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Space 네 번째 글입니다. PDF 파일들을 정리할 수 있는 My Library입니다.
믿을만한 문서들을 올려두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Zotero, Mendeley를 사용하시던 분들이라면 SciSpace로 옮겨올 수 있습니다.
4. My Library
4.1. 문서 업로드, 관리
Pega Devlog: 생성 AI 연구 활용 한계와 제언
Nature: Artificial-intelligence institute launches free science search engine
Semantic Scholar: A free, AI-powered research tool for scientific literature
Zotero
SciSpace를 비롯한 정보 수집, 정리용 AI 도구들의 가장 치명적인 약점은 Data Source입니다.
반년 전 관련 글을 올린 적도 있지만 여전히 유효합니다.
이런 도구들은 Semantic Scholar: A free, AI-powered research tool for scientific literature에서 논문을 찾습니다.
https://jehyunlee.github.io/2025/01/18/General-75_scispace_mylibrary/75_scispace_mylibrary_02.png
Semantic Scholar 접속화면
Semantic Scholar가 좋은 검색 엔진이기는 하지만, 분야에 따라서는 답답합니다.
찾는 논문, 좋은 논문. 정확히는 유료 논문이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AI가 논문을 찾아 내용을 정리해서 주다 보면 왠지 더 믿게 되고, 여기서 보이지 않는 것은 없다고 은연중에 생각하게 됩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논문을 직접 찾아 PDF 파일을 업로드하는 것입니다.
ChatGPT에도 이런 식으로 논문을 올리고 활용할 수 있는데, 문제는 파일 관리를 PC 등에 별도로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SciSpace는 문서를 올리고, 폴더를 만들어 관리할 수 있도록 My Library를 제공합니다.
https://jehyunlee.github.io/2025/01/18/General-75_scispace_mylibrary/75_scispace_mylibrary_01.png
SciSpace 접속화면
우측 상단의 My Library 버튼을 누르면, 또는 좌측 세로줄 메뉴에서 책꽂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저의 경우 아래와 같은 장면이 펼쳐집니다.
먼저, 좌측에 엄청나게 많은 폴더들이 있습니다. 제가 논문을 받을 때마다 만든 것들과 함께,
한때 사용하던 Zotero에 저장된 서지정보를 받아온 것들입니다.
https://jehyunlee.github.io/2025/01/18/General-75_scispace_mylibrary/75_scispace_mylibrary_03.png
My Library
이 중 주황색으로 표현된 AI in Energy폴더를 클릭한 것이 주 화면에 나온 것입니다.
폴더에 속한 논문들이 주요 내용과 함께 표로 정리되어 출력됩니다.
표의 우측 상단에서 언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은 영어이지만 한글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한글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의
TL;DR
이 우리말로 출력되고 있습니다.Files
에는 파일명이 있습니다. 24개의 파일명 아래에 세 가지 기능이 보이는데,summary
,Podcast
,Chat
입니다.summary
를 누르면TL;DR
보다 훨씬 자세한 요약이 출력되지만 영어로만 고정되어 있습니다.언어 설정을 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쉽기는 하지만
TL;DR
에 비해 훨씬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https://jehyunlee.github.io/2025/01/18/General-75_scispace_mylibrary/75_scispace_mylibrary_04.png
Summary
Chat
을 누르면 오른쪽에 플로팅 창이 뜨면서, 이 논문에 대해 질문을 하고 답을 받을 수 있습니다.ChatGPT에 논문을 업로드해 둔 것과 같은 상황인데, 사용을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질문을 하면 빠르게 답변을 하고 본문 중 답을 가져온 지점을 레퍼런스로 표시해주는 것 까지는 좋은데,
레퍼런스를 클릭하면
Chat with PDF
모드로 갑니다. 여기까지도 좋습니다.
제가 권장하지 말라고 한 것은, 창이 점프하면서 질문과 답변이 모두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단순한 오류이고 곧 고쳐질 것이라 생각하지만, 그리고 새로 열린 창에서 질의와 답변을 받을 수 있지만
그럴거면 그냥 논문 제목을 클릭해서
Chat with PDF
모드로 간 것이 더 편합니다.뭔가 아직 정리가 덜 된 느낌이 있습니다.
https://jehyunlee.github.io/2025/01/18/General-75_scispace_mylibrary/75_scispace_mylibrary_05.png
Chat
화면 오른쪽에는
+
로 시작하는 항목이 많이 있습니다.여기를 클릭하면 표에 항목이 새로 붙으면서 각 논문마다 해당 데이터를 일괄 추출해 냅니다.
관심이 사라진 주제는
x
를 눌러 닫을 수도 있고,일괄 적용하고자 하는 질문이 없을 경우
Create new column
을 눌러 새로운 열을 만들 수 있습니다.그리고 우측 상단
Export
버튼을 눌러 표를 엑셀 등 형식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https://jehyunlee.github.io/2025/01/18/General-75_scispace_mylibrary/75_scispace_mylibrary_06.png
추출 내용 추가
라이브러리 관리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왼쪽 폴더 목록 위에 있는
+New
버튼을 눌러 폴더를 만들 수 있고,오른쪽 위
Upload PDFs
버튼을 눌러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4.2. 가져오기
SciSpace는 Zotero의 목록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화면 왼쪽 위
Import from Zotero
버튼을 누르면 Zotero 계정과 연결하는 화면이 나오는데,Zotero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연결하면 다음과 같이 어떤 폴더를 가져올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가져올 폴더를 선택한 뒤
Import
버튼을 누르면 폴더가 생성되고, 그 안에 논문들이 추가됩니다.
https://jehyunlee.github.io/2025/01/18/General-75_scispace_mylibrary/75_scispace_mylibrary_08.png
Import from Zotero
PDF 파일만 가져올 수 있다는 이야기가 하단에 깨알같이 적혀있는데,
여기에 덧붙여 Mendeley에서 Zotero로 가져온게 있다면 이건 안가져올거야라고도 합니다.
사실과 다릅니다.
PDF 파일이 없는 서지정보도 가져오며
Mendeley에서 가져온 논문들도 가져옵니다.
그 바람에 서지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은 없는데 가져올 수는 있는 기형적인 구조가 됩니다.
기능이 추가되었으나 안내 문구가 수정되지 않은 것으로 짐작합니다.
희한한 것은 서지정보만으로도 뭔가 데이터를 끄집어 낸다는 것인데,
Summary
,Podcast
버튼은 동작하지 않지만Chat
은 오동작을 합니다.무슨 말이냐면, 지시한 논문의 내용이 아닌 아무말이나 지어낸다는 뜻입니다.
https://jehyunlee.github.io/2025/01/18/General-75_scispace_mylibrary/75_scispace_mylibrary_07.png
서지정보
다행히 논문 제목을 클릭해서
Chat with PDF
모드로 가면 써먹을만 합니다.서지정보를 이용해 Semantic Scholar와 연결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초록과 TL;DR, 그리고 피인용수까지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https://jehyunlee.github.io/2025/01/18/General-75_scispace_mylibrary/75_scispace_mylibrary_09.png
서지정보를 이용한 Semantic Scholar 정보 수집
Request PDF버튼을 통해 저자에게 메일을 보낼 수 있는데,
제가 교신저자로 등록돤 메일을 눌러보았지만, 확인해보니 정작 너무 예전 메일주소라 제가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기능이야 어쨌든 다소 무례한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https://jehyunlee.github.io/2025/01/18/General-75_scispace_mylibrary/75_scispace_mylibrary_10.png
Request PDF: 저자에게 원고 요청
4.3. 맺음말
논문을 정리하는 사람 치고 적은 양을 정리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대학원에 입학한지 얼마 되지 않아 애초에 가진 것이 적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당히 많은 논문 + 많아질 논문들을 관리하는 것이 숙명에 가깝습니다.
그런 면에서 폴더 를 만들어 정리할 수 있는 이 기능은 상당히 매력적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폴더 정렬이 되지 않는다는 점은 매우 아쉽습니다.
설명과 달리 서지정보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Zotero, Mendeley 같은 서지 관리 프로그램을 노리는 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사실 전통의 강자 EndNote를 포함해 이런 프로그램들이 여럿 있고,
이들도 AI 기능을 달려면 얼마든지 달 수 있습니다. SciSpace보다 더 유리한 고지를 점한 곳도 많습니다.
더 좋은 도구들이 나오면 언제든 활용할 수 있다는 열린 마음으로 기다리는 자세가 필요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