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요한 교수님의 '옵시디언 커맨드스페이스' 특강 강의록과 '나만의 목록 만들기' 실습

소개

지식관리에 대해서 처음 듣게 되었고, 최대한 개념과 방법을 이해하고자 강의 해주신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옵시디언에서 마크다운 문법사용에 익숙해지는 것을 첫번째로 강조하셨기에 마크다운을 이용하여 강의록을 작성하였고, 더불어 알려주신 '내 업무에 특화된 나만의 목록 만들기'를 실습하였습니다.

구요한교수님의 '옵시디언 커맨드스페이스' 특강 내용

데이터 관리의 핵심은 연결

<연결을 위한 CMDS 4가지 과정>

지식관리 및 확장을 위해서 필요한 과정을 네가지로 나눌수 있다.

1. Connect : 세상/개인의 지식과 경험을 연결하는 과정 (관심사와 주제를 연결하여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단계)

2. Merge : 나의 이야기, 나의 버젼으로 통합하는 과정 (관련 문헌과 지식을 통합하여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는 단계)

3. Develop : 나의 생각을 넣어서 나만의 가치관으로 발전시키는 과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방법론을 적용하여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단계)

4. Share : 습득한 지식을 공유, 지식의 확산 (창의적인 작업과 결과물을 공유하고 확산하는 단계)

- Reference : [구요한 교수님의 CMDS Architecture](https://slashpage.com/cmds-class/dwy5rvmj1rdz52p46zn9)

#### Remarks

- 위 네가지 과정에 Feedforward/back loop을 적용해 반복/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는 것에 중점을 둔다.

- 지식의 사용에서 연결이 중요함. 지식이 하나의 커다란 단위로 존재하면, 연결하여 사용이 어려움. 경우에 따라서 정보를 마치 컨테이너처럼 분절화/모듈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식관리를 위해 파악해야 하는 요소>

어떤 것들을 받아들이고, 어떤 지식관리 과정을 통해서, 어떤 것을 만들어 내고 싶은지 파악을 해야한다.

- Input의 예제 : 내가 읽고 있는 책, 자주보는 저널, 구독한 유튜브 채널, 참석한 컨퍼런스, 회의 내용, 커뮤니티, SNS, 배우고 있는 강의 등.

- Process의 예제 : 노션, 옵시디언, 카카오톡, 독서노트 작성, 논문리뷰, 강의안 작성, 카카오톡 정리, CMDS에 연결, 프로젝트 관리 등.

- Output의 예제 : 프로젝트 완료, 유튜브 채널 운영, 책출간, 재즈공연, 논문게재, 강의진행 등.

정리의 개념, 그리고 그 방법

<정리의 개념>

지식관리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건 채널의 확장이다. 다양한 채널에서 맥락을 찾아서 그 경험과 지식들을 연결하는 것이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순하게 폴더기준으로 정리되고 정리되지 않고는 중요하지 않을수 있다. 자신만의 기준으로 필요한 경우, 적재적소에 빠르게 사용할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정리의 방법>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일한 방법으로 지식을 정리하기보다는 다양한 채널로, 다양한 차원으로 관리해야 한다

1. Metadata : 노트의 Class를 구분해주는 유연한 분류.

- 맥락을 연결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며, 가치를 제공하는 원천이다. AI사용을 쉽게 만드는 방법이며, 데이터퀄리티를 올리기 위해 관리해야한다.

- 예를 들자면, 이름과 학번을 적는 것은 메타데이터 입력과 동일하다. 이름 : 구요한, 학번 : 30102; 이 경우 메터데이터 필드값이 이름/ 학번 이며, 고유값이 구요한/31002를 입력한 것임.)

- 메타데이터는 원하는 스타일로 유연하게 관리가 가능하다. 목차를 만들어서 관리도 가능하며, 데이터의 점수 평가를 위해서 별점(1~5점)을 부여해도 된다.

3. Folder : 자료를 MECE 하게 관리할 공간.

- 폴더는 MECE(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하게 관리해야한다. 모두 포함하면서, 중복되지않게 분류가 되어야한다.

- 노트의 작성 단계나 상태등을 나타내는데 사용하기를 추천한다.

- 예를 들자면, 논문A가 주제가 리더십, 방법론이 머신러닝, 활용은 강의자료일때, (1)리더십, (2)머신러닝, (3)강의자료 폴더에 각각의 카피가 있게되는건, 폴더로 관리하지 말아야 하는 정보라고 할수 있다.

- Reference : [구요한 교수님의 폴더 구조](https://slashpage.com/cmds-class/y9e1xp2xgx6jgm7k35vz)

4. Index : 노트의 Class를 정의해주는 직접적인 연결

- Index는 Note class를 의미하며, 예로 Research note, Project note, Lecture note, Meeting note 등으로 나눈다.

- Reference : [구요한 교수님의 CMDS guide](https://slashpage.com/cmds-class/4z7pvx2k9k4d52ek8653)

5. CMDS목차 : 지식체계의 지향점을 반영한 목차

- **지식의 흐름을 Why-How-What으로 연결하기 위한 목차이며, Connect-Merge-Develop-Share의 순서로 분류하여, Decimal classification을 병용한다.

1. Connect : 관심사와 주제를 연결하여 아이디어 발굴

- 100 Theme

2. Merge : 관련 문헌과 지식을 통합하여 이론적 기반을 구축

- 200 Literatures

3. Develop : 데이터를 수집하고 방법론을 적용하여 아이디어를 개발

- 300 Data

- 400 Methodologies

- 500 Products

- 600 Specialties

4. Share : 작업과 결과물을 공유하고 확산

- 700 Creatives

- 800 Outputs

- 900 Divisions

- CMDS목차와 Index는 다른 개념이다. CMDS목차는 주제별로 관리한다. 같은 내용이 연구 또는 강의 모두 쓰이게 될때는, Index로 분류하여 관리를 한다.

- 예를 들면 자료B가 개념을 설명하는 자료인데, 연구에도 강의에도 필요하다. 이때 CMDS목차는 200 Literatures-201 Concepts이며, Index는 Research notes이자 Lecture notes이다.

- CMDS목차는 목적을 흐름파악과 자료분류에 두고있으며, Index는 목적을 용도파악에 두고있는 것으로 보인다.

- Reference : [구요한 교수님의 CMDS목차](https://slashpage.com/cmds-class/7916x82rq7vj1m4kpyg3) [구요한 교수님의 CMDS목차정리 프롬프트](https://slashpage.com/cmds-class/3p4kj92y5ezgn257q1x8) [구요한 교수님의 CMDS목차 연결 자동화셋팅](https://slashpage.com/cmds-class/3p4kj92y535zd257q1x8)

6. Tag : 새로운 정보의 자유로운 주입

7. Graph : 새로운 연결과 아이디어의 발전

8. Search, Filter : 특정화된 접근

진행 방법

내 업무에 맞는 목차와 구요한 교수님의 예제목차를 넣고 ChatGPT에게 양식을 적용해주기를 요청함.

한국의 다양한 데이터 목록

처음엔 입력하지 않은 목록(Disease areas)를 만들고, 목차도 원하는 방향이랑 조금 다르게 넣어줌.

Disease area라는 Contents 를 넣은적 없다, 100 Input 101 Ideas 102 Notes로 순서를 넣어달라는 언급을 진행후, 정상적으로 목차를 만들어줌.

https://chatgpt.com/share/678c1375-6a38-8012-9b32-e09bd70fe53a

[📖 100 Input]

  • [📚 101 Ideas]

    • [📚 101.1 Cancer]

      • [📚 101.1.1 Solid Cancer]

      • [📚 101.1.2 Lymphoma]

      • [📚 101.1.3 Leukemia]

    • [📚 101.2 Autoimmune Disease]

      • [📚 101.2.1 IBD]

      • [📚 101.2.2 Psoriasis]

      • [📚 101.2.3 Arthritis]

      • [📚 101.2.4 GVHD]

    • [📚 101.3 Neuropsychiatric Disorder]

      • [📚 101.3.1 Psychiatric Disorder]

      • [📚 101.3.2 Neurodevelopmental Disorder]

      • [📚 101.3.3 Neurodegenerative Disorder]

    • [📚 101.4 Comorbid Disease]

    • [📚 101.5 Other Biologies]

  • [📚 102 Notes]

    • [📚 102.1 Internal Regular Meeting]

    • [📚 102.2 Task-Force Meeting]

    • [📚 102.3 External Meeting]

    • [📚 102.4 Data Discussion]

    • [📚 102.5 Seminars and Conferences]

[📖 200 Literature]

  • [📚 201 Basics]

    • [📚 201.1 Immunology]

    • [📚 201.2 Neuroscience]

    • [📚 201.3 Other Biologies]

  • [📚 202 Journals for Disease]

    • [📚 202.1 Cancer]

      • [📚 202.1.1 Solid Cancer]

      • [📚 202.1.2 Lymphoma]

      • [📚 202.1.3 Leukemia]

    • [📚 202.2 Autoimmune Disease]

      • [📚 202.2.1 IBD]

      • [📚 202.2.2 Psoriasis]

      • [📚 202.2.3 Arthritis]

      • [📚 202.2.4 GVHD]

    • [📚 202.3 Neuropsychiatric Disorder]

      • [📚 202.3.1 Psychiatric Disorder]

      • [📚 202.3.2 Neurodevelopmental Disorder]

      • [📚 202.3.3 Neurodegenerative Disorder]

    • [📚 202.4 Comorbid Disease]

    • [📚 202.5 Other Biologies]

  • [📚 203 Methods]

    • [📚 203.1 Animal Experiments]

    • [📚 203.2 Cell Culture]

    • [📚 203.3 Wet Methods]

    • [📚 203.4 Dry Methods]

  • [📚 204 Documentation]

    • [📚 204.1 RFI]

    • [📚 204.2 Journal Format]

    • [📚 204.3 Misc References]

[📖 300 Data]

  • [📚 301 Cancer]

  • [📚 302 Autoimmune Disease]

  • [📚 303 Neuropsychiatric Disorder]

  • [📚 304 Comorbid Disease]

  • [📚 305 Method Development]

[📖 400 Outputs]

  • [📚 401 Reports]

  • [📚 402 Papers]

  • [📚 403 Patents]

  • [📚 404 Proposals]

  • [📚 405 Lectures]

배운 점

목차완성에 있어서 ChatGPT 사용에 있어서, 사용방법이 잘못된 것인지. 몇번의 수정이 필요했지만, 손으로 일일이 적는것보다는 편리했습니다. ChatGPT에게 명확하게 지시를 하는 프롬프팅을 연습해 봐야할것 같습니다.

저는 CMDS 지식관리 접근방식을 이용해서 Connect를 혼자 생각하는 Ideas와 미팅 및 컨퍼런스에서 타인과 함께하는 Notes로 나누었고, Merge할 내용으로 추가적으로 연구에 사용되는 논문 및 참고자료들을 선정하였습니다. Development part는 실험의 결과와 해석으로 이뤄진 Data들로 선정하였고, Share할수 있는 양식으로 나오는 리포트, 논문, 특허등으로 구성하였습니다.

특강해주신 것처럼 목차외에도 Index와 Tag 생성으로 Metadata를 통해서, 자료들을 다차원적으로 분류하고 정리하여 적용할 예정입니다.

도움 주신 분

킹요한교수님 aka 옵시디언의 왕🤴

4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