282b604-4d80-4d4d-91b7-42cf135dbaa2

여러 행성이 있는 태양계의 다이어그램

활용 툴

(내용 입력)

claude, chatgpt, codepen(코드 구현용), site.google.com(웹빌더 용)

실행 과정

(내용 입력)

학생들의 사고를 서로 의견 공유하며, 지식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을 이끌어 내는 과정을 간단히 구현해 보았습니다.

  1. 물리 현상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구현해 보고 싶었습니다.

  2. 중학교에서 물리 교과에서 다룰 수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 주제를 claude와 chatgpt에게 물어보았습니다.

한국어 버전 웹사이트의 스크린샷

  1. 결과물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여러 조건을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구현하고 싶었습니다.

    예를 들면 양전하, 음전하에 따라 전기장이 달라지는 전기장의 흐름을 시뮬레이션으로 진행해 보았습니다.

  2. 한 번에 성공하면 좋았겠지만, 역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우분투 데스크탑의 스크린샷

    문제 분석과 함께 수정을 요청했고, 그림처럼 동일한 양전하, 음전하를 가질 때는 중간에서 전기장이 상쇄되기도 하고, 크기가 다르면 큰 전하쪽으로 전기장이 치우치는 모습을 바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 컴퓨터 프로그램의 스크린샷
  3. 동일한 전하의 동일 갯수일 때는 서로 밀어내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중앙에 파란색 점이 있는 두 선의 이미지
  1. 이 코드를 다른 학생들도 확인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웹빌더로 구현해 보기로 합니다.
    각 코드는 html, css, js로 구성되어 이를 codepen으로 구현하여, 코드의 구성을 보면서 일부 데이터값이 어떻게 구동되는 지 분석하도록 하였습니다.

    파란색과 빨간색 선이 있는 컴퓨터 화면의 스크린샷
  2. site.google.com의 insert-> Embed에서 코드를 임베딩합니다.

    웹에서 삽입됨
  3. 접근 설정을 링크가 있는 누구나로, 뷰어도 퍼블릭으로 설정하여 권한을 설정하였습니다.

    공유 통합 사이트 스크린샷
  4. github도 괜찮지만, 학생들은 학교 구글계정으로 진행하는 터라 site.google.com을 사용해 보았는데, 처음 시도한 것치곤 큰 문제없이 잘 빌더되었습니다.

    한국어 텍스트가 적힌 컴퓨터 화면
  5. 중력가속도와 낙하 실험 등 이후 여러 시뮬레인션을 진행하며, 학생들의 관심이 증폭되었고,

    천체, 은하계, 다양한 화학 실험, 세포 분열 등 학생들이 스스로 진행하며, 여러 관점으로 사고 하는 모습들을 보여서 저 또한 흥미롭고 재미있게 진행할 수 있는 수업이었습니다.

결과 및 인사이트

실제 중,고등학교 수업을 하다보면, 정보 과목이 크게 생기부나 성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 수학 문제 풀고, 영어 문제 더 풀고 있는 현실을 자주 만납니다.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는 수업 콘텐츠를 계속 고민하는 바인데, 우연히 학생들이 정보 과목에서는 약하지만, 수학, 과학에서 엄청난 실력이 있는 것을 보고 이를 코딩과 접목하면 좋겠다는 전환이 학생들의 몰입도를 높였던 거 같습니다.

스스로 먼저 천체와 세포 분열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정확히 어떻게 구현할 지 아이디어가 서지 않기 때문에 본인들의 메타인지도 확인해 가며, 코드로 요청을 합니다.

친구들의 보완에 대한 피드백을 들으며, 완성해 나가는 모습을 보며, 특정 과목에서만의 접근이 아닌 여러 교과목의 융합체로 접근하고 싶다라는 인사이트를 얻었습니다.

다음 학기에는 좀 더 업그레이드된 콘텐츠로 진행해볼까 합니다.

사실 생명과학, 지구과학 싫어했던 1인인데, 학생들의 산출물 보면서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는 시간들이었습니다.

9
8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