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욱영
김욱영
Moderator
🌿 뉴비 파트너

나의 메모를 NVC 기법으로 공부하기

제 친구가 원불교학과를 가서, 오랜만에 보니 전혀 다른 분이 되버리셨어요.
원불교 전서를 열심히 공부하고 있길래, 제가 총서편을 열심히 읽어보고 정리를 해두었습니다.

열심히 정리했는데, 시간이 지나서 기억을 잊었더라고요.
그래서 NVC 기법을 이용하여, 한번 되물어보았습니다.

NVC 기법에 대한 짧은 소개입니다. -- 제가 과거 메모해두었던 NVC에 대한 설명입니다.

1/
*NVC를 하는 방법*
[Observation(관찰)]할 때, 저는 [Emotion(감정)]을 느낍니다.
왜냐하면 [Universal Needs(보편적 욕구)]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Request(요청)]을 해주실 수 있나요?

2/
[Observation(관찰)]은 평가가 아닌 관찰에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관찰은 들은 것(직접 인용)과 본 것(논에 보이는 과거 행동)의 범주에 속한다.

*예시*
평가 : 작업이 엉성하다.
관찰 : 테스트 결과 A가 잘 작동하지 않습니다.
 
3/
[Emotion(감정)] 뒤에는 충족되지 않은 [Universal Needs(보편적인 욕구)]가 있다. 감정을 느낀 이유는 보편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감정에서 보편적 욕구를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예시*
상황 : 회의에서 코멘트를 받음
감정 : 당황함
보편적 욕구 : 배려의 필요성이 충족되지 않음

4/
[Request(요청)]은 1. 구체적 이여야 한다. 2. 원치 않은 것이 아니라, 원하는 것 이어야 한다. 원하는 것을 명확히 해야한다.
훌륭한 커뮤니케이션은 내가 말하는 것 뿐아니라, 타인이 잘 듣게 하는 것이다.
GPT-4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한 답변입니다. NVC로 깔끔하게 해준 모습이네요.

NVC(비폭력대화)에 요청 부분에 있는 부분에,
** 여러 가지 '그릇'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시는 것 같습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을까요?**
라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여기에도 답을 해보았어요. 계속해서 대화를 이어나가고 생각이 정리되는 부분이 좋았습니다.



5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