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를 활용한 UX 분석 및 가상 인터뷰 적용기

소개

저는 비즈니스적으로 진행 중인 것은 공개하기 애매해서,
개인적으로 진행 중이던 chatPDF 리디자인 프로젝트를 가져와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주차에는 지난주 스터디장님이신 다이엔님께서 공유해주셨던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기존에 진행한 상황에 관한 분석을 진행하고, 개선점을 도출했습니다.

https://www.gpters.org/uiux/post/all-ux-design-jgnRbAItv6ozzAS

별로 중요한건 아닌데 chatPDF 서비스의 리디자인을 진행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익숙한 채팅형 AI 서비스의 UXUI에 관해 분석을 해보고 싶었습니다.

  2. 하지만 아예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내기엔 볼륨이 너무 커질 것을 우려했습니다. (1인으로 진행할 수 있는 사이즈가 필요했음)

  3. 그렇지만 단순한 개선에 그치는 것이 아닌, 인사이트를 발견하고 더 좋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었으면 했습니다.

이에 적합한 서비스들을 탐색하다 chatPDF의 PPT 제작 플로우 및 기능을 선정하게 됐습니다.

진행 방법

기존 프로젝트 진행하던 과정 및 AI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chatGPT 심층 리서치 / 퍼플렉시티: chatPDF 및 이와 같은 문서 기반 QnA 기능에 특화된 AI 서비스의 주요 사용자와 이용 목적 및 활용 상황 사례 조사 / 경쟁 서비스별 특징, 주요 기능, 핵심 플로우 정리 / 채팅 베이스 UI 분석

  • chatPDF와 답변으로 제시된 경쟁 서비스들 직접 사용해보며 핵심 기능 및 플로우 탐색

  • Gemini 2.5 pro: 앞서 진행한 내용을 바탕으로 채팅을 통해 리디자인 아이데이션 진행 및 구체화 → 문제점 정의, UX 컨셉 도출

    • UX 컨셉: 채팅을 통한 문서 이해부터 인사이트 재구성 혹은 PPT/보고서 생성 등 후속 작업까지 끊김없는 (Seamless) 작업 흐름 경험 제공)

  • chatGPT 심층 리서치 / 퍼플렉시티: 채팅 내용을 PPT, 보고서 등으로 확장하는 후속 작업에 관한 User flow 탐색

  • 개선 방안과 이에 따른 주요 핵심 기능 정의

  • chatGPT 이미지 그리기 기능 활용하여 그레이 스케일 와이어프레임 추출

1️⃣ ChatGPT 프로젝트 지침 재작성

해당 프로젝트는 비즈니스보다는 컨셉츄얼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였기에
이를 반영한 지침이 필요하다 판단했습니다.

다이엔님이 제공해주신 프롬프트와 제 상황에 관한 정보를 참고하라하며 프롬프트를 요청했으며,
결과 검토 후 Json 형식으로 전환했습니다.

< 프로젝트 지침 >

{
  "role": "2025년 기준 최신 인터페이스 트렌드와 사용자 경험 설계 방법론에 정통한 Product 전략형 UX 컨설턴트",
  "project_goal": [
    "단순한 비주얼 개선을 넘어, 사용자 가치와 비즈니스 성과를 연결하는 구조적 리디자인 수행",
    "이 프로젝트는 포트폴리오로 활용되며 설득력 있는 결과물을 목표로 함"
  ],
  "communication_style": {
    "language": "한국어",
    "tone": "직설적이며 돌려 말하지 않고, 같은 맥락은 문장을 이어서 설명",
    "evidence_required": true,
    "clarity": "모든 조언은 '디자인', '기획', '전략'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구분",
    "visualization": "복잡하거나 단계가 있는 설명은 표, 리스트, 플로우차트, 예시 등을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설명"
  },
  "guidelines": {
    "interaction_model": "Double Diamond (Discover → Define → Develop → Deliver)",
    "step_management": {
      "evaluate_current_stage": true,
      "propose_next_stage": true,
      "define_output_criteria": true
    },
    "response_rules": [
      "요청이 들어오면 그 요청의 목적과 맥락을 먼저 분석하고 해석 과정을 설명한 뒤 답변할 것",
      "모든 답변에는 반드시 이유 또는 참고 사례를 포함할 것",
      "답변 시 사용자가 놓치고 있는 점이나 사각지대를 선제적으로 지적할 것",
      "모든 조언은 개인 디자이너가 수행 가능한 수준에서 현실적 실행 가이드를 제공할 것",
      "질문을 받으면 Double Diamond 중 현재 단계가 어디인지 판단하고, 해당 단계의 결과물이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설명할 것"
    ]
  },
  "project_focus": [
    "채팅형 인터페이스의 UX 특성 고려",
    "UX Writing 개선",
    "정보 구조(IA) 정비",
    "대화 흐름 기반 사용자 리텐션 및 전환율 향상",
    "사용자 목표 달성 중심의 경험 설계"
  ],
  "constraints": {
    "no_edit_expected": true,
    "single_designer_context": true,
    "used_in_portfolio": true
  },
  "output_expectation": {
    "structured": true,
    "aligned_with_project_stage": true,
    "trendy_and_practical": true,
    "use_case_focused": true
  }
}

2️⃣ 더블 다이아몬드 단계를 바탕으로 기존 진행 사항 진단

'프로젝트 맥락 입력과 수행 지시' 단계인데, 기존 진행 사항의 재점검이 요청에 있어서인지 진단형식처럼 아웃풋이 나왔습니다.

< 입력 프롬프트 (다이엔님 프롬프트 양식) >

[맥락]

- 목표 : chatPDF라는 문서 기반 QnA 특화 채팅 AI 서비스의, 서비스 이용 플로우 확장을 위한 리디자인을 진행하고 있어. 이에 관해 조사 결과로 정리한 내용, 제시한 솔루션 아이디어 및 기획을 재점검하고 Hi-fi Design 시안까지 제작하고 싶어.

- 이유 : AI 서비스에 관해 관심이 많고, 다양한 AI 서비스의 UXUI를 분석하고 공부할 겸 포트폴리오 프로젝트로 진행하고자 했어.

- 현재 상황 : 

핵심 아이디어 및 기능 도출까지 완료한 상태야. 조사는 빠르게 테스트하기 위해 데스크 리서치 정도만 수행했어.(웹에서 유저 보이스 수집, 벤치마킹 서비스 특징 조사 등) 해당 프로젝트는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이 적었어. 일주일 안에 시각화까지 완료한다는 일정으로 진행했었기에, 공부를 하고 싶다는 이유와 별개로 많은 리소스를 투입하지 못했어.

첨부한 문서는 지금까지 진행한 내용을 정리한 파일이야.

---

첨부한 문서를 처음부터 끝까지 확인한 후, 내용을 정리해서 알려주세요.
그런 다음 본 프로젝트의 액션아이템을 UX디자인 프로세스에 입각해서 단계별로 제시하고 리딩해주세요.

첨부한 문서가 용량이 좀 있다보니 chatGPT에서는 계속 문서를 제대로 읽지 않는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멀티턴으로 전환하기도 하고 claude 프로젝트와 gemini로 옮겨가는 난리 부르스를 쳤는데요.

최종적으로 google ai studio에서 Gemini 2.5 pro 모델에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이유:

  • 1️⃣ 에서 작성한 지침을 가장 성실히 수행

  • 클로드 3.7Sonnet (심층 사고모드 x)도 문서를 잘 읽었으나, Gemini 2.5 pro가 답변에 있어 보다 구체적인 액션 플랜 제시함

  • 100만 토큰이라는 넉넉한 용량

< 결과 - 클로드 아티팩트로 재구성 >

한국어 텍스트가 포함 된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3️⃣ 데스크 리서치 재진행 및 분석

다이엔님의 프로세스를 따라 데스크 리서치를 진행하며, 앞선 조사에 관한 재점검 과정을 거쳤습니다.

노트북 LM

  • Reddit, 스레드, X 혹은 블로그 글 등 주관적 보이스와 사용 경험을 파악할 수 있는 소스 탐색 요청

  • 탐색 내용: chatPDF 서비스 / 경쟁 서비스 / 문서 기반 QnA 서비스의 채팅 인터렉션 이후의 후속 작업에 관한 내용

Gemini 딥리서치

  • 산업 트렌드 분석 요청

Gemini 딥리서치의 경우, 제가 생각한 부분에서의 시장 검증을 위해 제공한 프로젝트 정보 바탕으로
시장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프롬프트를 작성해달라고 먼저 명시했습니다.

넣어둔 정보가 많아서인지 지침 덕분인지 길고 구체적인 프롬프트가 나왔습니다.

한국 텍스트의 스크린 샷

내용을 읽어보며 디테일한 부분은 추가, 수정했습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분석 자료들이 나왔습니다.

  • 노트북 LM

    • ChatPDF의 기능 및 사용자 평가 분석

    • ChatPDF 기능 및 후속 작업 연계 분석

    • chatPDF 경쟁 서비스 비교 분석

  • Gemini

    • 37페이지 분량의 '문서 기반 QnA AI 서비스 리디자인' 문서

4️⃣ 타겟 세그먼트 도출 & 조사 설계를 위한 가설 페르소나 제작

이제 실제 사용자에 기반한 객관적 검증을 거쳐야하는데요.

평소라면 엑셀을 켜고, 조사 대상자 정보와 질문 내용 등 조사 설계 내용을 정리해나갔겠지만

이번에는 가설 페르소나를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사 설계를 진행하기로 합니다.

(보통 페르소나는 리서치 단계를 완료한 후 나오는 산출물)

앞 단계에서 나온 분석 데이터들을 참고해
chatPDF의 타겟 세그먼트를 구분하고 각 세그먼트별 페르소나 작성을 요청합니다.

< 입력 프롬프트 >

첨부한 파일과 [제공된 소스를 기반으로 한 ChatPDF의 기능 및 사용자 평가 분석],[ChatPDF 기능 및 후속 작업 연계 분석], [챗PDF 경쟁 서비스 비교 분석] 의 내용을 모두 확인하고 분석하세요. 
그런 다음 프로젝트의 적정 타겟 세그먼트를 구분하고 세그먼트별 페르소나를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세요.  각 과정에 관한 내용을 나에게 알려줘야합니다.

<결과 - 데스크 리서치 분석 내용 기반의 타겟 세그먼트>

한국 이력서 템플릿 한국 이력서 템플릿 한국 이력서 템플릿 한국 이력서 템플릿 한국 이력서 템플릿

아래는 1차로 나온 페르소나 결과입니다.

그것에 한국어가있는 문서

제가 생각하는 페르소나 기법의 장점 중 하나는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 나침반이 된다는 것입니다.
특히 의사결정이 힘든 순간에 더욱 빛을 발하죠.

이런 측면에서 공감할 수 없는 페르소나는 의미가 없다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저는 AI를 뚝딱하며 데스크 리서치를 진행했을 뿐 사용자를 충분히 만나지 못했습니다.
저렇게 너무 구체적인 묘사의 페르소나에는 충분한 공감을 하기 힘들기에 수정을 요청합니다.

데스크 리서치로만 진행하고 실제 사용자를 만나보고 도출한 데이터 없는 상태에서 이정도의 구체성은 오히려 페르소나의 신뢰성을 저하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 같아. 이를 감안해서 다시 퍼소나를 작성해줘.

< 결과 >

한국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이렇게 검증해야할 가설 기반의 페르소나를 만들어보았습니다.

5️⃣ 심층 인터뷰 준비: 인터뷰지 작성

실제 사용자 조사를 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개인 프로젝트다보니 많은 수의 사람을 모으는 것이 힘들 것 같습니다.

소수의 사용자를 직접 만나 깊이있는 조사를 할 수 있는 심층 인터뷰를 준비해보겠습니다.

< 입력 프롬프트 >

앞에서 주고받은 내용을 바탕으로 인터뷰 질문지를 작성해줘.

<요청 사항>
1. 질문만 작성하지 말고, 다음 항목과 함께 정리해줘.
- 해당 질문을 하는 이유
- 질문의 답변을 프로젝트의 어디에 활용할 것인지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
- 어떤 맥락에서의 경험을 물어보는 것인지에 관한 구분
- 메인 질문에 관한 답변 바탕의 서브 질문들 (사용자의 경험과 삶을 더욱 이해하기 위한 목적)

2. 타겟 세그먼트별로 따로 작성해줘.
3. 실제 인터뷰 진행하는 것처럼 문항별 시간 계획 수립
4. '이런 기능이 있다면 사용해보실 의향이 있으신가요?' 와 같은 질문 지양. 유사 사례를 질문하는 방향으로 우회.
5. 답변을 유도하지 않는 선에서 필요 시 적절한 예시 활용하여 질문
6. 인터뷰 대상자의 경험을 잘 끌어낼 수 있도록 질문 구성

<결과>

한국어 한국어 한국인 한국인 한국인

이제 해당 질문지를 바탕으로 사용자 조사를 진행해보려 합니다.

만, 여기서 끝낸다면 지난주 실습을 채울 수 없죠.

한국어 텍스트가 포함 된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퍼소나까지 만들었겠다, 가상 인터뷰를 진행해 문제 발견, 문제 정의 등등 마저 해보려합니다.

6️⃣ 가상 인터뷰 진행해보기

예전에 퍼소나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채팅할 수 있는 AI 툴을 봤던 것 같은데 기억이 안나네요.

마땅한걸 찾을 수 없어 system 지침을 입력한 대화창을 이용하겠습니다.

< 지침 템플릿 >

## 페르소나 역할 부여 및 배경 정보 제공

너는 지금부터 [페르소나 이름/대표 역할] 역할을 맡아줘. 너는 다음과 같은 특징과 상황에 놓여있어.

**1. 기본 정보 및 주요 상황:**
   - [페르소나의 기본 정보 및 주요 상황 요약 기술]

**2. 주요 과업 (네가 주로 해야 하는 일):**
   - [페르소나의 주요 과업 목록 기술]

**3. 현재 겪는 주요 문제점 (네가 요즘 힘든 점):**
   - [페르소나의 주요 문제점 목록 기술]

**4. AI 기반 문서 도구에 대한 기대 (네가 이런 도구에 바라는 점):**
   - [페르소나의 AI 도구에 대한 기대 목록 기술]

이제 이 역할에 몰입해서, 내가 하는 질문에 최대한 솔직하고 구체적으로 답변해줘. 네 경험과 생각을 바탕으로 이야기하면 돼.

<결과>

한국어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 샷

AI가 제공한 질문지를 수정하지 않고 바로 지금 단계로 넘어왔기에
질문이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렇게 채팅으로 주고받으며 질문을 보는게
엑셀에 있는 줄 글을 읽으며 편집하는 것보다 상황을 상상하기 쉬워 질문지 작성 및 수정 시간을 줄이는데 도움되는 것 같습니다.

7️⃣ 더블 다이아몬드 단계별 한 문장 정리하기

가상 인터뷰 내용과 (잘나왔든 아니든 일단) 지금까지 첨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더블 다이아몬드 단계별로 한 문장을 정리해달라고 합니다.

다이엔님의 프롬프트를 사용했습니다.

- Discover (발견) 단계 - Key Finding

PDF 문서 기반으로 후속 결과물(특히 PPT)을 제작하는 사용자들은 AI 도구의 다중 문서 처리, 결과물 신뢰성 및 편집 유연성, 시각 자료 활용 기능 부족으로 인해 효율적인 작업과 완성도 높은 결과물 제작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Define (정의) 단계 - 사용자 니즈 및 솔루션 방향

사용자는 여러 PDF 정보의 분산과 AI 생성 초안의 낮은 신뢰도 및 활용성 때문에 효율적으로 설득력 있는 PPT 발표 자료를 완성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래서 사용자가 다중 PDF 정보를 손쉽게 통합하고, AI와 협력하여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PPT 초안을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돕기로 정합니다.

- Develop (개발) 단계 - 핵심 UX 컨셉 및 솔루션 아이디어 (대표 문장)

사용자의 분산된 PDF 정보 처리와 비효율적인 PPT 제작 과정의 어려움에, AI 기반 다중 문서 통합 분석, 지능형 PPT 초안 자동 생성, 그리고 투명한 출처 기반의 협업 편집이라는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도록, 사용자가 AI와 파트너처럼 협력하여 신뢰도 높고 완성도 있는 프레젠테이션을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AI 문서 협업 스위트(가칭)"로 문제를 해결합니다.

- Deliver (전달) 단계 - 결과 검증 및 사용자 반응

구현한 AI 기반 다중 문서 통합 PPT 자동 생성 및 협업 편집 프로토타입을

페르소나에 부합하는 실제 사용자(학생 2명, 직장인 2명) 대상 심층 사용성 테스트 및 과제 수행 방식으로 검증했고 사용자들은 기존 방식 대비 평균 60% 이상의 PPT 제작 시간 단축 효과와 함께, 특히 AI가 제안하는 PPT 개요 및 내용의 논성과 출처 추적 기능의 신뢰성에 높은 만족감을 보였으며, 일부 시각 자료 자동 변환 기능의 정확도 개선 및 더욱 다양한 디자인 템플릿 제공에 대한 니즈를 보여주었습니다.

제가 처음 잡았던 문제점과 UX 컨셉보다 뭔가 약간 볼륨이 커진 느낌이 듭니다.

처음 잡았던게 너무 규모가 작고, 해당되는 범위가 좁았던건지 아닌지 고민을 좀 하게 만드네요.

실 사용자 조사를 진행한 후, 더블 다이아몬드 단계별 정의를 다시 내릴 때 한 번 더 수정하려합니다!

결과와 배운 점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보여주는 흑백 화면
  • 피그마 내장 AI를 활용해 만들어본 와이어프레임입니다. Figma MAKE를 기다려보겠습니다.

3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