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터디 4기 윤철중입니다.
저는 동생과 '디에스타의원 피부과'를 하고 있습니다. '디에스타'라는 말이 사람들에게 쉽게 인식되지 않아, 브랜딩 사업을 생각하고 있어 그 아이디어와 컨셉을 잡기 위해 GPT를 사용해 봤습니다.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이 플러그인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보았습니다. 아무래도 플러그인 하는 것이 좀더 전문적이고 명확한 답을 받은 것 같습니다만 좀 더 세밀하게 사용해 봐야할 것 같습니다.
GPT 모델은 GPT4입니다. 프러그인 모델은 3가지를 적용할 수 있고, 적용한 모플러그인은 'chatWithPDF', 'WebPilot', 'Link reader'입니다.
--------------------------------------------------
- 먼저 브랜드 의미를 설명했습니다.
플러그인 유무에 대한 특별한 차이는 없었고, 플러그인 모델은 '3. 온라인 교육 플랫폼'이 추가 되었습니다.
2. 커뮤니티 홈페이지의 이익여부를 물어봤습니다.
플러그인 유무에 대한 특별한 차이는 없었고,
플러그인 모델은 역시 '4. 온라인 교육 코스' 가 추가 되었습니다.
3. 예산에 대해서 답은 차이가 있었으나 둘 다 만족스러운 답이 아니었습니다.
4. 다시 좀 더 자세하게 예산을 물어봤습니다.
'4. 보안' 이 플러그인적용에서 추가되었습니다.
5. DAO와 NFT 형태의 커뮤니티를 물어봤습니다.
웹파일럿 플러그인 때문인지 좀 더 자세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6. 브랜드 명을 추천해 달라고 해봤습니다. 비슷하게 나왔으나 플러그인 모델은 좀더 원어에 집중한듯 보입니다.
7. 비슷한 컨셉의 커뮤니티를 물어봤습니다.
별차이를 느낄 수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