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비나 요약 템플릿 샘플
👋 개요
웨비나 제목: 5 keys to virtual connection https://www.youtube.com/watch?v=xjVFlgkha2Y
발표자 (소속/직책):
핵심 메시지 한 줄 요약: 가상 연결 virtual connection을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한 참여를 높이고 다양한 연결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상 환경에서의 온전한 소통과 유대감이 성공적인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데 필수적이다.
💡 주요 인사이트
1. 가상 연결의 중요성 및 설계 원칙
대면 행사에서는 우연한 순간에 연결되지만, 가상 행사에서는 의도적으로 연결을 디자인해야 한다.
참가자들은 콘텐츠만을 위해 모이지 않고, 연결, 문화, 커뮤니티를 위해 모임에 참여한다.
연결은 콘텐츠보다 우선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시간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2. 🌐 가상 소통을 위한 첫 번째 핵심: 참여와 연결 (1,2)
참여는 최우선 과제로, 관객의 주의를 유지하지 않으면 유익한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가상 환경에서는 다양한 산만함이 존재하여, 의도적으로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평균 성인의 주의 집중 시간은 8초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5분 단위로 나누고 참여 요소를 삽입해야 한다.
연결은 효과적인 참여 전략으로, 개인이 그룹을 위해 완전히 참여하도록 만든다.
행사 시작 시, 연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간단한 질문이나 아이스브레이커를 활용하여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가상 소통을 위한 세 번째 핵심: 자주 연결
초기 연결뿐만 아니라 빈번하게 연결해야 한다.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지만 자주 연결하여 전체 행 사 동안 연결의 실타래를 엮어야 한다.
이상적인 연결의 순간으로는 발표 후 내용에 대한 디브리프가 있다.
디브리프는 사람들이 방금 배운 의미 있는 내용을 공유하며 다른 사람과 연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휴식 후나 식사 후에 사람들을 다시 집중시키기 위해 연결을 통해 에너지를 재충전할 수 있다.
✅ 실천 포인트
🌐 연결 전략의 비교
넓고 얕은 접근은 빠르게 많은 새로운 연결을 생성하는 데 적합하며, 큰 그룹이나 낯선 사람들이 모인 상황에 이상적이다. 이 접근의 예로는 Commonalities 게임이 있으며, 참가자들이 두세 명의 소그룹으로 나뉘어 공통점을 찾아내는 활동이 포함된다.
반면, 좁고 깊은 접근은 소규모 그룹이 여러 번 만남으로써 더 깊은 연결을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는 이미 형성된 팀이나 긴 시간 동안 진행되는 프로그램에 적합하다. 좁고 깊은 접근 역시 Commonalities 게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공통점을 바탕으로 깊은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 포함된다.
인간관계 발전에 관한 연구에서 지속적이고 상호적인 개인적 자아 공개가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자아 공개는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하는 것으로, 사람들 간의 연결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개인과 직업적 맥락을 결합하여 질문을 함으로써 내성적인 그룹과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다.
🤔 논의하고 싶은 점
온라인 모임에서의 컨텐츠 vs. 연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virtual connection 온라인 모임 등에서 연결을 위한 디자인을 하고 계시나요?
커뮤니티에 취약성, 개인을 드러내고 연결될 수 있는 방법들을 마련해두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