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기 스타트업 실험실] 아이디어 검증 서비스


안녕하세요. 이번 스타트업 실험실에 참가한 이종석(드론)입니다.


원래 8기 동안 하나의 아이디어로 디벨롭하는 계획으로 참여했다가 플랜이 수정되어서 일주일에 한개의 아이디어를 디벨롭하는 일정으로 변경되었어요.


하나라도 제대로 하기 힘든데 3개를???


이왕 이렇게 상황이 변경 되었으니 해야죠. (개인적으로 다양한 아이디어톤, 해커톤 등에 참여하면서 단기간에 즉석에서 생각한 아이디어를 디벨롭을 시도한 경험을 가지고 있기는 합니다.)


물론 결과가 중요하지만 그래도 남다른 경험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한 저의 착각 ㅠㅠ)



다음과 같이 일주일에 하나씩 진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작업 순서를 정하였습니다.

1. 아이디어 3개를 선택하여 결정하기

2. 작업 형태를 템플릿화 하기

3. 가능한 유사한 형식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환경 세팅하기

4. 아이디어 선택에 필요한 자료 사전 수집

5. ChatGPT를 이용하여 스토리 라인 잡기

6. 기타 디벨롭에 필요한 자료/도구/툴 등 사전 정리하기



제가 3주동안 사용할 도구는 다음과 같이 결정한 상태입니다. 물론 중간에 아이디어에 따라 변경될 수는 있습니다.



아이디어 대한 주요 스토리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으며, 간단하게 설명 드립니다.

1. 아이디어 결정 및 구체화 작업 (마인드맵 등 활용)

  • 스타트업이나 창업을 하기 위한 "예비 창업자"가 아이디어를 찾는 과정이 어려워 다양한 케이스 스터디와 꾸준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실습을 통하여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익힐 수 있는 서비스


2. 아이디어에 필요한 기술/아티클/서비스 등 검색

  • The Personal MBA의 시장 평가 방법론(긴급성, 시장 크기, 가격 잠재력, 고객 획득 비용, 가치 전달 비용, 제안의 희귀함, 속도, 투자, 상향 판매 잠재력, 스케일러블) 일부 참고


3. 아이디어에 적합한 사용자 페르소나 선정

  • 해당 페르소나는 목표 지향, 역할 기반, 관계지향, 가상 페르소나의 요소를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구성함


4. 아이디어에 필요한 분석 방법 요청 (SWOT 분석 등)

  • 하단 이미지 참조할 것 (실수로 채팅 기록을 삭제하여 하단에 이미지로 첨부합니다.)

  • SWOT 분석, PESTEL 분석, Value Proposition 분석, Value Chain Analysis, BCG Matrix, Porter's Five Forces 등 사용


5. Lean Canvas 작성


6. 사업계획서 작성


7. 랜딩 페이지 구성 및 배포


8. 결과 검증 (아이디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진행 중


9. 회고 및 수정 보완

  • 결과 검증이후 업데이트 예정


10. 아이디어 개선 및 반영


참고) 4. 아이디어에 필요한 분석 방법 요청 (SWOT 분석 등) 이미지 첨부



위 작업은 전체 하루반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다음주에도 새로운 아이디어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9
8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