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프트 잘 짜고 싶다. 똑똑한 사람들은 어떻게 짤까 (Feat. Scispace, ChatGPT, Perplexity)

배경 및 목적

프롬프트를 chatGPT 혹은 Claude 인터페이스 안에서나, API를 이용해서나, Open-source LLM을 이용할 때나 깔쌈하게 쓰고 싶은데 우리를 저 푸른 초원 위로, 파라다이스로 인도하는 딥러닝 연구자들을 어떻게 짤까 매우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저는 궁금합니다.

Scispace부터 시작합니다.

What is current status of prompt engineering?

그리고 본 내용을 <Save to Notebook>에 넣습니다. 본 버튼은 "Answer from top 10 papers" 맨 아래에 있습니다. 디폴트는 5 papers라 되어있을것입니다.

한국어 텍스트가 있는 페이지

"""

이렇게 뜨실 것입니다.

"""

'제안 엔지니어링'이라는 단어가 강조 표시된 Google 문서 페이지의 스크린샷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해볼까요?

참고 자료

여차저차 하였습니다. 분명히 보고 참고한게 있을것 같은데, 나중에 넣겠습니다

활용 툴

  1. ChatGPT

  • GPTs를 활용합니다.

🔗"[GPT 4.5 Unofficial] Best General Purpose GPT"

저는 이 GPTs를 너무 좋아합니다. 'V' 로 조절을 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이 5를 주게되면 prompt를 다시 "자세히" 써줍니다. 이를 카피하여, Perplexity에 붙입니다.

  1. 🔗Perplexity

실행 과정

1. ChatGPT's "[GPT 4.5 Unofficial] Best General Purpose GPT"

  • 다음과 같이 프롬프트를 넣어줍니다.

텍스트가 있는 페이지의 스크린샷
  • 이 결과도 Scispace에 Notebook에 넣어줍니다.

    • 물론 "Heading" 기능을 이용하여 어디서부터 왔는지 적어줍니다.

2. Perplexity

프롬프트 고대로 넣습니다. 그러면 결과가 나올것이잖아요. 이 또한 Scispace에 Notebook에 넣어줍니다.

3. ChatGPT

🔗"[GPT 4.5 Unofficial] Best General Purpose GPT"

를 활용하여, 이제는 스니펫을 정리하라고 시킵니다.

결과 및 인사이트

-그리해서 나온 결과입니다.


이랬는데...

prompt-engineering_scispace_notebook.pdf
200.76KB

이렇게 나왔습니다.

organized_prompt_engineering_final.pdf
51.21KB
  • 배운 점

    • Citation은 잘 가지고 오지 않네요.....

    • GPTs를 만들어야할지도 모르겠군요.

2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