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6기] "챗GPT로 과제 편하게 하는 방법" 영상을 올리면 조회수가 얼마나 나올까?


스토리

기존에는 블로그 콘텐츠와 영상 콘텐츠를 AI를 활용하여 품을 줄이면서 퀄리티를 높이는 방법을 찾아 공유하려고 했다.

그러나 몇 일간 씨름했지만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는 못했고 무언가 발표를 위해 준비하는 느낌이 들면서 길을 잃고 방황하는 느낌이 들었다.

옆에서 이를 지켜보던 동업자이자 지피터스 선배인 태현님이 발표를 너무 의식하지 말고 하고 싶은 것을 진행한 후 그 과정을 공유하면 훨씬 수월하다는 이야기를 해줬다.

조언을 듣고 난 후 길을 조금 찾은 느낌이 들었다.


바로 내가 가장 하고 싶었던 검증해보고 싶었던 일로 돌아가기로 했다.

"챗GPT로 과제 편하게 하는 방법" 영상을 올리면 조회수가 얼마나 나올까?


9월이 되고 대학교의 개강 시즌을 맞이하여 대학 생활에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는 콘텐츠를 만들고 싶었다. 시기상 영상에 대한 수요가 아주 많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관련 영상의 시장 조사를 해보았을 때도 과거의 영상은 있지만 최신 영상은 없었다.

경쟁이 없고 시기가 적절하기 때문에 이번주부터 과제 수행과 관련한 영상을 올린다면 다시 한 번 채널의 조회수를 터뜨릴 수 있을 것 같다는 나의 직관을 검증해보고 싶었다.



사용 비용

  • 시간 : 24시간 | 6일 9시부터 7일 9시 까지

  • 비용 : GPT 플러스 요금제, 나의 노동력
    ———
    전체적인 흐름

    1. 자료 조사 : 빙챗 perplexity gpt vox webpilot 텍스트 자료 정리

    2. 텍스트 자료 GPT로 대본화

    3. GPT와 감마로 대본의 PPT화


  • 아이디어 정리 : 챗GPT

영상을 제작하고자 하는 저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입력해서 아이디어를 정리를 요청했습니다.

영상 1: 기초 - 인공지능이란?

영상 2: 리서치 & 논문 작성 도우미

영상 3: 프레젠테이션 & 디자인 향상

영상 4: 수학 & 과학 과제 도우미

영상 5: 언어 & 글쓰기 도우미

영상 6: 프로젝트 관리 & 협업 향상

영상 7: 마무리 - 학습 리소스 & 기타 도구

제시 받은 아이디어 중에서 “리서치 도우미”가 마음에 들었습니다.

어떤 과제를 수행하더라도 가장 처음에는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1단계 자료 조사

GPT에게 대학 교수로서 학생들이 어떻게 자료 수집을 하기를 원하는지 물어보았습니다.

하나의 자료 유형에 의존하지 말고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라. 라고 답변을 해주더군요.

자료를 조사하기 위한 4가지 루트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책. 논문. 인터넷 검색. 영상


과거의 제가 가장 많이 사용했던 루트는 인터넷 검색과 유튜브 영상 검색이었습니다.

따라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어떻게 과거보다 인터넷 검색과 영상 검색의 걸리는 시간을 줄이고 퀄리티는 높일 수 있을까?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과제 설정

글로벌 경제 위기인 1997년, 2008년, 2019년 코로나 시기의 사례를 통해 통화 및 재정 정책이 실제 국가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발표하기

우선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왜 교수님은 경제 위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통화 및 재정 정책이 실제 국가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하라고 하셨을까?

교수님의 의도를 파악하고 싶었습니다.

  1. 3. 답변이 마음에 들었고 발표의 서두에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자료 조사 퍼널

  1. 웹 서핑

1) 빙챗

빙챗의 답변도 사용할 수 있었지만 빙챗에서 얻을 수 있는 좋은 힌트는 빙챗이 검색하는 키워드의 나열입니다.

2) perplexity

https://www.perplexity.ai/

기존에는 웹사이트를 직접 웹을 서핑하면서 찾아야 했지만 이제는 펄플렉시티 사이트를 이용하여 ai가 자동으로 관련된 사이트를 추천해준 결과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3)스크랩한 텍스트를 web pilot 플러그인으로 요약 정리

관련된 내용을 담은 웹 사이트를 서핑을 통해 찾게 되면 이전에 우리는 직접 글을 읽고 학습하고 요약하고 정리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웹 파일럿 플러그인과 지피티를 이용하면 영어로된 원문을 전혀 읽지 않아도 요약 정리된 내용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https://chat.openai.com/share/997d62e4-d920-449f-b9f9-5518c175f2cb

https://chat.openai.com/share/5e6b120e-96de-4118-8e2a-ab82f62b3ab6https://chat.openai.com/share/572ead84-9c49-4627-a14a-bf3cb5745ffd

start="2">
  • 유튜브 영상 요약. vox 플러그인

  • 과거의 발표를 준비할 때는 유튜브의 영상 자료들도 직접 시청하고 번역하고 학습해서 정리하는 시간이 많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영상 역시도 원문을 전혀 읽지 않아도 요약 정리된 내용을 얻을 수 있습니다.

    https://chat.openai.com/share/178b7af4-6dbc-4812-a90e-6cfad38abf19

    https://chat.openai.com/share/4b53aee9-6c33-4b71-ade8-eb6b9ca8c2a3


    2단계 자료의 대본화

    조사한 텍스트 자료를 기반으로 GPT에게 대본을 작성시킨 후 조사한 모든 텍스트를 추가하여 종합하도록 했습니다.

    https://chat.openai.com/share/fdbdc689-48ff-4684-818d-82334cfc87f5

    3단계 자료의 PPT화


    1번 감마 AI 사용
    https://gamma.app/docs/1997--umrkend9y3d9bwn

    2번 텍스트 제공

    https://gamma.app/docs/1997--mu41lfnpwqiro1y




    1 단계 시리즈 상황별 도구 소개

    도구 소개

    2 단계 반응이 좋은 녀석의 자세한 사용 방법 소개

    3 단계 실제 대학생과 함께 실제 과제 수행 해보기 챌린지 (섭외)

    4 단계 실제 대학생 대학원생 고수를 섭외해서 고급 튜토리얼 제작




    3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