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기
박정기
🗡️ AI 레전드
🎖️ 마스터 파트너
🚀 SNS 챌린지 달성자

2시간만에 AI로 40만 원 벌었습니다! – 스마트 워크톤 수상 비하인드 스토리 대공개 🚀 (wt. @곽은철)

최종 결과물

AI Guardian 티저 영상 시청하기⬇️⬇️⬇️

안전을 생각하는 AI Gardian의 로고

"The Safety AI Guardian"

https://youtube.com/shorts/umo6De3cMhQ

소개

  • 2024 G밸리 스마트 워크톤에서 AI엔지니어 둘이서

  • "AI 헬멧 신제품 브랜딩 사업계획서"를 작성해 장려상과 함께 40만 원의 상금을 받았습니다! 🎉

    • 같이 열심히 했던 개발자F 님 진심으로 감사하고, 많이 배웠습니다.

      숫자 40이 적힌 표지판을 들고 있는 두 남자
  • 저희 팀 ‘AI Guardian’은 AI 기술을 활용해 기존 헬멧 시장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했습니다. 특히 AI와 AR(증강현실)을 접목한 혁신적 접근과 독창적 브랜딩으로 심사위원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수 있었습니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문서 작성 및 시장 분석부터 홍보 디자인까지 모든 과정을 AI 중심으로 진행하며 효율성을 극대화했습니다.


진행 방법

  • 사용한 도구 및 AI 활용 과정
    저희는 다양한 생성형 AI 도구와 협업 툴을 활용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 텍스트 AI 도구:

      • ChatGPT-4 o1 preview: 브랜딩 아이디어 생성 및 사업계획서 작성.

      • Claude 3.5 sonnet: 문서 검토 및 논리적 흐름 강화.

      • Perplexity AI Pro: 시장 조사 및 경쟁사 분석 데이터 수집.

    • 디자인 및 기타 AI 도구:

      • Canva: 홍보 자료 제작 및 브랜딩 시각화.

      • Napkin.ai: AI 헬멧의 개념도 생성.

      • Gamma: 발표 자료 및 슬라이드 제작.

      • Vrew: 홍보 영상 편집.

      • Kling.AI : 이미지 및 영상 생성

      • Windsurf AI : 주어진 마케팅 RAW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 과정 요약

    1. 시장 조사: Perplexity를 통해 스마트 헬멧 시장 규모와 경쟁사 분석 데이터 수집.

      한국어 텍스트가 있는 검은 화면
      한국어 프로그램 스크린샷
    2. 아이디어 구체화: ChatGPT와 Napkin.ai를 활용해 AI 기반 사고 감지, AR 내비게이션 등 주요 기능 아이디어 도출.

      한국어로 된 메시지가 있는 검은 화면
      다양한 특징을 지닌 헬멧을 착용한 사람
    3. 사업계획서 작성: AI 도구를 활용해 심사 기준에 맞춘 브랜딩 전략과 시장 진입 계획 작성. 링크

    4. 홍보 자료 제작: Canva와 Gamma를 활용해 발표용 슬라이드와 홍보 자료를 시각적으로 완성.

      AI 보호자는 안전을 생각합니다
    5.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 Windsurf AI로 코드 생성 및 실행하여 시각 자료 완성

      한국어 텍스트가 표시된 컴퓨터 화면의 스크린샷
      한국 음악의 인기를 보여주는 막대 차트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수를 보여주는 그래프
    6. Kling AI로 이미지 생성 및 영상 생성

      헬멧을 쓴 남자를 보여주는 웹페이지의 스크린샷
      헬멧과 헬멧의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웹사이트의 스크린샷
  • 결과물 시각 자료


결과와 배운 점

  • 성과와 배운 점

    • 성과:
      저는 이번 대회에서 장려상을 수상하며 40만 원의 상금을 받았습니다! 🏆
      심사 기준이었던 AI 활용 능력과 브랜딩 아이디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고,

    • 특히 AR AI 헬멧이라는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완성도 높은 발표자료와 영상이 주효했다고 생각합니다.

    • 배운 점:

      1. AI 도구 활용의 중요성: 반복 작업의 시간을 줄이고 창의적 아이디어에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2. 협업과 도구의 조화: Canva와 Gamma로 팀원들과 빠르게 자료를 공유하며 작업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 어려움과 극복 과정

    • 초기 어려움: 도구별 사용 목적이 불명확해 중복 작업이 많았습니다.

    • 해결 방법: 역할 분담을 통해 도구의 강점을 명확히 나누고 작업 과정을 최적화했습니다.

  • 다음 목표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AI 헬멧의 실제 프로토타입 제작에 도전하며,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더욱 발전된 제품을 만들어 나가고 싶습니다.

14
1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