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저는 기업에서 의뢰를 받아 리더십, 문제해결 등 일을 잘하기 위한 계층별 리더십이나 역량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강의를 하기 위해 가장 많이 하는 것 중의 하나가 제안서를 작성하는 일입니다. 이 제안서는 꽤 번거롭고 귀찮기도 하지만 기업을 상대로 일을 하기 위해 가장 중 요한 부분입니다.
교육의뢰요청
한국OOO신탁 이라는 회사에서 교육의뢰가 들어왔습니다. 내용이 좀 특이했던 것은 협상교육인데 고객사와 업무적 협상이 아니라 회사내에서 팀별, 개인별로 업무협업과정에서 어떻게 협상을 잘 할수 있는가에 관한 교육을 진행해 달라는 것 이었습니다.
8시간 과정의 제안서를 보내달라는 요청으로 챗GPT를 활용해서 제안서를 작성하기로 했습니다.
제안서 작성을 위한 챗GPT활용
늘 시작은 챗GPT의 역할을 정해주는 것입니다.
그러자 친절하게 역할을 잘 하겠다고 하네요..^^
제가 구체적인 니즈를 요청합니다.
그러자 즉각 응답이 옵니다.
구조는 잘 잡은것 같은데 구체적인 내용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질문하자
여기서 끝내기래
협상교육에서는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사례와 실습입니다.
이를 요청했습니다.
그러자
스토리보드는 만들었는데 구체적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했더니
큰 변화가 없습니다. 시나리오 형식이 이게 아닌데.. 그래서
제가 원하는 형식이 나왔습니다.
여기서 하나의 포인트, 챗GPT의 분량입니다. 챗GPT는 제가보기에 분량의 한정이 있는것 같습니다. 아무리 많은 양을 요구해도 그 분량이 A4용지 한장정도 이상을 넘지 않습니다. 그래서 각 장면별로 시나리오를 작성해 달라고 하면 굉장히 많이 적을줄 알았는데 간략하게 정리한 것을 보면 그렇습니다.
그래서 분량을 늘리는 방식은 결국 많은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그것의 하나하나를 다시 구체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제가 장면 하나를 특정해서 대화형식을 요구했던 것 처러 말이죠..
대화가 중요한 것은 여기서 학습포인트를 찾기 위함입니다.
여기까지 하고서 요청했습니다
교육내용이 잘 안드러나서
소감 및 포인트
1) 챗GPT는 분량을 많이 써주지 않습니다. 10페이지 기획서를 요청할수 없다. 그래서 크게 목차를 잡을수 있는 수준이 만들어지면 이를 다시 하나하나 구체적으로 늘려가는 방식으로 활용도를 높여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2) 위 제안서는 물론 바로 쓸 수 없습니다. 하지만 초안으로 생각하기에 큰 무리가 없을 정도로 교육제안서에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위 초안을 기본으로 해서 추가적인 살을 붙이고 다듬으면 훌륭한 제안서가 됩니다. 저 역시 이것을 바탕으로 제안서를 작성하여 제출했습니다.
챗GPT가 전문가가 그 분야를 쓰기에는 별 로 일수 있지만 잘 모르는 분야를 처음 다루는 사람들이 접근하는 방법으로는 더할나위 없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제가 처음 기업교육관련 일을 할때는 아예 제안서 내용에 뭐가 들어가야 하는가를 전혀 알수 없었거든요..
AI가 사람을 대체할수 없다. 아직까지는 그런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AI는 어떤 분야의 전문가들이 타분야를 빠르게 습득해서 그 연결의 포인트를 찾아 창의적 인재로 거듭나는데 더할나위 없이 좋은 도구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