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로 논문 초안 쓰기: 당신의 시간을 돌려드립니다.^^(1/3)

소개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으로 학술 연구 분야에서도 다양한 AI 툴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 게시글은 논문 작성 과정에서 어떤 생성형 AI 툴이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합니다.

이 게시글의 주요 목적은 논문 자체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논문의 각 구조와 단계에 적합한 AI 툴을 식별하고 그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총 3개의 게시글을 통해 연구 결과를 공유할 예정이며, 첫 번째 게시글에서는 효과적인 AI 도구 활용을 위한 Instruction 작성 방법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겠습니다.

진행 일정

첫번째 게시글 : Instruction 작성방법(본 게시글)

두번쨰 게시글 : Methods, Results, Discusstion 작성방법

세번째 게시글 : Conclusion, References 작성방법

진행 방법

ChatGPT : 기본 도구

Elicit : 인용 도구로 사용

Scite : 인용 도구로 사용

SciSpace : 논문에서 특정 섹션 요약 도구로 사용

Claude : 논문 초안 작성 도구

Instruction 작성 프로세스

  1. ChatGPT로 Instruction 구조 작성

  2. Elicit로 관련 논문 검색

  3. ChatGPT로 Elicit 저장 파일 APA 스타일로 변경

  4. Scite로 관련 논문 검색

  5. Claude로 Instruction 작성(ChatGPT Instruction 구조, Elicit 인용 논문, Scite 인용 논문 포함)

Instruction 작성

  1. ChatGPT로 Instruction 가이드 작성

나는 과학 연구자이고, 논문을 작성 중이야. 주제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논문 작성 자동화의 가능성과 한계"**야.
 3단락으로 구성된 서론을 쓰고 싶어. 첫 번째 단락은 생성형 AI와 논문 작성 자동화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포함할 거야. 두 번째 단락은 생성형 AI의 활용 사례와 실용적 의의를 담을 거고, 세 번째 단락은 내가 제시한 주제를 고려해서 이 분야에서의 연구 공백(research gap)을 다룰 예정이야. 이 서론을 위한 간단한 구조를 제안해줄 수 있을까?

  1. Elicit로 인용 논문 찾기

  • 검색 키워드 : 생성형 AI를 활용한 논문 작성 자동화의 가능성과 한계

Etsy 체크 아웃 페이지의 스크린 샷
  • 검색된 인용을 확인하고 해당 인용을 BIB 파일로 저장

항목 목록이있는 페이지의 스크린 샷

  1. BIB 파일 ChatGPT APA 논문 인용 스타일로 변경하기

    BIB 파일을 업로드할게. 이 파일의 내용을 APA 인용 형식으로 작성해줄 수 있어? 참고문헌에 번호도 매겨줘
물론이죠! 아래는 업로드하신 `.bib` 파일을 기반으로 변환한 APA 인용 형식 참고문헌 목록입니다. 번호가 매겨진 **plain text** 형식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 Ahn, Ye-rim (2024). A Study of the Critical U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llege Writing Classes: Focusing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elf-introduction letters.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27, 143–172. https://doi.org/10.24173/jge.2024.04.27.5

2. Kwak, Subeom (2024). Generative AI: A Writing Companion or a Hindrance? *JOURNAL OF READING RESEARCH*, 73, 45–80. https://doi.org/10.17095/jrr.2024.73.2

3. Choi, Jiyoung (2023). A Case Study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Writing Using AI-Based Text Generator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59, 89–112. https://doi.org/10.29403/ker.2023.59.89

4. Unknown Author (2023). Modern Sokal’s Hoax: Exploring the Ethics of AI-Generated Nonsense in Academic Writing. *Science and Ethics*, 12, 101–120. https://doi.org/10.1000/modern.sokal.2023

5. Wang, Hei-Chia, Hsiao, Wei-Ching, & Chang, Chi-Cheng (2023). Exploring the Role of Generative AI in Supporting Academic Research Wri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20, 1–20. https://doi.org/10.1186/s41239-023-00393-5

---

더 많은 참고문헌이 필요하시거나, 본문 내 인용을 위한 형식(예: (Ahn, 2024))으로도 원하시면 말씀해 주세요!

  1. Scite 인용 논문 찾기

    • 검색 키워드 : 생성형 AI를 활용한 논문 작성 자동화의 가능성과 한계

귀하의 AI 연구 조교
  • 출력 결과 확인 후 인용할 논문 선택

    Google 검색 페이지의 스크린 샷
  • 인용 복사

    Google 검색 페이지의 스크린 샷
  • 팁 : DeepL 설치 되어 있으면 한글로 해석 가능

한국 텍스트가 강조된 Google 검색 페이지의 스크린 샷

  1. Claude로 Instruction 작성하기

    5.1. 아래 프롬프트 실행

     나는 과학 논문을 작성 중인 연구자야. 주제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논문 작성 자동화의 가능성과 한계”**야. 이제 서론 부분을 작성해보자. 다음 프롬프트에서 몇 가지 지침을 줄게. 내가 ‘start now’라는 명령을 줄 때만 작성을 시작해줘.

팁 : start now 라는 프롬프트 전에는 Claude는 학습만 함

5.2 1번 단계 Instruction 구조 가져와서 프롬프트 완성하기

다음은 서론의 구조입니다. 이 구조에 따라 3단락으로 구성된 서론을 작성하세요.

---

### 🔷 **서론 구성 제안 (3단락)**

---

#### ✅ **1단락: 생성형 AI와 논문 작성 자동화의 전반적 소개**

- **배경 설명**:  
  - 최근 몇 년간 급속도로 발전한 생성형 AI 기술(GPT, Claude, Gemini 등)
  - 다양한 분야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증가
- **논문 작성 자동화와의 연결**:  
  - 생성형 AI가 논문 작성의 일부 단계를 보조하거나 자동화하는 데 활용되고 있음
  - 기존 연구자들의 글쓰기 부담 완화, 정보 탐색 시간 단축 등의 장점
- **전반적인 문제 제기**:  
  - 그러나 AI의 도움을 받는 글쓰기가 과연 연구 윤리와 창의성, 정확성 측면에서 유효한가?

---

#### ✅ **2단락: 생성형 AI의 실제 활용 사례와 의의**

- **구체적 사례 제시**:  
  - 예: SciSpace, Jenny.ai, Elicit 등의 AI 툴을 이용한 문헌 검색, 초안 작성, 참고문헌 정리
  - 실제 연구자들의 활용 경험이나 발표된 관련 연구 결과
- **실용적/임상적 의의 강조**:  
  - 초보 연구자에게 가이드 역할
  - 다국어 사용자나 비전문가에게 접근성 향상
  - 시간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
- **잠재적 기대감 형성**:  
  - 앞으로의 연구 생태계 변화에 대한 기대

---

#### ✅ **3단락: 연구 공백 및 본 논문의 목적**

- **현황 정리**:  
  -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생성형 AI의 실제 효과, 윤리적 고려, 품질 검증 등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부족
- **연구 공백 제시**:  
  - 논문 작성의 전 과정에서 AI의 기여도, 한계, 위험요소 등에 대한 분석 부족
  - 자동화 가능성과 인간 연구자의 역할 분담 문제에 대한 논의 미비
- **본 논문의 목적**:  
  - 생성형 AI를 활용한 논문 작성 자동화의 실질적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 그 활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

5.3. 2번 단계 Elicit 인용 논문 포함하여 프롬프팅하기

다음은 서론에 사용할 참고문헌 목록입니다. 이 목록에 있는 참고문헌만 사용하세요.

1. Ahn, Ye-rim (2024). A Study of the Critical U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llege Writing Classes: Focusing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elf-introduction letters.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27, 143–172. https://doi.org/10.24173/jge.2024.04.27.5

2. Kwak, Subeom (2024). Generative AI: A Writing Companion or a Hindrance? *JOURNAL OF READING RESEARCH*, 73, 45–80. https://doi.org/10.17095/jrr.2024.73.2

3. Choi, Jiyoung (2023). A Case Study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Writing Using AI-Based Text Generator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59, 89–112. https://doi.org/10.29403/ker.2023.59.89

4. Unknown Author (2023). Modern Sokal’s Hoax: Exploring the Ethics of AI-Generated Nonsense in Academic Writing. *Science and Ethics*, 12, 101–120. https://doi.org/10.1000/modern.sokal.2023

5. Wang, Hei-Chia, Hsiao, Wei-Ching, & Chang, Chi-Cheng (2023). Exploring the Role of Generative AI in Supporting Academic Research Wri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20, 1–20. https://doi.org/10.1186/s41239-023-00393-5

5.4. 4번 단계 Scite 인용 논문 포함하여 프롬프팅하기

다음은 추가 참고문헌입니다. 이 논문은 “연구에 따르면 AI는 적시에 피드백을 제공하고 명확성과 응집력을 위한 제안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생각을 정리하고 글쓰기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고 말합니다. 이 내용을 서론에 통합하고, 해당 논문을 인용해 주세요.

Marmoah, S., Adika, D., Haryati, S., & Yurni, Y. (2024). Leveraging ai to optimize english academic writing (eaw)  in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systems (idss). Jurnal Ilmiah Universitas Batanghari Jambi, 24(2), 1265. https://doi.org/10.33087/jiubj.v24i2.5483

5.5. start now 해서 Instruction 작성하기(아래는 완성된 서론 결과임)

## 서론

최근 몇 년간 ChatGPT, Claude, Gemini와 같은 생성형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학술 연구 영역에서는 생성형 AI가 논문 작성의 일부 단계를 보조하거나 자동화하는 데 활용되며, 연구자들의 글쓰기 부담을 완화하고 정보 탐색 시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장점을 보여주고 있다(Wang et al., 2023). 생성형 AI 기술은 초안 작성, 문헌 검색, 참고문헌 정리 등 논문 작성의 여러 측면에서 연구자를 지원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Marmoah 외(2024)는 AI가 적시에 피드백을 제공하고 명확성과 응집력을 위한 제안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생각을 정리하고 글쓰기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AI의 도움을 받는 글쓰기가 과연 연구 윤리와 창의성, 정확성 측면에서 유효한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제기된다.

실제로 SciSpace, Jenny.ai, Elicit 등의 AI 도구들은 연구자들에게 문헌 검색, 초안 작성, 참고문헌 정리와 같은 작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외국어 학습자들의 경우, AI 기반 텍스트 생성기를 활용한 글쓰기가 언어적 장벽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최지영, 2023). 특히 초보 연구자에게는 학술적 글쓰기의 가이드 역할을, 다국어 사용자나 비전문가에게는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권수범, 2024). 안예림(2024)은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생성형 AI의 비판적 활용에 관한 연구를 통해 시간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러한 발전은 앞으로의 연구 생태계가 AI와 인간 연구자의 협업을 중심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형성하고 있으며,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동화된 논문 작성이 일정 조건에서 실현 가능하다는 전망도 제시되고 있다(Marmoah et al., 2024).

그러나 생성형 AI에 대한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그 실제 효과, 윤리적 고려사항, 품질 검증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Modern Sokal's Hoax"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AI가 생성한 무의미한 학술 텍스트가 진짜 학술 논문으로 오인될 위험성은 학계의 중요한 우려 사항이다(Unknown Author, 2023). 논문 작성의 전 과정에서 AI의 기여도, 한계, 위험요소 등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며, 자동화 가능성과 인간 연구자의 역할 분담 문제에 대한 논의도 미비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논문 작성 자동화의 실질적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 학술 연구에서의 AI 활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논문 작성에서 AI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연구자들이 AI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결과와 배운 점

이번 첫 번째 게시글에서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논문 작성 과정 중 서론(Introduction) 부분 작성을 위한 효과적인 Instruction 작성 방법을 탐구했습니다. 다양한 AI 툴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성과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요 결과

  1. 단계적 접근법의 효과성: ChatGPT를 통해 서론의 구조를 명확히 설계하고, Elicit과 Scite를 활용하여 관련 논문을 검색한 후, Claude로 최종 서론을 작성하는 단계적 접근법이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각 AI 도구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2. 구조화된 프롬프트의 중요성: 서론 작성을 위한 프롬프트를 3단락으로 명확히 구조화함으로써, AI가 생성하는 내용의 일관성과 논리적 흐름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특히 각 단락의 목적과 포함해야 할 요소를 명확히 지정한 것이 효과적이었습니다.

  3. 인용 자료의 효율적 통합: Elicit과 Scite를 통해 찾은 관련 논문들을 프롬프트에 직접 포함시킴으로써, AI가 적절한 학술적 맥락에서 서론을 작성할 수 있도록 유도했습니다. 이는 결과물의 학술적 신뢰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4. 단계별 학습 프로세스: Claude에게 'start now' 명령을 통해 작업을 시작하게 하는 방식은 AI가 충분한 정보를 수집한 후에 작성을 시작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전략이었습니다.

배운점

  1. AI 도구 간 상호보완성: 각 AI 도구는 고유한 강점과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때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ChatGPT는 구조화에, Elicit과 Scite는 문헌 검색에, Claude는 최종 텍스트 생성에 특화되어 있었습니다.

  2.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중요성: 명확하고 상세한 지시사항이 AI의 출력 품질을 크게 향상시킴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서론의 구조, 인용해야 할 논문, 각 단락의 목적 등을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3. 인용 관리의 효율화: APA 스타일로의 변환과 같은 형식 작업도 ChatGPT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연구자의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약해줍니다.

  4. 다국어 지원의 유용성: DeepL과 같은 번역 도구를 활용하면 영어로 된 논문을 한글로 번역하여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을 확인했습니다.

이번 첫 게시글을 통해, 생성형 AI 툴을 활용한 논문 서론 작성 프로세스를 체계화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 게시글에서는 Methods, Results, Discussion 섹션 작성을 위한 AI 활용 방법을 탐구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논문 작성의 전 과정에서 AI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5
3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