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활용 가이드라인 정리 (ACS, Nature, 영국 정부 등. 한국어/영어 버전)

작년 2월 ACS에서 선제적으로 생성AI 연구 활용 가이드라인을 내놓은 이후,

많은 기관과 단체에서 각자 대동소이한 기준을 내놓았습니다.

ChatGPT-4o (omni) 발표로 또 한번 논의가 뜨거워지겠습니다만, 

기본적으로 AI가 생성하는 글과 그림에 대한 논의는 어느 정도 정리된 듯하여 가이드라인을 취합해 보았습니다.

여러 종류의 AI 도구들을 사용해 효율적으로 작업했습니다.

- ① 자료 수집: perplexity

- ② 요약: MS Bing Copilot, scispace

- ③ 정리: MS word

- ④ 취합 : ChatGPT

- ⑤ 정돈 : MS PowerPoint

- ⑥ 번역: DeepL

- 이 중 MS Word와 MS PowerPoint는 의도적인 수작업입니다.

- 데이터를 한 줄 한 줄 읽으며 확인과 수정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https://jehyunlee.github.io/2024/05/19/General-52-genairesearch/



5

(채용) 유튜브 PD, 마케터, AI엔지니어, 디자이너

지피터스의 콘텐츠 플라이휠로 고속 성장할 팀원을 찾습니다!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