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기 논문작성 2주차] 연구 참고문헌 리스트 만들기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 이미 연구주제는 정했음. 연구계획서 초안이 만들어진 상태에서 참고문헌 리스트를 뽑아서 만들어보고자 함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Tip: 사용한 프롬프트 전문을 꼭 포함하고, 내용을 짧게 소개해 주세요.

Tip: 활용 이미지나 캡처 화면을 꼭 남겨주세요.

Tip: 코드 전문은 코드블록에 감싸서 작성해주세요. ( / 을 눌러 '코드 블록'을 선택)

-> gpt o3-pro, gpt-4o, perplexity.ai

1) 연구주제를 정하기 위해 기존에 이미 여러 방면으로 만들어놓은 연구노트를 첨부시키고 참고논문을 작성하기 위해 고려할 점을 질문함(gpt o3-pro)

-> "이 연구를 위해 참고문헌을 찾는다면 어떤 세부분야에 대해 찾아야 할까?

-> 세부분야(1차 키워드 12개 분야), 핵심논점/키워드(2차), 대표 저널 제시(3차)로 답변해줌

2) 이 결과를 가지고 "gpt o3-pro, gpt-4o, perplexity.ai" 각각에서 동일 질문을 던지며 참고문헌 리스트를 작성해 봄. 이 결과는 이미지로 만들어 각각의 모델에 첨부함.

-> perplexity.ai

"첨부된 이미지로 참고문헌 리소스를 작성해줘"->"구체적인 논문들을 찾아서 리스트를 만들어줘. 논문제목/저자/출처/초록 등. 로그인이 필요할 경우, 논문제목/저자/출처/초록 등에서 수집가능한 수준에서 찾아줘."->"내 연구는 “ooo”에 투고할 예정이야. 위의 참고자료 리스트를 포함하여, “ooo”에서 좋아할 만한 참고문헌을 더 찾아서 리스트를 보충해줘."->처음부터 끝까지 네가 만들어준 참고문헌 리스트에 대한 출처 링크롤 달아서 하나의 답변을 만들어줘."

-> "gpt o3-pro, gpt-4o"

"이전 연구계획 목표 작성 채팅을 참고하여 내 연구의 제목/초록을 한 번 더 작성해줘."->"이건 네가 연구계획 목표 작성 채팅에서 참고문헌을 작성할 때 반드시 넣어야 한다고 한 내용이야. 연구 내용 및 첨부파일을 참고해 세부적인 참고문헌 리스트를 작성해줘. 반드시 수집해야 되는 내용은 논문제목/저자/출처/초록.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수집가능한 수준에서 작성해줘."->"너도 알다시피, 내 연구는 “ooo”에 투고할 예정이야. 위의 참고자료 리스트를 포함하여 “ooo”에서 좋아할 만한 참고문헌을 더 찾아서 리스트를 보충해줘."->"위의 참고문헌 리스트에 대한 출처 링크를 전부 달아줘."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과정 중에 어떤 시행착오를 겪었나요?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나요?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공통점 : 논문 검색 시 3가지 모델 모두 출처 오기 또는 없는 링크가 있었음. 링크는 하나하나 확인 할 것.

차이점 :

1) 4o는 직접적인 검색보다는 "샘플"이라는 표기를 달아 이전에 검색된 내용을 표시하는 것 같음.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수집 가능한 수준에서 검색하라고 했으나.. 이는 무시함. 오픈소스/뉴스 등에서 가져옴

2) 퍼플렉시티는 첨부된 12개 세부분야를 8개로 합쳐서 논문을 제시했으며, 분야마다 1~2개를 제시함. 저자 없음의 논문 및 주요 키워드가 아닌 서브 키워드만 관련된 논문도 섞어서 답변. 이는 검색 시 세부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검색을 2번에 걸쳐 했으나, 하나로 합쳐달라는 요구는 무시함. 오히려 분야를 더 줄여버림. 이것도 프롬프트 문제인 듯. 중국저자의 오픈소스보다 유럽/미국 쪽 논문을 주로 제시함. 투고 학술지 취향은 반영하지 못하는 듯 함.

3) o3-pro는 12개 세부분야에 대해 총 44편의 논문을 제시함. 링크오류/저자 없음을 가만해도 상당히 많은 양의 논문을 검색했으며, 중국저자의 오픈소스보다 유럽/미국 쪽 논문을 주로 제시함. 활용팀, 사용전략, 관리팁도 제시함. 투고 학술지 취향을 반영하려 노력함.

결론 : 여러분.. 프로 좋아요...!!

도움 받은 글 (옵션)

참고한 지피터스 글이나 외부 사례를 알려주세요.

(내용 입력)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