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는 부동산 플랫폼 중에 기본적이라 할 수 있는 ‘네이버 부동산’ 페이지를 보며 함께 합니다.”
<네이버 부동산에서>
-네이버 부동산(N-Pay 부동산) 플랫폼을 활용하여 매물 검색
단지별, 거래방식별, 면적별, 동별, 등 다양한 조건으로 매물을 정리해서 확인합니다.
동일매물을 하나로 묶어서도 확인합니다.
-온라인 상에서 중개업체 평가
중개업체의 광고 매물 수, 설립 연도, 상세한 설명, 다양한 사진, 성별(중요하지 않음)을 통해 평가합니다.
-동일한 매물에 다른 가격이 존재하는 경우
가격의 차이는 변경 사항이 빠르게 반영되지 않는 중개업체일 수 있거나, 고객 유인책일 수도 있습니다
모바일 버전에서는 새로운 매물과 가격 정보를 신속하게 알려주는 알림 기능을 활용합니다.
-전화를 통한 중개업체 평가
대화나 문자를 통 해 중개업체의 응대와 서비스 수준을 평가합니다.
-최종적으로 선정되는 중개업체 수
고객인 저를 신뢰하지 않는 중개업체는 배제합니다. 그러나, 중개업체도 같은 신념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몇 개의 중개업체를 최종 선정하게 됩니다
<챗GPT를 통해보자>
1.챗GPT는 네이버 부동산 링크를 보고 중개업체 분석이 가능할까
NO!
일반적인 답변을 했습니다.
그래서 링크를 주고 골라달라고 했더니, 크롤링 기능의 프로그램을 써야 해서 안되는 것 같네요.
전문 크롤링 프로그램을 써서 엑셀 시트로 정리를 한다 해도, 선정하는 프로그램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2.그렇다면 광고 물건에서 성실, 신뢰를 직법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예) 물건 1000개 광고 200개 vs 물건 100개 광고 50개
3.중개업체와의 대화에서 성실, 신뢰 파악은
프로그램을 다루는 실력 보다, 적극성(성실성)이 우선
4.반대로 고객과의 대화에서 성실성, 신뢰성을 주려면
연락 먼저 해주는 곳이어야 합니다.
시인성 좋게 자료를 정리해 전달합니다.
긍정적 표현, 시간 절약, 효율적인 동선 구성
사람과의 관계는 정답이라는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상대성, 또는 그날의 컨디션에 따라 둘의 호흡은 다릅니다.
반면에 해결해나가는 것은 개개인의 능력에 따라 다르더군요. 그래서 어찌 보면 어려운 일도, 안되는 일도 없기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