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칸
타이칸
Admin
🧙 AI 위자드
⚔️ 베테랑 파트너
📚 학습반장
🚀 SNS 챌린지 달성자

AI 기반 스마트 개인브랜딩 전략

소개

원래 과제는 "AI 기반 스마트 취업 전략: 노트북LM 활용법"이었지만, 취업이 아닌 창업/브랜딩에 초점을 맞춰 과제를 재설계했습니다.

개인의 경험과 전문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개인 브랜딩 전략을 수립하고자 했습니다. 특히 ChatGPT의 메모리 기능과 NotebookLM을 활용해 개인의 전문성을 브랜딩 자료로 체계화하는 방법을 실험해보고 싶었습니다.

진행 방법

1단계: ChatGPT 메모리 기반 이력 정리

먼저 ChatGPT에 저장된 메모리를 활용해 제 이력과 포트폴리오를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사용한 프롬프트:

진중하게, 메모리를 이용해서 나의 이력을 정리해줘
어울리는 직무 추천 및 1인 기업으로 브랜딩을 목적으로

ChatGPT가 메모리를 바탕으로 개인의 경력과 경험을 종합하여 체계적인 이력서 형태로 정리해주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구글 독스 문서를 작성했습니다.

2단계: 과제 내용을 브랜딩 목적으로 재구성

기존 취업 중심의 과제를 개인 브랜딩 목적으로 변경했습니다.

한국어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변경된 과제 구조:

ℹ️ 개인 브랜딩을 위한 과제: 딥리서치와 NotebookLM을 이용한 퍼스널 브랜딩 프로필 제작하기

➊ 딥리서치로 개인 브랜딩 영역 찾기
내가 관심 있는 분야(예: AI, 자동화, 브랜딩, 교육 등)를 딥리서치로 조사하고 주요 트렌드와 핵심 키워드, 대표 인물 및 영향력 있는 브랜드를 분석합니다.

➋ 딥리서치로 퍼스널 브랜딩 사례 및 프로필 샘플 찾기
성공적인 개인 브랜딩 사례와 온라인 프로필 작성 가이드를 조사하고 분석합니다. (예: LinkedIn, 개인 홈페이지, About.me 등 참고)

➌ 찾은 정보(트렌드/사례)와 내 프로필 정보를 NotebookLM에 소스로 추가하기
리서치를 통해 얻은 개인 브랜딩 사례, 트렌드 분석 결과, 나의 전문성과 경험 데이터를 NotebookLM에 추가하여 개인화된 자료로 관리합니다.

➍ 최종 개인 브랜딩 포지셔닝 및 나만의 프로필 제작하기
최종적으로 나의 차별화된 브랜딩 포인트, 타겟 오디언스, 나만의 강점과 전문성을 반영한 개인 브랜딩 프로필을 작성하여 퍼스널 브랜딩 전략을 수립합니다.

3단계: 전문 프롬프트 개발

개발자F 프롬프트 생성기(https://chatgpt.com/g/g-67d291f92e408191abc01026f23fcc8f-gaebaljafyi-peurompeuteu-mandeulgi-v2)

를 활용해 딥리서치용 전문 프롬프트 2개를 개발했습니다.

첫 번째 프롬프트 - 트렌드·키워드·인물·브랜드 조사:

<Instructions>
당신의 관심 분야와 활동 영역과 관련하여 최근 트렌드, 주요 키워드, 비슷한 활동을 하는 인물 및 브랜드에 대한 심층 조사를 수행하세요. 조사 과정에서 다음 사항을 명확히 제시하세요:

1. 주요 키워드 탐색 및 분석 (예: AI 교육, 브랜딩, 자동화 등 사용자 관심 분야)
2. 비슷한 활동을 하는 인물과 브랜드 목록 및 각각의 포지셔닝 전략 분석
3. 인물 및 브랜드의 콘텐츠 주제, 형식, 사용 채널의 분석
4. 사용자와 타 인물 및 브랜드 간의 공통점과 차별점 명확히 분석하여 비교표 작성
5. 핵심 질문에 명확한 답변을 제시하며 최종 답변은 반드시 한국어로 제공하세요.
</Instructions>

<Persona>
트렌드 분석 및 브랜드 전략 전문가
</Persona>

<Role>
당신은 사용자의 활동 영역과 관심 분야에 최적화된 트렌드와 키워드를 발굴하고, 사용자의 포지셔닝 및 콘텐츠 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사한 인물과 브랜드의 전략을 분석하는 트렌드 분석 및 브랜드 전략 전문가입니다. 조사 내용은 객관적이고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전략 수립에 활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해야 합니다.
</Role>

<examples>
사용자 입력 예시:
"나는 주로 AI 교육과 브랜딩에 집중하고 있는데, 유사한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나 브랜드는 어떤 전략으로 포지셔닝하고 있는지 조사해줘."

GPT 응답 예시:
"AI 교육과 브랜딩 분야의 주요 키워드로는 '챗GPT 활용 교육', '퍼스널 브랜딩', '인공지능 리터러시' 등이 있습니다. 유사 활동 인물로는 'OOO', 브랜드로는 'XXX'가 있으며, 그들의 포지셔닝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OOO: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개인 브랜딩 및 유튜브 중심의 콘텐츠 전략
- XXX: 기업 고객을 타깃으로 한 프리미엄 AI 교육 콘텐츠 제공 및 뉴스레터를 통한 인바운드 마케팅 전략

공통점과 차별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구분 | 공통점 | 차별점 |
|------|--------|--------|
| 콘텐츠 형식 | 교육 영상 및 웨비나 중심 | 사용자는 블로그 중심, 비교 브랜드는 뉴스레터 중심 |
| 채널 활용 | 유튜브, 링크드인 적극 활용 | 사용자는 인스타그램 활용 낮음 |

핵심 질문 답변 예시:
- 나와 비슷한 활동을 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 OOO 등 AI 교육 및 브랜딩 전문가
- 그들의 브랜딩 전략은 무엇인가?
→ 전문성 강조, 지속적 교육 콘텐츠 발행
- 나는 이들과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
→ 교육 콘텐츠 제작이라는 공통점, 채널 전략에서 차이점 존재
</examples>

<Chain of Thought>
1. 사용자가 요청한 내용(트렌드, 키워드, 인물 및 브랜드 분석)의 목적을 이해합니다.
2. 역할 정의에서 트렌드 분석 및 브랜드 전략 전문가 역할을 선택합니다.
3. 사용자의 관심 분야와 활동 영역과 연결된 구체적인 지시사항을 명시합니다.
4.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입력 및 출력 예시를 제공합니다.
5. 응답의 단계별 진행 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조사와 분석이 구체적이고 명확하도록 구성합니다.
6. 최종 결과물이 한국어로 제공되어야 함을 명확히 안내합니다.
</Chain of Thought>

두 번째 프롬프트 - 브랜딩 사례 조사:

<Instructions>
성공적인 퍼스널 브랜딩을 위한 소개서, 자기소개 문서 및 포트폴리오 사례를 깊이 있게 조사하고 분석하여 사용자가 자신만의 문서를 제작할 수 있도록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주세요.

조사 과정에서 다음 내용을 명확하게 제공해야 합니다:
1. 퍼스널 브랜딩 문서(소개 슬라이드, 노션 페이지, 링크트리 등)의 구체적인 사례 수집 및 유형별 특징 비교
2. 각 사례의 톤앤매너(문체, 키워드, 표현법 등), 시각적 구성(색상, 레이아웃, 이미지 스타일 등) 분석
3.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플랫폼(슬라이드 도구, Notion, Linktree 등)의 특성 및 장단점 분석
4. 사용자가 참고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팁과 권장사항 명시

모든 조사와 분석의 최종 결과물은 반드시 한국어로 작성하세요.
</Instructions>

<Persona>
퍼스널 브랜딩 및 콘텐츠 제작 전문가
</Persona>

<Role>
당신은 사용자가 본인만의 효과적인 퍼스널 브랜딩 문서를 작성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다양한 퍼스널 브랜딩 사례를 분석하는 전문가입니다. 실제 사례를 통해 각 문서의 특성과 성공 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참고할 수 있도록 합니다.
</Role>

<examples>
사용자 입력 예시:
"프리랜서의 퍼스널 브랜딩 문서 사례로 어떤 것들이 있고, 각각의 톤앤매너와 시각적 특징, 플랫폼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해줘."

GPT 응답 예시:
"프리랜서 퍼스널 브랜딩 문서 사례는 주로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사례 유형 | 톤앤매너 특징 | 시각 구성 특징 | 사용 플랫폼 |
|----------|---------------|----------------|--------------|
| About Me 슬라이드 | 깔끔하고 전문적인 톤, 명확한 표현 | 간결한 레이아웃, 포인트 색상 강조 | Canva, Google Slides |
| Notion 소개 페이지 | 친근하고 개인적인 톤, 스토리텔링 중심 | 섹션 구분 명확, 감성적 이미지 활용 | Notion |
| 링크트리 (디지털 명함) | 간략하고 명확한 톤, 직관적 표현 | 간단한 버튼형 레이아웃, 최소한의 컬러 사용 | Linktree |

각 플랫폼의 장단점 분석:
- 슬라이드 도구: 높은 디자인 자유도, 시각적 전달에 유리하나 접근성 및 유지보수가 다소 어려움
- Notion: 접근성 높음, 수정 및 관리 용이, 개인적인 분위기 전달에 적합하나 디자인 제약 존재
- Linktree: 간편한 제작 및 관리, 모바일 최적화 우수하나 정보 제공의 깊이에 한계 있음

팁과 권장사항:
- 명확한 목적과 톤에 따라 최적의 플랫폼 선택
- 사용자 성격과 전문성이 드러나는 키워드와 시각 요소 활용
- 정보의 접근성과 유지 관리 용이성을 고려하여 플랫폼 결정"
</examples>

<Chain of Thought>
1. 사용자가 요청한 내용(퍼스널 브랜딩 문서 조사 및 분석)의 목적과 범위를 명확히 이해합니다.
2. 역할 정의에서 퍼스널 브랜딩 및 콘텐츠 제작 전문가 역할을 선택합니다.
3. 퍼스널 브랜딩 문서 사례의 유형과 특성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조사하여 제시합니다.
4. 톤앤매너와 시각적 구성 및 플랫폼 특성까지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가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5. 사용자가 실제 문서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팁과 권장사항을 명확히 제공합니다.
6. 최종 결과물이 반드시 한국어로 제공되어야 함을 명시합니다.
</Chain of Thought>

4단계: Gemini 딥리서치 및 문서화

개발한 프롬프트를 Gemini에서 실행하여 딥리서치를 진행했습니다.

생성된 구글 독스 문서:

한국어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페이지의 스크린 샷

5단계: NotebookLM 활용한 최종 브랜딩 자료 작성

앞서 생성한 모든 문서들을 NotebookLM에 소스로 업로드한 후, 트렌드와 브랜딩 사례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와 이력서/포트폴리오를 작성했습니다.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앱의 스크린 샷

결과와 배운 점

주요 성과

  1. 체계적인 개인 브랜딩 전략 수립: ChatGPT 메모리 → 딥리서치 → NotebookLM으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워크플로우 구축

  2. 일반 과제를 개인 상황에 맞게 재설계

  3. 다중 AI 도구 연계 활용: ChatGPT, Gemini, NotebookLM의 각 장점을 살린 효율적 활용법 터득

시행착오 경험

  1. 초기 메모리 검증 필요: 메모리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았던 부분이 있어, 확인하면서 오류를 정정해야했습니다.

  2. 도구 선택의 중요성: NotebookLM만 사용하려다가 각 도구의 특성을 살려 단계별로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깨달았습니다.

앞으로의 계획

  1. 생성한 브랜딩 자료를 바탕으로 개인 웹사이트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2. 주기적인 브랜딩 자료 업데이트 및 포트폴리오 보완을 위해 고민해봐야겟습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3
3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