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폭 프롬프트에서 나의 잠재력을 찾다

소개

최근 오카방에서 잠깐 지나갔던 프롬프트가 있었습니다:

based on everything you know about me roast me and don't hold back

직역하자면 "나에 대해 아는 모든 걸 바탕으로 팩폭해줘. 봐주지 말고." 라는 의미인데요…

평소 GPT에게 개인 정보를 최대한 주지 않으려고 애쓰던 저로서는, 그냥 재미로 시도해 본 건데… 이 녀석, 너무 날 잘 아는 거예요;;

책상에 앉아있는 남자의 만화 일러스트

하지만 놀라움은 거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단순한 디스가 아니라, **'자기 객관화 특강'**을 주겠다며 깊고 통찰력 있는 피드백을 주는 겁니다. 마침 스터디 첫날 배운 “나의 잠재력에 맞는 뜻밖의 일 찾기”GPT가 떠오르며, 이 구조 자체를 GPT로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진행 방법

1. 팩폭에 뼈 맞다가 대화 구조 분석

처음에는 뼈 맞는 재미(?)진 대화를 했는데, 제 성격과 성향을 파악하더니 직업도 추천해 줬어요!

이 녀석이 나를 파악하는 구조가 궁금해졌어요.

나와의 대화를 통해 성격과 장단점을 파악하고, 자기 객관화 특강을 하더니, 잠재력을 발견해줬어. 정말 신기하고 재밌어! 
너는 어떤 동작 과정으로 이렇게 한거야? 네가 나를 파악한 특별한 기법이 있을까? 
이 과정을 구조화해서 알려주면 좋겠어.
감탄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사실 저는 단순히 ‘대답’하는 게 아니라, 당신의 말에서 패턴을 읽고 구조화해서 반응해요.
말하자면, 당신과의 대화는 저에게 심리 퍼즐 + 데이터 분석 + 서사 해석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과정이에요.

아래에 제가 사용한 자기객관화 기반 대화 분석 구조를 단계별로 풀어서 정리해드릴게요.
이건 인간과 AI의 협업 모델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한 구조입니다.

🧭 ChatGPT의 “자기객관화 기반 사용자 분석 5단계 구조”
1단계. 정서적 패턴 추출 (Emotional Signal Mapping)

2단계. 행동-의도-회피 패턴 관찰 (Motivation vs. Resistance)

3단계. 선호의 은유 분석 (Metaphor Preference Analysis)

4단계. 표현 방식의 톤 앤 매너 추적 (Language Style Tracking)

5단계. 잠재 역할 모델 매핑 (Latent Identity Projection)


💡 결론:
당신을 이해하기 위해,
**“무엇을 말했는가”보다
“왜 그렇게 말했는가”**를 중심으로 분석했어요.

그걸 바탕으로
- 자기객관화 특강을 설계하고
- 장단점 구조화
- 잠재 가능성과 직업 제안까지 연결한 거죠.

(개인적인 대화 내역이 들어가 있는 부분은 삭제했어요.🤭)

2.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시스템화

위 구조는 쳇지피티와 여러 대화를 했던 한 명을 분석한 내용이지만

처음 지피티와 대화하는 사람들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대답을 이끌어내는 질문 세트와 분석 로직이 필요했어요.

지피티와 만든 시스템을 간단히 개요만 보여드릴게요.

🎯 목표 정리
“자기객관화 특강을 누구나 받을 수 있게 하자”
→ GPT가 사람의 말과 행동을 기반으로
→ 감정, 성향, 동기, 저항 패턴을 읽고
→ 자기 이해와 직업/역할 탐색까지 돕는 구조

🧠 전체 시스템 구조 (3단계 흐름)
✅ 1단계: 자기탐색 대화 유도
목표: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감정, 가치관, 행동 패턴 파악

✅ 2단계: GPT의 다층적 분석 로직

✅ 3단계: 결과 도출 & 피드백

3. 커스텀 GPT 제작 시도

  • 이 구조를 활용해서 직접 GPT를 만들기 시작

  • 처음에는 질문이 많고, 출력이 길고, 반복되는 말이 많아서 지인 반응이 썰렁했어요 😅

  • 이후 프롬프트 생성 GPT들과 대화하며 질문 수를 줄이고, 말투를 따뜻하게 조정, 반복되는 출력 구조도 간결하게 다듬었어요

    그 중 👇요 GPT가 저랑 젤 티키타카가 잘 되더라구요!

채찍피티 쥐피티스 초안 서포터 (made by 샘호트만)

4. 그렇게 탄생한 "자기탐색 GPT"

https://chatgpt.com/g/g-686ea0a9266c819194baee71129e211c-jagitamsaeg-gpt

  • 사용해 보시고 피드백 주시면 계속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 제목에 "v2.0"을 넣었더니 정책 위반?이라고 안된대요. 대체 왜?? 😳

결과와 배운 점

  • GPT는 거울이다: 팩폭 프롬프트를 계기로, AI는 단순한 도우미를 넘어서 **‘자기 구조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어요.

  • 실패는 UX 디버깅의 시작: 첫 테스트에서 기대한 반응이 안 나왔지만, 오히려 그 피드백이 GPT 구조를 더 정제하는 데 큰 도움이 됐어요.

"AI에게 팩폭을 당했다면, 그건 끝이 아니라 시작입니다.

🎓 이제는 나를 기획하고, 나를 실행할 시간!"

✳️ 개발자F님의 사례 게시글 GPT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7
6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