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을 AI에게 모두 맡기기 보다 연구자로서 AI비서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이 무엇이고 어떤 프로세스로 작성을 해나가면 좋을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절차서를 만들고 AI활용방법을 생각해보았음
ㅁ 연구논문의 작성기준
통과할 수 있는 논문을 작성하자
핵심은 내가, 힘든 일은 AI가 하도록 하자
지피터스를 통해 배운 툴을 활용하자
ㅁ 통과할 수 있는 논문작성
내가 원하는 원대한 꿈보다 지도교수님의 연구사례를 활용한 소확행의 연구논문으로 방향설정 (참고 : "한번에 통과하는 논문 : 논문 검색과 쓰기 전략",히든그레이스, 논문통계팀, 2017)
그러기 위해서는 그간의 지도교수님의 연구결과물과 지도학생들의 연구논문을 AI를 활용하여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연구모형, 핵심주제어 등을 파악하자
핵심은 내가 힘든 일 은 AI가
단순반복적인 일, 자료 찾는 일, 정리하는 일, 사전 데이터 분석으로 예측되는 결과 파악 등은 AI를 활용하자
지피터스를 통해 배운 툴을 활용해보자
사례 발표 등에서 언급된 AI활용 방법들 적용
ㅁ 진행 방법
이러한 작성기준을 가지고 유미선 교수님이 소개해주신 퀴즈앤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프로세스 관련 절차서를 만들어 보았음(핀번호 : 0488007)
(https://quizn.show/pbd/info/board/0488007
)
AI툴은 각자 유료가입한 툴이 다르고, 활용 편의성이 다르고, 연구주제에 따라 효율적인 툴이 다르기에 나에게 맞는 경험을 통해 AI툴을 선택하여 학습시키고 활용하는 방법을 익히는 게 중요
그래서 저는 저만의 AI툴을 활용하는 방법을 가지고 작성해나가고 있음
사용하는 툴 소개
퀴즈앤(https://quizn.show/)
: 논문작성과정의 프로세스 정리 툴로 활용
다글로(https://daglo.ai/)
: 강의내용. PDF논문 등의 요약정리, 챗봇 활용가능
Monica(https://monica.im/)
: 각각 개별결제 없이 모티카에 가입함으로서 gpt, claude, grok 등 다양한 AI툴을 사용할 수 있음. 저는 GPT와 Claude를 주로 활용하고 있음
결과와 배운 점
AI툴은 매일 새로운, 더나은 툴이 나타나고 있어 어느 하나의 툴이 정답이 될 수 없음. 오히려 너무 빠르고 다양하게 진보하고 있다보니 무슨 툴을 사용해야할지 선택장애가 발생하고 있음
AI툴 배우는데 시간과 노력을 더 많이 사용하다보니 정작 논문작성 시간은 줄어드는 느낌이면서도 계속 새로운 툴이 나오다보니 오히려 더 도태되고 있는 느낌
일단 내게 익숙한 툴을 활용하여 빨리 실습을 하면서 결과를 도출시키려고 노력중
ai에 대한 프롬프트는 똑같은 프롬프트를 넣어도 늘 다른 결과물을 도출하기에 내가 원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지속 경험하면서 보완하는게 좋을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