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식하면 용감하다고 했던가요,
뭣도 모르고 지피터스 부트캠프 들어와, 아무것도 모르는데 우당탕탕 생애 첫 챗봇 하나 만들어보고,
용감하게 두번째 챗봇을 만들려다가 시작도 못하고 삽질만,,,
오늘은 사례 발표라기 보다는 제가 그동한 했던 삽질을,, 보여드릴게요, 진짜 아는거 1도 없는 평범한 아줌마, 왕왕초보자의 무식을 여실히 보여드릴게요.
(이 싯점에 나는 지피터스에 계속 있어도 되나를 심각히 고민. 그러나, 일단 알때까지 부트캠프 계속 참가하는거로 스스로 달래줌, ㅋㅋ 꽃피는 봄에하는 부트캠프 오프모임에는 꼭 참가하게 해주겠다고 스스로를 꼬심)
생애 첫 챗봇 개발, 그러나 들쑥날쑥 답변들 해결이 먼저,
안정화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들
사용자 언어에 따라 답을 했다가 말았다가
제시 카테고리 중 None of the above 나왔다가 안 나왔다가
최종 답변에 Title Code 나왔다가 안 나왔다가
마구마구 삽질을 하던중, 다들 사용하시는 바드에서 혹시나하고 테스트해봄,기가막힌 속도와 제가 바라는 딱 그대로의 깔끔한 답변을 줘서, 더이상 저의 생애 첫 챗봇은 무용지물이 되어버렸어요.
그리하야 깨끗이 첫챗봇을 포기하고, 두번째 챗봇 도저~~~언..
향후 개발의 핵심 과제 : “Facility Report 를 분석하라”
o Facility Report란?
모든 시니어하우징(RCFE)은 사회보장국( CDSS)의 규정에 따라 운영되어야 하며, 사회보장국은 규정에 따라, 시설이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 관리, 감독하여, 매번 사후 리포트를 매번 웹사이트에 올림. 이 리포트만 있으면, 해당 하우징에 무슨 문제가 있었고,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알 수 있음.
그래서, 이 Report를 각각의 시니어 하우징 운영자가 키워드로 질문하고, 기존 리포트에서 어떻게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참고하여, 실제로 지적을 받았을때 선례를 참고하여 해결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두번째 챗봇의 역할
현재 CA 에만 3만 여개 RCFE가 운영되고 있으며, facility 당 1년에 2-3 건의 report 가 공유된다고 하면, Facility 운영의 참고가 되는 Report만 십 수만 건.
그래서, 이 Report를 학습시키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본격 사업화 추진 가능.
또한 주요 지적 사항 빈도 매해 분석 ⇒ 시니어하우징의 관리감독 흐름 파악, 중점 관리 항목
2단계로 각각의 지적사항에 따른 처리 사례 분석 ⇒ 문제 발생시 솔루션 제안 가능(컨설팅)
그러나, Report를 찾아서 열어보려면,
클릭, 클릭, 크릭, 또 클릭,,,,,,
질문1, 과연 이걸, GPT 챗봇이 대신해줄 수 있을까?
질문 2, 또 생각한 것은, REPORT POOL 을 공략할 수 있을까?
CDSS 에서 public 하게 열람되는 공개된자료인 이 Report가 담겨있는 서버에 모든 Report Pool 이 있지 않을까?그 POOL 에서 REPORT를 모두 끌고오는 방법은 없을까?
어쨌든, 또 맨땅에 해딩, 이른아침에님께서 알려주신 Webpilot 플러그인 설치시도,
여기서부터 또 막힘, 알수 없는 이유로 플러그인 설치 안되기를 2,3일,,,오매
누리님의 도움으로 Webpilot 설치 성공,
그 다음 문제,,,webpilot에서 학습된 내용을 내 GPTs로 가져오는 방법을 모름 ㅎㅎㅎ 대략난감.
GPT에게 데이타전처리 질문
무슨말인지 도통 모르겠어서, 데이타전처리 초보자에게 설명하듯 다시 질문
설명에 따라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함수 넣어 데이타 전처리 시도.
이게 머선일,,,오마이
그 다음에? 우짜나요? 아예 모르겠음요, 파이썬 배워야 하나요???
#9기 스타트업 실험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