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서비스 허브 개발기 2 (비즈니스 디벨롭)

소개

대 AI 시대. gpters에서는 각자의 노하우를 살린 AI 서비스와 workflow가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릴리즈가 어렵거나 LLM 비용문제로 개인용으로 사용되고 버려지는 것이 안타까웠습니다.

AI 서비스 개발자와 서비스 이용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습니다.

  1. 사용자: 아.. 나는 이 서비스를 3000원 어치만 사용하고 싶은데... 매월 결제해야하네..

  2. 개발자: 사용자가 무료로만 사용하면 우리 운영비용은 어떻게 감당하지?

기존 시장 구조는 무료 AI 서비스의 배포나 라이트 유저를 모두 배제하는 혹독한 상태입니다.
라이트 유저의 돈을 뜯어내서 헤비 유저와 무료 크레딧 유저의 이용을 대신 내주는 기이한 구조죠.

저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었습니다. 더 나아가 여러분들의 노하우가 담긴 서비스들을 공개하고, 이용하게 하고 싶었죠.

서비스 개발자

서비스 이용자

AI 서비스 운영 비용 비쌈

가볍고 단순한 기능의 서비스 요구

사용자 모집이 어려움

필요한 서비스를 찾기 어려움

수익화가 어려움 (충분한 유저 필요)

거대 모델이 아닌 단순 도구가 필요

무료 배포하고 싶어도 AI 사용 비용 문제가 있음

다양한 서비스에 별도로 결제 해야함

사용자 Key에 대한 보안 문제가 있음

여러가지 서비스에 대한 통합 계정 요구

서비스 요약

  • 브랜드/제품군: AI 서비스 중개/마켓플레이스 플랫폼

  • 타깃 고객:

    • AI 기반 SaaS 또는 툴을 개발한 스타트업/개인 개발자

    • 다양한 AI 서비스를 찾고 싶어 하는 일반 사용자 및 비즈니스 사용자

  • 주요 문제 & 해결 전략:

    • 서비스 제공자: AI API 사용료 부담 → 플랫폼에서 통합 결제 및 요금제 운영

    • 사용자: 원하는 가벼운 AI 서비스를 찾기 어려움 → 검색, 추천, 리뷰 기반의 탐색 구조

  • USP & 가치:

    • AI API 비용 공동 부담 및 최적화

    • 추천 기반 사용자 맞춤형 탐색 경험

    • 개발자 친화적 템플릿 및 수익 분배 시스템 제공

브랜드전략 설계

먼저 STP를 수행해보았어요. gpt-o1, STP Analysis Assistant, 여행가J의 STP, 브랜드전략 설계 도우미 GPT 등 다양한 툴을 사용해보았습니다.

1단계. 이상적 고객 정의 (Dream Customer)

🎯 핵심 타깃 2그룹 정의:

고객 그룹

페르소나

🧑‍💻 AI 서비스 제공자

개인 개발자 준호 (29세, 사이드 프로젝트 운영 중)

👩‍💼 AI 서비스 탐색자

마케팅팀 리더 수진 (33세, 업무 자동화를 고민 중)

💬 타깃이 자주 하는 말:

  • “GPT API 요금만으로도 감당이 안 되네...”

  • “이미 나와 있는 AI 서비스가 있을 텐데, 어디서 찾지?”

  • “서비스 등록해도 사람들이 못 찾아요...”

👉 이런 고객들을 위해, ‘검색+비용+수익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허브 역할이 필요합니다.

2단계. 문제 정의 + Hook & Story

👤 캐릭터 (고객 페르소나)

  • AI 서비스 제공자 준호 (29세, 개인 개발자):
    GPT 기반 사이드 프로젝트를 만들었지만, 트래픽 유입도 없고 API 요금이 부담된다. 운영은 하고 싶은데 수익은커녕 손해만 난다.

  • AI 사용자 수진 (33세, 마케팅 팀장):
    매일 새로운 AI 툴이 쏟아지는데, 직접 써보기 전까진 뭔지 알 수 없다. 업무에 바로 쓸 수 있는 툴만 큐레이션 해주는 곳이 있었으면 좋겠다.


🚫 고객 문제 정의

문제 유형

서비스 제공자 관점

사용자 관점

외부 문제

AI API 사용료 부담, 서비스 노출 부족

툴이 너무 많고, 검증되지 않은 서비스가 대부분

내부 문제

"좋은 걸 만들었는데, 아무도 안 써줘..."

"이건 쓸만한 툴인지 내가 왜 테스트해야 하지?"

철학적 문제

기술은 누구나 쉽게 만들고, 쉽게 써야 한다

검증된 AI 기술이 모두에게 열려 있어야 한다


🎣 브랜드 Hook 문구 (Epiphany 문장 예시)

  • “AI 서비스를 찾고 만들고 수익 내는 일, 하나의 플랫폼에서 끝내세요.”

  • “토큰 걱정 없는 AI 서비스 운영, 이제는 가능합니다.”

  • “수익도, 사용자도, AI API 요금도 – 우리가 대신 관리해드립니다.”

3단계. 브랜드 퍼스낼리티 + 가치 구성

🎯 브랜드 미션 (Mission)

AI를 더 쉽고, 저렴하게, 모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를 연결하여
비용 부담 없이, 신뢰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누구나 만들고,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브랜드 비전 (Vision)

“AI 기술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고,
운영과 수익이 자동화되는 생태계.”

✅ 개발자는 ‘기술’에 집중
✅ 사용자는 ‘필요한 AI’를 쉽게 찾음
✅ 플랫폼은 ‘운영·홍보·비용’을 자동화

4단계. 브랜드 스토리텔링 (StoryBrand 방식)

👤 캐릭터:

  • 준호 (29세, AI 개인 개발자)
    사이드 프로젝트로 만든 AI 서비스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지만, API 요금과 운영 부담이 크다. 어떻게 해야 하지?

  • 수진 (33세, 마케팅 실무자)
    매일 새로 나오는 AI 툴 중 어떤 걸 써야 할지 모르겠다. 실무에 바로 쓸 수 있는 검증된 툴이 필요하다.


🚫 문제:

  • 준호의 고민:
    “서비스는 만들었는데, 사람들은 못 찾고, 운영비는 계속 빠져나가고 있어요.”

  • 수진의 고민:
    “AI 툴이 너무 많은데, 제대로 된 걸 찾는 게 일이에요. 대부분 써보면 별로예요.”


🦸 가이드 (우리 브랜드):

우리는 AI 개발자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AI 서비스 허브입니다.
단순한 마켓플레이스가 아니라, 비용 관리부터 수익 정산까지,
운영을 대신해주는 토털 플랫폼입니다.


📝 계획:

  1. 서비스 등록: 누구나 쉽게 템플릿으로 서비스 등록

  2. 추천/탐색: 사용자 맞춤형 추천 알고리즘 적용

  3. 비용 절감: 플랫폼 공동 요금제 & 토큰 자동 정산

  4. 수익화: 결제 발생 시 자동 분배 시스템

  5. 후기와 인증: 품질 높은 서비스만 살아남는 생태계 구축


🎯 행동 요청:

지금 당신의 AI 서비스를 등록하세요.
우리는 홍보도, API 요금도, 수익 정산도 대신해드립니다.


🚀 성공:

  • 준호는 운영 걱정 없이 개발에만 집중

  • 수진은 검증된 AI 서비스를 쉽게 찾아 사용

  • 플랫폼은 개발자와 사용자의 가치를 동시에 연결


❌ 실패 회피:

  • 준호: “더 이상 요금 때문에 서비스를 닫지 않아도 됩니다.”

  • 수진: “시간 낭비 없이, 업무에 딱 맞는 툴만 골라 쓸 수 있어요.”

시장 진입

시장 진입을 위해선, 충분히 많은 서비스가 등록되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고퀄리티 AI 서비스가 쏟아지는 가운데, 개발자의 고유 경험과 특성에 집중해서 개발자 니즈를 충족시켜주고 싶었습니다.
초창기 iOS, 안드로이드 앱 시장처럼 가볍지만 쓸만한 앱을 배포하고 경험하고 MVP 해볼 수 있는 AI 서비스 시장을요.

이름: 다니엘 (Daniel)

  • 나이: 22세

  • 직업: 대학생 (컴퓨터공학과)

  • 위치: 대구

  • 핵심 니즈:

    • 나만의 AI 아이디어를 빠르게 구현하고 배포하고 싶다

    •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실전 경험 쌓고 싶다

    • 수익화까지 이어지면 베스트

  • 페인 포인트:

    • 배포/결제 시스템 구축 부담

    • 홍보 채널 없음

    • 수익화 방법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 부족

그에게 어떤 메시지를 주면 우리 플랫폼을 사용할까? 다니엘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세상에 공개하고 싶은 욕구가 많은 사람이라고 생각했어요. 실용성보단 감정 공감형이 어울렸습니다.

“당신의 아이디어, 세상에 보여줄 시간입니다. 누군가가 당신의 AI를 필요로 하고 있어요.”

  • 다니엘의 핵심 니즈: 아이디어를 세상에 보여주고 싶다, 수익화하고 싶다

  • 플랫폼의 차별점: 개발자 친화적, 통합 솔루션, 성장 기회 제공

  • 감정적 메시지 연결: “세상과 연결”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정체성과 가치를 전달

🌟 Value Promise

“당신의 AI 아이디어를 세상과 연결해드립니다. 개발부터 배포, 수익화까지 – 단 하나의 플랫폼에서.”

해결 방안

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사용자는 하나의 계정으로 합리적인 가격으로 AI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개발자에게 부담되는 LLM 비용을 줄여 배포 부담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기존 서비스들은 사용자를 모으기 위해 무료 크레딧을 제공하고, 유료 전환하는 시스템을 갖습니다. 하지만 이는 2가지 문제를 야기합니다.

  1. 사용자: 무료 크레딧으로는 충분하지 않음. 하지만 매월 구독제를 쓰기에는 비쌈

  2. 개발자: 사용자가 무료 크레딧만 사용하면, 수익 없이 운영 비용이 나감

그래서 다음과 같은 구조로 만들고자 합니다.

기존 방식:

사람과 건물의 다이어그램

플랫폼 방식:

두 사람 간의 정보 흐름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구조를 재편성하여, 사용자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사용량만큼 지불하고, 개발자는 서비스 비용을 손쉽게 관리하면서도 운영비용을 낮출 수 있게 하고자 했습니다.

홍보

광고쟁이 J를 통해 위 내용을 기반으로 홍보 카피를 만들어봤어요!

1. “AI 툴판 쿠팡이 왔다.”

모든 AI, 한 플랫폼에. 한눈에 비교, 한 번에 사용, 한 번에 결제.
구독도, 크레딧도, 리뷰도 여기에 다 있어.


2. “개발자여, 코드만 짜라. 홍보는 우리가 한다.”

노출은 걱정 마. 토큰값도 걱정 마.
넌 만든 것만 올려, 나머진 플랫폼이 처리해줄게.


3. “무료로 쓰는 AI, 나만 몰랐어?”

챗봇, 요약기, 슬라이드 자동 생성기까지.
크레딧 받고 써보자. 괜찮으면 결제하면 그만이지 뭐.


4. “AI 만든 자여, 이곳에서 유저를 만나라.”

MVP? 리뷰? 수익화?
모두 이 플랫폼 안에서 시작된다.


5. “AI 좋아하는 너, 이건 거의 넷플릭스임.”

추천 알고리즘으로 오늘의 최애 AI툴 추천받기.
뭐 쓸지 고민할 시간에, 하나라도 더 돌려봐.

한국 전자 학습 한국 전자 학습 한국 전자 학습 한국 e

랜딩페이지

러버블로 뚝딱 만들려고 해봤지만 아이디어가 잘 적용되지 않아 패스하겠습니다. ㅎㅎㅎ

브랜드맵

유훈님의 지난주 게시글을 참고하여 브랜드맵을 수행해보았습니다.
프롬프트가 너무 좋았으나 아이템 디벨롭이 완벽하지 않아 기대와 다른 답변이 있어,
일부 도움되었던 답변을 정리해보았습니다.

2. 나는 왜 이걸 하고 싶은가?

AI 시대의 혁신이 개발자의 운영 부담이나 사용자의 접근 장벽 때문에 사장되는 현실이 안타까웠다.
좋은 기술이 제대로 발견되고 쓰일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싶다.

4. 내가 가장 즐기고 잘하는 일은 무엇이며, 그 경험이 지금의 아이디어와 어떤 연결점이 있는가?

  • 사이드 프로젝트 개발 경험

  • 커뮤니티 기반 툴 공유/사용

  • API 서비스 운영 경험 → 실제 “비용 부담”과 “서비스 노출”의 문제를 겪어봄

8. 그들은 어디에 있는가?

  • GitHub, Reddit, Notion 커뮤니티, Product Hunt, X, Discord, 커뮤니티 슬랙, 브런치 등

9. 고객의 문제 또는 불편함은 무엇인가?

  • 개발자: API 요금 부담, 홍보 및 수익화 어려움

  • 사용자: 검증된 AI 서비스 탐색 어려움, 가격 부담, 신뢰 부족

11.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방법은?

  • AI 서비스 등록/탐색 플랫폼 제공

  • 사용자: 무료 체험 크레딧 → 이용량 기반 결제

  • 개발자: API 비용 대납/분담 시스템 + 자동 정산

  • 추천/리뷰 기반 툴 큐레이션 시스템

13. 유사 아이디어는?

  • Product Hunt, Gumroad, HuggingFace Spaces

14. 경쟁 제품은?

  • AI tool directory 서비스들 (Futurepedia, There's an AI for That 등)

  • 일부 GPT 플러그인 마켓

15. 내 제품의 차별점은?

  • API 사용량 기반 비용 분담 → 진입장벽 최소화

  • 검색/추천/리뷰 기능 중심의 탐색 경험

  • 수익 정산까지 자동화된 AI 서비스 전용 플랫폼

16. 피드백 기반 MVP / Pivot 마인드?

✅ MVP 개발 중 (기능: 서비스 등록, 이용량 기반 요금, 무료 체험) ✅ 사용자의 반응을 기반으로 기능, 가격, 수익 구조 계속 조정 예정

21. 우리는 기능이 아닌 ‘의미와 가치’를 판다

  • “기술은 누구나 쉽게 만들고, 쉽게 써야 한다”

  • 우리는 기술의 민주화를 실현하는 플랫폼이다

22. 우리의 Why는?

"AI 기술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고,
운영과 수익이 자동화되는 생태계"

23. STP 분석

  • Segmentation: AI 개발자, 실무자, 툴 탐색자

  • Targeting: 초기엔 개인 개발자 & 업무 자동화 실무자

  • Positioning: “가장 쉽고 저렴하게 AI 서비스를 찾고, 만들고, 운영하는 플랫폼”

24. JTBD 분석 (Jobs To Be Done)

  • “나는 내 AI 서비스를 다른 사람도 쉽게 써보게 하고 싶다”

  • “나는 업무에 쓸만한 툴을 빠르게 찾아 바로 써보고 싶다”

25. RTB 분석 (Reason To Believe)

  • 유료 API 기반 무료 체험 시스템

  • 자동 수익 정산, 리뷰 큐레이션

  • 커뮤니티 기반 입소문 전략

26. 잠재시장 vs 내 시장

  • AI SaaS 및 툴 시장 전체 (수십조 규모)

  • 초기 진입 시장: 한국어 기반 AI 툴/개발자 + 글로벌 커뮤니티 사용층

27. 입문 상품 & 가격

  • 입문 상품: 무료 체험 크레딧 제공 AI 서비스

  • 가격: 무료, 혹은 소량 토큰 지불

28. 메인 상품 & 가격

  • 메인 상품: 사용량 기반 유료 서비스

  • 가격: 서비스별 API 소비량 기반

29. 프리미엄/앵커 상품

  • 프리미엄 상품: 구독 기반 고급 워크플로우 패키지, 추천 AI 툴 번들

30. LTV 전략

  • 사용 내역 기반 추천, 워크플로우 기반 재방문 설계

  • 사용자 레벨에 따른 혜택 증가 (리뷰어 보상 등)

31. 업셀링 / 크로스셀링 전략

  • 유료 번들 추천

  • “이 툴을 함께 쓰면 더 좋아요” 연계 추천

32. CAC 전략

  • 초기 무료 서비스 기반 유입

  • SNS/유튜브 인플루언서 협업 리뷰 콘텐츠

  • 커뮤니티 기반 바이럴, 입소문 프로그램 운영

도움 받은 글 (옵션)

유훈님의 브랜드맵 만들기!

https://www.gpters.org/wealth/post/developing-your-own-branding-pilZuyQjITmtZtT

GPTs

https://chatgpt.com/g/g-haZHG2nJt-yeohaenggajyi-stp

https://chatgpt.com/g/g-67ee0c3658a88191a4938565bf73b41a-beuraendeujeonryag-seolgye-doumi-gpt-peoneol-giban

https://chatgpt.com/g/g-hOIWgZF5R-stp-analysis-assistant

https://chatgpt.com/g/g-SNbrd3dav-gwanggojaengij

2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