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기업을 위한 AI UX 디자인 가이드 GPTs 만들기: 브랜드 성향 분석부터 적용까지

소개

1인 기업가들은 정말 바쁘죠. 제품 개발, 마케팅, 콘텐츠 제작까지 모두 혼자 해결해야 하니까요. 그중에서도 ‘디자인’은 많은 분들이 고민하는 영역이에요. 유튜브 썸네일, 블로그 배너, 홈페이지 레이아웃 등… 모든 디자인을 일관되게 유지하기란 쉽지 않죠. 전문가에게 맡기자니 비용이 부담스럽고요.

그래서 저는 AI 디자인 전문가 GPTs를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핵심은 ‘그 기업만의 성향’을 분석해서, 맞춤형 디자인 가이드를 제안해주는 거예요. 브랜드 정보를 입력하면 MBTI와 에고그램을 기반으로 디자인 성향을 추출하고, 이에 맞춘 가이드를 자동 생성하는 구조로요. 완성형은 아니지만, 진행 중인 내용을 공유해봅니다 😊

진행 방법

🎯 목적

  • 1인 기업가를 위한 디자인 가이드 자동 생성 GPTs 만들기

🧠 사용한 도구

  • ChatGPT의 GPTs 생성 기능

  • 브랜드 디자인 툴 Lovable

⚙️ 작업 흐름

  1. GPTs 프롬프트 기획 및 등록

    • 기업 정보, 성격, 타깃, 키워드를 입력받아 MBTI/에고그램 분석 수행

    • 분석 결과에 기반해 ‘톤&매너’, ‘추천 컬러’, ‘폰트 스타일’ 등을 제안

  2. 브랜드 성향 분석 로직

    • LLM을 통해 MBTI, 에고그램 기반 해석

    • 타이칸님 사례에서 착안해 성향 비교 프롬프트 작성

  3. Lovable에 적용해 보기

    • 생성된 가이드를 기반으로 실제 홈페이지 템플릿 구성 변경 시도

  4. 적용 전후 비교

    • 가이드를 적용한 결과는 있었지만, 기대만큼의 변화는 느껴지지 않음

    • 프롬프트 정밀화와 디자인 요소 연결 고도화 필요성 확인

1인 기업가를 위한 디자인 가이드 서비스 만드는 프롬프트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

UX 디자인 가이드 지침도 포함해달라고 수정 요청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

GPTs에 등록

브랜드맵 정보를 입력하여 UX 디자인 가이드 생성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의 스크린 샷

Lovable에서 디자인 가이드 지침에 따라 이전에 만든 웹페이지 수정 요청

[변경전]


[변경후]

녹색 및 갈색 색 구성표를 가진 웹 사이트 디자인


결과와 배운 점

  • GPTs를 통해 가능성을 확인했어요. 성향 기반 디자인 추천이라는 새로운 방식이 꽤 설득력 있게 작동하더라고요.

  • 다만, 실제 디자인으로 반영하는 과정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멉니다. 프롬프트가 더 정제될 필요가 있고, Lovable과의 연동성도 더 다듬어야 해요.

  • 무엇보다 중요한 건, "완성된 사례가 아니더라도 공유하면 누군가에겐 도움이 된다"는 걸 느꼈어요.🙂

도움 받은 글 (옵션)

  • 타이칸님의 MBTI/에고그램 기반 GPT 비교 사례 (링크 가능 시 추가)


💬 이 사례가 누군가의 아이디어에 씨앗이 되길 바랍니다. 더 나은 개선 아이디어가 있다면 댓글로 꼭 알려주세요! 🙏

5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