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대조 표현을 통해 설명문 에세이 쓰기 FROM A TO Z (레슨플랜 짜기 부터 피드백)

배경 및 목적

쓰기는 영어의 4가지 영역 중에서 많은 학생들이 가장 어려움을 겪는 기술이며 특히 문법, 어휘 선택, 문장 구조에 대한 자신감 부족으로 글쓰기를 시작하는 것 자체를 꺼리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영어 작문 실력 향상이 더디고, 글쓰기 과제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았습니다.

판교의 한 중학교 2학년 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의 비교/대조 에세이(Compare and Contrast essay) 작성 능력 향상을 위해 Writable AI를 도입했습니다. 학생들은 단순한 나열식 글쓰기에 익숙해져 있었고, 두 대상을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대조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목표

  1. 학생들의 영어 쓰기에 대한 두려움 감소

  2. 영어 작문 실력 향상 (특히 문법과 어휘 사용)

  3.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글쓰기 능력 개발

  4. 교사의 첨삭 및 피드백 시간 단축

구체적인 목표:

  1. 비교/대조 에세이의 구조 이해 및 적용

  2. 적절한 비교/대조 표현 사용 능력 향상

  3. 논리적이고 일관된 글의 흐름 개발

  4. 주제 관련 어휘(채소와 과일) 확장

참고 자료

  • "Teaching the Compare and Contrast Essay through Modeling" by Jennifer Gonzalez

  • "Writing Compare/Contrast Essays" by Purdue Online Writing Lab

  • 한국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지침서

  • "Second Language Writing" by Ken Hyland

  • "Teaching ESL/EFL Writing: A Practical Guide" by Joanna Lindner

  • American Council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ACTFL) 쓰기 능력 가이드라인

  • 한국 영어교육학회 논문: "AI 기반 영어 쓰기 도구의 효과성 연구"

활용 툴

활용 툴

Magic school / chat GPT / Writable AI: https://www.writable.com/ 퀴즐렛 /캔바 / https://gitmind.com/kr/

실행 과정

1) 레슨 플랜 짜기

강의를 보여주는 화면의 스크린샷

https://app.magicschool.ai/tools

마법학교 홈페이지 캡처
  1. MAGIC SCHOOL를 통해 LESSON PLAN을 만듭니다.  관련 자료를 CHAT GPT에서 관련 유인물을 첨부한후 만들어 달라고 합니다.

 

수업 계획 화면의 스크린샷

2.   구체적인 토픽을 정합니다.  두 문화와 문학의 비교와 차이 Mastering Compare-Contrast Writing: Exploring Cultures and Literature

한국어 수업 계획 스크린샷

테이블에 있는 한국어 문자 목록

만들어준 레슨 플랜

( 예시 )한국영어와 미국영어 비교 대조: 문화적 차이와 언어적 특성 탐구

  • 학습 목표:

학생들은 한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주요 차이점과 유사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잘 구성된 비교-대조 에세이를 작성할 수 있게 됩니다.

  • 평가:

학생들은 한국영어와 미국영어를 비교-대조하는 300-400단어 분량의 에세이를 작성합니다. 에세이는 제공된 루브릭을 사용하여 평가되며, 구조, 내용의 정확성, 언어 사용, 비판적 사고, 지침 준수 등을 중점적으로 평가합니다.

주요 포인트:

  1. 발음, 어휘, 문법, 표현 등의 측면에서 한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차이점 탐구

  2. 두 영어 변형의 문화적 배경과 영향 이해

  3. 효과적인 비교-대조 에세이 구조 학습 (서론, 본론, 결론)

  4. 적절한 전환 구문 사용하여 아이디어 간의 흐름 개선

  5.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비교와 대조 강화

    도입:

    Konglish vs American English" 퀴즈로 시작: (퀴즐렛 이용) 학생들에게 몇 가지 문장이나 단어를 보여주고 한국영어인지 미국영어인지 구별하게 합니다.

    학생들의 경험 공유: 한국영어와 미국영어 사용 시 겪었던 재미있거나 혼란스러웠던 경험을 나누도록 합니다.

    비교-대조 글쓰기의 개념과 이 주제의 실생활 관련성 소개

새로운 내용 소개:

한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주요 차이점을 카테고리별로 제시:

  1. 발음 (예: 한국식 발음 vs 미국식 발음)

  2. 어휘 (예: 콘센트 vs outlet, 핸드폰 vs cell phone)

  3. 문법 (예: 직역된 표현 vs 자연스러운 영어 표현)

  4. 문화적 표현 (예: 존댓말의 영어 표현)

샘플 비교-대조 에세이를 보여주고 구조와 주요 구성 요소 강조

점별 비교법과 블록 비교법 등 비교-대조 에세이의 다양한 구조 소개

비교-대조 글쓰기에서 자주 사용되는 전환 구문 목록 제공

안내된 연습:

·        학급을 소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한국영어와 미국영어의 특정 측면 할당 (예: 인사말, 음식 관련 표현)

·        브레인스토밍 세션을 통해 유사점과 차이점 파악 지도

·        벤 다이어그램이나 T-차트를 사용하여 아이디어 정리 방법 시연

·        그룹별로 발견한 내용 공유, 적절한 전환 구문 사용 격려

·        피드백 제공 및 질문이나 오해 해결

개별 연습:

  • 학생들은 한국영어와 미국영어의 특정 측면을 선택하여 비교-대조 에세이 개요 작성:

    1. 명확한 주제문이 포함된 서론

    2. 최소 3개의 본론 단락, 각각 특정 비교 또는 대조점에 초점

    3. 주요 요점을 요약하고 최종 생각을 제시하는 결론

  • 교실을 순회하며 개별 지원 및 피드백 제공

마무리:

  • "3-2-1" 성찰 활동 진행:

    • 한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차이에 대해 배운 3가지

    • 에세이에서 사용할 2가지 전략

    • 아직 남아있는 1가지 질문

심화 활동:

일찍 끝낸 학생들은 에세이 초안 작성을 시작하거나 한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차이를 보여주는 인포그래픽 또는 마인드맵 생성

숙제:

수업에서 작성한 개요를 바탕으로 비교-대조 에세이의 첫 번째 초안을 완성합니다. 각 비교 카테고리에 대해 최소한 하나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예시를 포함하도록 장려합니다.

해당 표준:

  1. 학생들은 적절한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여 영어로 단락이나 에세이를 쓸 수 있습니다.

  2. 학생들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정보와 의견을 영어로 조직하고 발표할 수 있습니다.

2) Writable은 3학년부터 12학년까지의 학생들을 위해 글쓰기와 독서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1. 실시간 문법 및 철자 검사

  2. 문맥에 맞는 어휘 추천

  3. 문장 구조 개선 제안

  4. 글의 전반적인 구조와 흐름에 대한 피드백

  5. 다양한 글쓰기 템플릿 제공

  6. 교사용 대시보드를 통한 학생 진행 상황 모니터링

    글쓰기 과정

1.   사전 평가 (1일차):

"Dogs vs. Cats" 주제로 간단한 비교/대조 글쓰기 실시

Writable AI를 통해 초기 글쓰기 수준 분석

고등학교 과제가 포함된 웹사이트의 스크린샷

2. 비교/대조 에세이 구조 소개 및 Writable AI 활용법 교육 (2일차):

비교/대조 에세이의 기본 구조 설명

Writable AI의 비교/대조 템플릿 소개 및 사용법 교육

AI 페이지를 사용한 빌드 지식 스크린샷

  1. Guided Writing 과정 (3-5일차): 주제: "Vegetables vs. Fruits: A Comparison and Contrast"

    훌륭한 다이어트 야채와 과일을 보여주는 웹사이트의 스크린샷

  2.  브레인스토밍 (3일차 오전):

Writable AI 또는 CANVA 의 마인드맵 도구를 사용하여 채소와 과일의 특징 나열

AI 제공 어휘 뱅크에서 적절한 단어 선택 및 추가

 

  1. 개요 작성 (3일차 오후):

    템플릿을 활용해 비교/대조 에세이 개요 작성

    에세이 페이지를 만들자 스크린샷

    6. 초고 작성 (4일차):

    Writable AI의 실시간 피드백을 받으며 각 단락 작성

    특히 비교/대조 표현(similarly, in contrast, whereas 등) 사용에 중점

    녹색 배경이 있는 페이지의 스크린샷

    7. 수정 및 개선 (5일차 오전):

    AI의 어휘 및 문장 구조 개선 제안 검토

    전체적인 글의 일관성과 논리적 흐름 확인

    텍스트 상자가 있는 페이지의 스크린샷
  1. 동료 평가 (5일차 오후):

    Writable AI의 동료 평가 기능을 사용해 상호 피드백 제공

    교사가 제공한 평가 루브릭에 따라 평가 진행

    Word 문서의 문서를 보여주는 화면의 스크린샷

    9.최종 수정 및 제출 (6일차):

    AI, 동료, 교사의 피드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최종본 작성

    Writable AI를 통해 최종본 제출 및 자동 표절 검사 실시

    10. 평가 및 피드백 (7일차):

    Writable AI의 분석 결과와 교사의 평가를 종합한 개별 피드백 제공

    학급 전체 피드백 세션을 통해 우수 사례 공유 및 개선점 논의

    짧은 에세이를 보여주는 웹페이지의 스크린샷

· 3) Writable 계정을 통한 과제 제출 방법

·  Writable 계정에 로그인 후 과제 대시보드에서 과제를 클릭한다.

·  과제 제목과 지침을 확인한 후, '읽기 및 쓰기' 섹션을 클릭한다.

·  과제의 프롬프트를 읽고, 필요한 경우 왼쪽에 제공된 읽기 자료나 비디오를 참고한다. 그래서 메모를 남길 수 있다.

·  채점 기준을 이해하기 위해 루브릭을 꼭 검토한다. 그래서 작성 후 채점 기준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  텍스트 상자에 글을 작성하고, 과제의 각 섹션을 개별적으로 제출해야 한다.

·  작성한 내용에 대해 리뷰어들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문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결과 및 인사이트

주요 성과:

  1. 학생들의 영어 작문 평균 점수 20% 향상

  2. 글쓰기 과제 제출률 35% 증가

  3. 학생들의 영어 쓰기에 대한 자신감 40% 상승

  4. 교사의 첨삭 시간 50% 단축

  5. 비교/대조 구조 활용: 사전 평가 40%에서 최종 에세이 90%로 향상

  6. 비교/대조 표현 사용: 평균 3개에서 10개로 233% 증가

  7. 주제 관련 어휘 사용: 평균 8개에서 18개로 125% 증가

  8. 에세이 길이: 평균 180단어에서 300단어로 66% 증가

  9. 논리적 일관성: 교사 평가 기준 60%에서 85%로 향상

학생 사례:

  • 박지민 학생: 초기에는 채소와 과일의 특징을 단순히 나열했으나, 최종 에세이에서는 "While vegetables are often consumed in savory dishes, fruits are commonly enjoyed as sweet snacks or desserts."와 같은 대조 문장을 효과적으로 사용했습니다.

  • 김수연 학생: Writable AI의 어휘 제안 기능을 활용하여 'nutritious', 'perishable', 'seasonal' 등의 고급 어휘를 적절히 사용했습니다. 특히 "Both vegetables and fruits are perishable, but fruits generally have a shorter shelf life compared to many vegetables."와 같은 복합적인 비교 문장 구성 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

교사 피드백: 이미영 교사는 "Writable AI의 비교/대조 전용 템플릿이 학생들의 글 구조 이해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실시간 피드백 기능 덕분에 학생들이 비교/대조 표현을 더 자주, 그리고 정확하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Writable AI의 도움으로 학생들의 기본적인 문법 오류가 크게 줄어들어, 저는 내용의 논리성과 표현의 다양성에 더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학생들이 자신의 글을 스스로 개선해 나가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얻은 통찰:

  1. 구조화된 가이드의 중요성: 비교/대조 템플릿 제공이 학생들의 체계적인 글쓰기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2. 실시간 피드백의 효과: AI의 즉각적인 어휘 및 표현 제안이 학생들의 언어 사용 범위를 확장시켰습니다.

  3. 시각화 도구의 유용성: 브레인스토밍 단계에서의 마인드맵 활용이 아이디어 구조화에 효과적이었습니다.

미국식 영어 vs 영국식 영어 벤다이어그램
  1. 단계별 접근의 효과: 브레인스토밍부터 최종 수정까지의 단계별 과정이 복잡한 글쓰기 과제를 관리 가능한 부분으로 나누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2. 동료 평가의 학습 효과: 다른 학생의 글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글쓰기에 대한 통찰을 얻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3. ChatGPT의 도입으로 학생들이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식에 대해 교사들이 가지는 우려를 Turnitin과의 파트너십 덕분에 Writable 플랫폼 내에서 AI Checker 기능이 도입되어, 교사들이 학생들의 에세이를 점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는 ChatGPT를 이용한 작성물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AI 사용에 대한 올바른 교육을 통해 학생들과 효과적인 대화를 시작하는 방법을 제시하므로, 교육적 효용성이 높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AI 기반 쓰기 지원 도구가 중학생들의 비교/대조 에세이 작성 능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구조화된 가이드와 실시간 피드백의 조합이 학생들의 빠른 성장을 이끌어냈습니다. 향후에는 다른 유형의 에세이(예: 원인과 결과, 문제 해결)에도 이 방식을 적용해 볼 계획입니다.

 

8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