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의 커뮤니티 활용법

웨비나 제목: Microsoft's Community | 마이크로소프트 커뮤니티
발표자: 데니스 폴렛, 레베카 호턴, 수지 길렛, 더그 켄달 | Dennis Pollett, Rebecca Houghton, Suzy Gillett, Doug Kendall

핵심 메시지 한 줄 요약
Microsoft 지원 커뮤니티는 고객 성공과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팀 협업, 자원봉사자 참여, 혁신적 실험, 그리고 사용자 중심 접근 방식을 활용해 성장과 포괄성을 이루어냈습니다.

회의에서 의자에 앉아 있는 한 무리의 사람들


웨비나 내용 요약

  1. Microsoft 지원 커뮤니티 개요

    • Office, Windows, Outlook, Xbox와 같은 Microsoft 제품에 대한 기술 지원 포럼.

    • 13년간 운영되었으며 연간 10억 페이지뷰를 기록.

    • 프리랜서, 자원봉사자, 유급 요원이 지원 제공.

  2. 고객 성공 지표 및 성과

    • 주요 지표: 게시자(OP) 성공률과 자가 해결 성공률(브라우저가 게시 없이 답변을 찾는 경우).

    • 최근 4~5년 동안 고객 성공률이 크게 증가했으며, 비용은 300% 절감.

  3. 개선 전략

    • 근본적인 문제 해결과 커뮤니티 목표를 비즈니스 니즈에 맞춤.

    •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 고객 성공, 사용자 경험 개선에 우선순위를 둠.

  4. 번역 및 포괄성 강화

    • 번역 도구를 통합하여 23개의 비영어권 언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고품질 콘텐츠 접근성을 확장.

  5. 자원봉사자 및 슈퍼 유저 프로그램

    • 약 200명의 자원봉사자가 매주 1,500시간을 커뮤니티에 기여.

    • 협업, 환원, 관계 형성 문화가 자원봉사자들의 참여를 지속적으로 이끄는 동력.

  6. 혁신적인 실천

    • 점진적인 실험과 소규모 개선에 중점.

    • 고객 니즈와 맞지 않는 불필요한 기능(예: 게이미피케이션)을 피함.

  7. 팀 문화와 역동성

    • 강력하고 협력적인 팀 문화가 커뮤니티 성공의 핵심.

    • 정기적인 회의와 명확한 책임 분배로 정렬과 진전을 보장.

  8. 도전 과제와 교훈

    • 초기에 품질 기준 문제를 겪었으나, 측정 가능한 개선과 확장 가능한 접근 방식을 통해 해결.

    • 사용자 중심 디자인으로의 사고 전환이 핵심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

  9. 성장과 영향력

  • 커뮤니티는 이제 24개 언어와 16개 기술을 지원하며, 연간 페이지뷰는 수십만에서 10억 이상으로 성장.

    💡 주요 인사이트

  1.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의 동기부여

    • 커뮤니티에 기여하는 자원봉사들의 동기부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했습니다.

    • 200명의 자원봉사자들은 대부분 기술전문가이자 플랫폼 전문가로서 커뮤니티와 사용자 경험에 대한 깊은 통찰을 갖고 있음

    • 다른 사람들(고객, 슈퍼유저)을 돕는데 주요 동기가 있으며, 효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

  2. 커뮤니티 운영목표

    • 고객 지원 커뮤니티 운영을 통해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

    • 평균 응답시간 단축 (14시간-->10분)

  3. 우선순위 정하기

    • 커뮤니티의 우선순위를 정할 때 작은 개선사항들이 쌓여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인지

    • 불필요한 대규모 기능 (게이미피케이션 등)보다 고객 성공 중심의 실험적 접근이 효과를 발휘함

    • 개선사항을 지속 반영하여 고객 경험을 향상

✅ 실천 포인트

1. 커뮤니티 존재의 목적과 목표 정하기

  • 많은 커뮤니티들이 본래 목적과 목표를 가지고 시작하지만 어느새 네트워킹과 친목으로 변질되고 이너써클이 형성되어 핵심 멤버들 외에 다른 사람들의 커뮤니티 유입이 끊기는 현상을 목격하곤 함

  • 커뮤니티의 존재 목적과 이루고자하는 공동 목표 설정을 통해 주기적인 환기가 필요함

2. 커뮤니티 참여 활성화를 위한 동기부여

  • MS는 자발적인 동기를 가지고 고객경험을 개선했다고 하지만,

  • 대부분의 커뮤니티는 본인의 니즈 내지는 이해관계가 없다면 서로 도우려는 마음가짐으로만 참여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듬

✨ 나의 커뮤니티에 맞는 팁

  • 커뮤니티에서 얻어갈 수 있는 것을 명확히 함

  • 반대로 커뮤니티에 기여해야하는 부분도 역시 명확히 해서 책임감을 갖고 참여할 수 있게 함

🤔 논의하고 싶은 점

  1. 커뮤니티 성격에 따라 어떤 목적과 목표를 가지고 커뮤니티에 참여하게 되는지? 혹은 본인이 참여했는지 궁금합니다.

  2. 커뮤니티 참여를 지속하게 하는 다양한 동기부여 포인트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3
6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