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누리
🏅 AI 마스터
🏡 내집마련 찐친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분석

안녕하세요~ 10기 차민석 입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실의 엑셀자료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 수성구지역에서 거래된

2024년 1월 부터 3월까지의 아파트 단지별 실거래가액을

ChatGpt에게 업로드 후,

부동산 투자 또는 내집마련을 위한

좋은 인사이트를 도출해달라고 하였습니다.

저가 ChatGpt와 대화한 목록을 첨부해보겠습니다.

1월 부터 3월까지 거래 가격이 조금씩 하향된 자료를 보고서는,

조금은 수긍은 갔지만 금액 단위가 너무 적다는 느낌은 의문이 좀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계속 하라는 프롬프트를 주었습니다.

답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끊김 현상 이후 F5를 눌러서 새로 시작하니까

앞번 1번은 건너뛰고 2번을 분석하겠다고 답변이 왔습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전용 면적대별 평균거래가격 분석을 진행해 보겠다는 것입니다.

Python을 이용하여 코딩을 열심히 하더니,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와 인사이트를 받았습니다.

방대한 엑셀 자료를 단숨에 읽고는

이런 글을 작성해 준다는것이 대단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아래와 같이 조언도 해 주더라구요!

//이 분석을 바탕으로, 부동산 투자자나 내집마련을 고려하는 분들은 자신의 예산, 생활 방식, 장기적 가치 상승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면적대의 아파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급 주거지역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 140㎡ 이상의 큰 면적대를 고려하는 것이 좋으며, 예산에 제한이 있는 경우 또는 소형 아파트를 선호하는 경우, 60㎡ 이하의 아파트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진실성 여부는 일단 뒤로하고~

3번과 4번에 대하여 분석해 달라고 요청하였습니다.


3.건축년도에 따른 평균 거래가격 분석:

4.가장 인기 있는 아파트 단지 분석:

1983년도 숫자가 굉장히 이상하네요. 영문은 모르지만 그냥 넘어갑니다.

3. 건축년도별 (하위 10개년도 기준) 평균 거래가격을 분석한 이것도 알려달라고 했습니다.

챗GPT의 추가적인 답변입니다.

//2017년의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 거래가격은 해당 연도에 건축된 아파트 수가 적거나, 특정 저가 단지의 영향일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데이터를 더 자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정보는 최신 건축 아파트의 가치 추이를 이해하고, 향후 부동산 시장의 동향을 예측하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2014년 이후 건축된 아파트 중에서, 단지명, 전용면적별로 구분해서, 평균 거래금액과, m2당 금액을, 표를 작성해서 보여달라고 했습니다.

일부만 보여주고 퉁 칠려고 하네요.

그래서 2014년 이후 건축된 아파트 모두를 분석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74개의 고유 조합이 너무 길었는지 또 퉁 치고 넘어 갈려는듯합니다.

2014년 이후 건축된 아파트 중에서, 전용면적 84m2의 평균 거래금액과, m2당 거래금액을, 표를 작성해서 보여줘요.- (조건 범위를 많이 축소 시켯습니다.)

//분석 결과, 2014년 이후 건축된 아파트 중에서 전용면적이 정확히 84m²에 해당하는 아파트에 대한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사용한 전용면적 범위(83.5m²에서 84.5m² 사이)가 너무 좁거나,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아파트 거래가 없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전용면적 범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거나, 전용면적의 범위를 넓혀서 다시 분석해볼 수 있습니다. 혹은, 전용면적을 정확히 84m²로 한정하지 않고, 비슷한 크기의 아파트 거래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원하시면 알려주세요.//

이건 내 잘못. 전용면적 84m2 ~ 85m2까지는, 32/33평형으로서, 같은 타입으로 같은 열에서 분석해줘.

//이 분석은 2014년 이후 건축된 아파트 중에서 특정 전용면적 범위(84m² ~ 85m²)에 해당하는 아파트 단지들의 평균 거래 가격과 m²당 평균 거래 가격을 보여줍니다. 단지명별로 보면, "힐스테이트범어"가 평균 거래금액과 m²당 평균금액 모두에서 가장 높은 값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만촌신동아파밀리에"는 비교적 낮은 평균 거래금액과 m²당 평균금액을 보였습니다.

이 정보는 동일한 면적대의 아파트라도 단지의 위치, 편의 시설, 브랜드 가치 등에 따라 가격이 크게 차이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부동산 구매 결정 시 이러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 표를 건축연도 순으로 나열하고, 건축연도, 동명, 단지명, 전용면적(m2), 평균 거래금액(만원), 평균금액/m², 이렇게 표를 작성해줘.

//이 표는 2014년 이후에 건축된 아파트 중 전용면적이 84m²에서 85m² 사이인 아파트들을 건축연도 순으로 나열하고 있으며, 각 아파트 단지별로 평균 거래금액과 m²당 평균 거래금액을 제공합니다. 건축연도가 최신일수록, 일반적으로 평균 거래금액과 m²당 평균 거래금액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위치와 단지의 특성에 따라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위 도표를 시각화한 그래프로 그려줘.

나눔손글씨 파일을이용하여, 위 도표 제목 및 범례에 한글체가 나타나 보이도록 도표를 작성해줘.

프롬트 명령을 답변이 온것을 활용하여, 조금 변형시켜서 주었습니다.

[[[2014년 이후 건축된 아파트 중에서 전용면적이 84m²에서 85m²에 해당하는 아파트의 건축연도, 단지명, 전용면적, 평균 거래금액, 그리고 m²당 평균 거래금액을 나열한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일부 예시): 건축년도 단지명 전용면적(m²) 평균 거래금액(만원) 평균금액/m²(만원/m²) 2015 e편한세상범어 84.77 65,460 772 2015 수성롯데캐슬THEFIRST 84.98 71,587 842 2016 만촌3차화성파크드림 84.99 86,800 1,021 2018 힐스테이트황금동 84.59 72,950 862 2019 범어센트럴푸르지오 84.99 90,566 1,065 2020 힐스테이트범어 84.92 138,500 1,631 2021 범어에일린의뜰 84.96 90,066 1,060 2022 힐스테이트황금엘포레 84.97 71,080 837 2023 수성범어W 84.99 119,000 1,400 이 표는 2014년 이후에 건축된 아파트 중 전용면적이 84m²에서 85m² 사이인 아파트들을 건축연도 순으로 나열하고 있으며, 각 아파트 단지별로 평균 거래금액과 m²당 평균 거래금액을 제공합니다. 건축연도가 최신일수록, 일반적으로 평균 거래금액과 m²당 평균 거래금액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위치와 단지의 특성에 따라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당신이 답변해준 이 자료만을 이용하여 시각화된 그래프를 그려줘. 단, 단지명별로, 전용면적은 여러개라도 대표 전용면적 한개만 적고, 평균거래금액, m²당평균금액(만원/m²)은 모두를 합산하여 계산해줘. 제목명과 범례는 나눔손글씨 파일을 이용해서 한글로 작성해줘. 단, 평균거래금액 4억 이하는 제외하고 작성해줘요.

이렇게 중간에 여러번의 수정이 있었습니다.

각 아파트 단지별로, m²당 평균 거래금액을 이용하여, 꺽은선 그래프와 막대그래프를 각각 따로 그려줘.

반드시 제목과 라벨은 한글 나눔손글씨 참조해서 명기해줄것.

무슨 엉뚱한 소리만 합니다.

그래서 더 이상 인사이트를 얻을수 있는 방법이 없었습니다.

아파트 단지별 평균단가_m2당.xlsx

엑셀의 그래프 기능을 이용하여,

아파트 단지별 평균금액을

오름차순으로 정리한후 막대그래프로 시각화 해 보았습니다.

저가 처음 부터 국토교통부 엑셀자료를 받아서, 저 나름대로 가공하면서 작업한 엑셀 파일들을 첨부해서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아파트(매매)_실거래가_20240410204407.xlsx아파트(매매)_실거래가_1.xlsx아파트 단지별 평균단가_m2당.xlsx

#10기_AI로 내집마련

9
6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